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구공리산성

九公里山城
  • 저필자
    이현주(성균관대학교)
  • 시대
    발해
  • 원소장처
    흑룡강성(黑龍江省) 해림시(海林市) 장정진(長汀鎭) 구공리산(九公里山) 꼭대기
  • 시대
    발해
  • 유형
규모
둘레: 1,500m
입지
구공리산성(九公里山城)은 해랑하(海浪河) 중류 좌안의 절벽에 있고, 동북으로 해림진(海林鎭)과는 약 25km 떨어져 있다. 고성의 동북, 북, 서북과 서남쪽은 모두 높게 솟은 장광재령(張廣才嶺)의 여맥 산봉우리이고, 유일하게 남쪽과 동남쪽만이 해랑하(海浪河)에 접해 있다. 산성 남쪽의 서쪽은 십이공리촌(十二公里村)이다.
유적개관
산성의 성벽은 산세를 따라서 축조하였고, 산성의 성벽은 토석혼축이며, 산등성이 방향을 따라 축조하였다. 평면은 불규칙한 형태이다. 산성의 남쪽은 깎아지른 절벽이고, 절벽아래는 해랑하(海浪河)와 인접해 있다. 강물에 인접한 곳은 천연적인 장벽을 이용하고 성벽을 축조하지 않았다. 동쪽과 북쪽의 성벽에는 3곳의 마면과 유사한 건축이 설치되어 있는데, 성벽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반원형을 이룬다.
유물개관
산성 안에서 베무늬기와, 숫돌(手搖磨盤), 회색도기 잔편 등이 출토되었다.
참고문헌
고구려발해고성지연구휘편
해설
구공리산성(九公里山城)은 발해시기의 성지이다. 구공리산성은 중국의 흑룡강성(黑龍江省) 해림시(海林市) 장정진(長汀鎭) 구공리(九公里)기차역 부근에 있는 구공리산(九公里山)의 정상에 위치한다. 구공리산성은 해랑하 중류 좌안의 절벽에 있고, 동북으로 해림진과 약 25km 가량 떨어져있다. 구공리산성의 동북, 북, 서북과 서남쪽은 모두 높게 솟은 장광재령(張廣才嶺)에서 이어진 산봉우리이고, 유일하게 남쪽과 동남쪽만이 해랑하에 접해 있다. 구공리산성의 남서쪽은 십이공리촌(十二公里村)이다. 구공리산성의 둘레는 1,500m이다. 구공리산성의 평면은 불규칙한 형태이다. 구공리산성의 성벽은 산세를 따라서 토석혼축의 형식으로 축조하였다. 구공리산성의 남쪽은 깎아지른 절벽이고, 절벽아래는 해랑하와 인접해 있다. 강물에 인접한 곳은 천연적인 장벽을 이용하고 성벽을 축조하지 않았다. 동쪽과 북쪽의 성벽에는 3곳의 마면과 유사한 건축이 설치되어 있는데, 성벽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반원형을 이룬다. 성안에서 망대(望臺)와 물저장의 용도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돌 웅덩이가 발견되었다. 구공리산성의 안에 양지쪽 산비탈에 여러 개의 혈거갱(穴居坑)이 있다. 구공리산성에서 수습된 유물로는 베무늬기와, 현무암으로 제작된 수동맷돌, 화살촉, 회색 도기편 등이 있는데, 이들 유물은 발해 시기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구공리산성 자료번호 : isea.d_0003_0010_0110_006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