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대성자고성

大城子古城
  • 저필자
    정동준(충남대학교)
  • 시대
    발해
  • 원소장처
    黑龍江省 東寧縣 東寧鎭 大城子村
  • 시대
    발해
  • 유형
규모
둘레: 3,343m
입지
고성 서쪽과 서북쪽 그리고 서남쪽은 노야령(老爺嶺)의 잔맥이고, 북쪽은 수분하(綏芬河)와 인접해 있고, 하천의 북쪽은 지면에서 우뚝 솟아오른 산봉우리이다. 동쪽은 호포도하(瑚布圖河)이고, 삼구진(三口鎭)과는 약 10km 정도 떨어져 있으며, 흑룡강성(黑龍江省) 동녕현성(東寧縣城)에서 삼구진(三口鎭)과는 도로가 통한다. 삼구(三口)는 중국과 러시아의 경계가 되는 하천인 호포도하(瑚布圖河) 하류의 좌안에 있는데 부근에는 발해 산성유지가 있고, 수분하(綏芬河)에서 혼춘(琿春)에 이르는 도로가 북쪽에서 남쪽으로 대성자(大城子) 서쪽의 동녕진(東寧鎭)을 지나간다.
유적개관
대성자고성(大城子古城)의 평면은 장방형이고, 동, 서, 남 3면의 성벽은 비교적 평평하고 곧으며, 북쪽의 성벽은 지세에 의지하여 불규칙한 곡선을 이루고 있다. 성의 서북쪽 모서리는 예각형이다. 성벽의 둘레 길이는 3,343m로 토석혼축이며, 서쪽 성벽에서 북쪽으로 치우친 곳에는 옹문이 있으나, 기타의 성문은 거민의 파괴로 이미 확인하기가 매우 어렵다. 성벽에는 각루가 있고, 성벽의 바깥쪽에는 해자 유적이 있다.
유물개관
* 고성안에서 발해 연꽃무늬와당, 가장자리에 꽃무늬가 있는 암키와, 수키와, 청동대식, 동경, 청동자물통, 청동 동이, 청동불상, 도금한 사리함 등 전형적인 발해 문물이 출토되었다.
참고문헌
고구려발해고성지연구휘편
해설
흑룡강성(黑龍江省) 동녕현(東寧縣) 동녕진(東寧鎭) 대성자촌(大城子村)에 있다. 수분하(綏芬河) 남쪽 충적분지 가운데에 위치하며 강물과 2㎞의 거리를 두고 있다. 고성 서쪽과 서북쪽 그리고 서남쪽은 노야령(老爺嶺)의 지맥이고, 북쪽은 수분하와 인접해 있고, 하천의 북쪽은 지면에서 우뚝 솟아오른 산봉우리이다. 동쪽은 호포도하(瑚布圖河)이고, 삼구진(三口鎭)과는 약 10㎞ 정도 떨어져 있으며, 흑룡강성 동녕현에서 삼구진까지는 도로가 통한다. 삼구(三口)는 중국과 러시아의 경계가 되는 하천인 호포도하 하류의 왼쪽 강가에 있는데 부근에는 발해 산성유적이 있고, 수분하에서 혼춘(琿春)에 이르는 도로가 북쪽에서 남쪽으로 대성자(大城子) 서쪽의 동녕진을 지나간다.
대성자(大城子) 고성(古城)의 평면은 장방형이고, 동, 서, 남 3면의 성벽은 비교적 평평하고 곧으며, 북쪽의 성벽은 지세에 의지하여 불규칙한 곡선을 이루고 있다. 성의 서북쪽 모서리는예각형이다. 둘레는 3,575m로서 남벽 1,290m, 북벽 1,365m, 동·서벽 460m가 되고, 흙으로 판축하여 쌓은 성벽은 2∼5m 높이로 남아 있다. 서쪽 성벽에서 북쪽으로 치우친 곳에는 옹문이 있으나, 기타의 성문은 주민의 파괴로 이미 확인하기가 매우 어렵다. 성벽에는 각루(角樓)가 있고, 성벽의 바깥쪽에는 해자 유적이 있다.
이 성은 발해 솔빈부(率賓府)의 소재지로 보기도 하는데, 발해 멸망 뒤 금(金) 시기(1115∼1234)에도 사용되었다. 부근에 대성자 고분군, 발해시대 평민 주거지인 단결(團結) 유적이 있다.
고성 안에서 발해 연꽃무늬 막새기와, 가장자리에 꽃무늬가 있는 암키와, 수키와, 청동대식, 동경, 청동자물통, 청동 동이, 청동불상, 도금한 사리함 등 전형적인 발해 문물이 출토되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대성자고성 자료번호 : isea.d_0003_0010_0110_0010_0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