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하룡고성

河龍古城
  • 저필자
    김진광(한국학중앙연구원)
  • 시대
    발해/요금
  • 위치
  • 원소장처
    吉林省 延吉市 長白鄕 河龍村(길림성 연길시 장백향 하룡촌)
  • 시대
    발해
  • 유형
규모
둘레: 984m, 남: 255m, 북: 259m, 동: 240m, 서: 230m
입지
이곳은 부르하통하와 해란강이 합류하는 하안평지이다. 남쪽에는 화첨자산(花尖子山)이 우뚝 솟아 있고, 북쪽으로는 가까이에 해란강과 접해 있으며, 서북으로는 부루하통하를 사이에 두고 1500m 떨어진 곳에 유명한 성자산산성이 있으며, 동·서·남쪽은 촌가들이 이어져 있고, 논밭이 서로 섞여있는 기름진 지역이다.
유적개관
성지는 마름모 형태에 가까우며 방위는 남쪽에서 서쪽으로 약 20도 정도 기울어져 있다. 현재 동벽에는 간간이 유적이 남아있고, 그 나머지인 남·서·북 3벽은 논으로 개간하여 평지가 되었다. 원래 남벽의 중간에는 문지와 옹성이 있었으나, 근년에 훼손되어 평지로 변했다. 성벽의 기초는 토석혼축으로 윗부분은 흙으로 층을 나누어 쌓아올렸고, 쌓아올린 층의 두께는 10cm이며 어떤 벽부분에는 돌을 섞어 넣기도 하였다.
유물개관
유지에서 연꽂무늬 와당, 자루달린 수키와, 새끼줄무늬 기와 등이 수집되었다.
참고문헌
문물지
해설
하룡고성(河龍古城: 또는 土城村土城이라고 부름)은 장백향 하룡촌 5대에 있다. 이곳은 부르하통하와 해란강이 합류하는 곳에 형성된 하안평지이다. 남쪽에는 화첨자(花尖子山)이 있고, 북쪽으로는 해란강과 접해 있으며, 서북으로는 부르하통하를 사이에 두고 약 1.5km 떨어진 곳에 마반촌산성(성자산산성으로도 불림)이 있다. 동ㆍ서ㆍ남쪽은 주택과 이어져 있다.
성터는 마름모형태로, 방향은 약 200°이다. 동벽은 길이 240m, 남아있는 높이는 2.5m이며, 남벽은 길이 255m, 서벽은 길이 230m, 북벽은 길이 259m이다. 둘레 길이는 984m이다. 현재 동벽에는 간간이 유적이 남아있고 그 나머지인 남ㆍ서ㆍ북 3벽은 논으로 개간되었다. 본래 남벽 중간에는 성문지와 옹성(甕城)이 있었다고 하나 현재는 남아있지 않다. 성벽 기단은 흙과 돌을 섞어 쌓은 토석혼축(土石混築)이며, 성벽 윗부분은 흙으로 층을 나누어 10cm 정도의 두께로 쌓아올렸으며, 돌을 섞어 넣은 곳도 있다.
성터 안에는 유물이 매우 드믈다. 동벽에는 그물무늬와 새끼줄무늬가 있는 기와와 진흙으로 물레로 빚은 도기편 등 유물들이 섞여 있다. 동벽 주변에 흩어져 있는 돌무더기에서 돌도끼[石斧] 1점이 발견되었다. 수집된 유물로는 암키와[板瓦]와 그릇 주둥이 부분[口沿部]가 있다. 암키와는 두 종류가 있다. 한 종류는 붉은빛을 띠는 갈색[紅褐色]을 띠고 있고, 불룩한 겉면에는 그물형태의 무늬[網格紋]가 있으며, 오목한 안쪽 면에는 베무늬[布紋]가 있다. 남아있는 기와 테두리의 너비는 6.2cm, 기와의 두께는 2.3cm이다. 다른 한 종류는 누른빛을 띠는 회색[灰黃色]으로, 불룩한 겉면에는 새끼줄무늬[繩紋]가 있고 안쪽에는 베무늬가 있다. 남아있는 기와 테두리의 너비는 6.6cm, 기와의 두께는 1.4cm이다. 구연부는 회색으로, 눌러서 생긴 [按壓]무늬가 있는 주둥이가 넓은 항아리[盤口罐]로, 남아있는 주둥이 테두리의 너비는 5cm, 두께는 0.5cm이다. 1964년 5월, 이 성에서 연꽃무늬[蓮華紋] 와당과 미구가 있는 수키와[榫頭筒瓦] 등이 수습되었다. 출토유물에 따르면, 하룡고성은 발해시기에 축조되어 요금시기까지 사용된 것으로 생각된다.
하룡고성 성벽에는 그물무늬[網格紋]와 새끼줄무늬[繩紋] 기와가 포함되어 있고, 성벽 주변에서는 원시시대의 돌도끼도 발견되었으며, 그보다 전에는 성 근처에서 무늬가 있는 모래가 섞인 도기편[夾砂陶器片]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이 성이 원시유적과 고구려유적 위에 세워졌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 :
吉林省文物志編委會 主編, 1985, 「延吉市文物志」, 55~58쪽.
김진광, 2012, 「북국발해탐험」, 박문사, 301~303쪽.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하룡고성 자료번호 : isea.d_0003_0010_0050_0040_0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