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용두산고성

龍頭山古城
  • 저필자
    한영화(성균관대학교)
  • 시대
    발해
  • 위치
  • 원소장처
    중국 흑룡강성(黑龍江省) 목단강시(牧丹江市) 서안구(西安區) 소막촌(小莫村)
  • 시대
    발해
  • 유형
규모
둘레: 1,680m
입지
용두산고성(龍頭山古城)의 남, 북, 동 3면은 물에 인접해 있고, 해랑하(海浪河)와 목단강(牧丹江)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강물과 하수의 침식으로 인해서 가파른 절벽이 이루어졌고, 높이는 수면보다 10여 미터 높다. 용두산(龍頭山)의 서쪽과 서남쪽은 점차 높아지는 산 구릉과 연결되어 있다. 고성의 북쪽은 해랑하(海浪河)를 넘어 마주한 산봉우리에 있는 산성과 아득하게 서로 마주하고 있다.
유적개관
남북 양쪽에는 성벽이 없다. 각각 강하의 절벽으로 성벽으로 장벽을 삼았고, 서남쪽 성벽은 산세를 따라 축성하였다. 잔존하는 성벽으로 보면 고성의 평면은 타원형이다. 용두산 고지에는 두 겹의 흙으로 쌓은 활모양의 성벽이 있고, 성벽 바깥에는 모두 해자가 있으며, 대지 윗부분에는 크고 작은 2개의 성지로 나뉜다. 성벽은 토석혼축이며, 평면은 부채 형태이다. 고성은 해랑하(海浪河)와 목단강(牧丹江) 수면을 통제하며 절벽에서 돌로 축조한 인공의 유적이 발견되었는데 아마도 옛 부두유적으로 생각된다.
유물개관
* 고성 안 지표에는 많은 베 무늬 기와 잔편과 회색의 물레로 만든 도기 단지 잔편 등의 유물이 흩어져 있다.
참고문헌
고구려발해고성지연구휘편
해설
용두산고성(龍頭山古城)은 중국 흑룡강성(黑龍江省) 목단강시(牧丹江市) 서안구(西安區) 소막촌(小莫村)으로 해량하(海浪河)와 목단강(牧丹江)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한다.
용두산고성이 위치한 흑룡강성은 중국의 동북부에 있는 성으로 남쪽으로 길림성, 서쪽으로 내몽골자치구와 맞닿아 있으며, 러시아와도 국경을 맞대고 있다. 목단강시는 흑룡강성에 속한 시로, 남쪽으로는 길림성, 서북쪽으로는 하얼빈시[哈爾濱市], 동북으로 칠대하시(七臺河市)·계서시(鷄西市)와 접해있으며 동쪽으로는 러시아와 접한다. 목단강시에는 4개의 관할 구[애민구(愛民區), 동안구(東安區), 양명구(陽明區), 서안구(西安區)]와 5개의 현급 시[수분하시(綏芬河市), 영안시(寧安市), 해림시(海林市), 목릉시(穆稜市), 동녕시(東寧市)], 1개의 현[임구현(林口縣)]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단강시를 남에서 북으로 통과하는 목단강은 길림성에서 흑룡강성을 흐르는 강으로 하얼빈시 의란현(依蘭縣)에서 송화강(松花江)과 합류한다. 목단강을 중심으로 한 수륙 교통로는 길림성 돈화시를 거쳐 목단강시에서 하얼빈시에 이르는 중요한 교통로였다. 서안구는 발해의 수도 상경용천부(上京龍泉府)의 유적이 있는 영안시에서 목단강을 따라 북쪽에 위치한다.
고성은 시내에서 서남쪽으로 5㎞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해량하와 목단강이 만나는 지점에 있어 남쪽, 북쪽, 동쪽 3면은 하천에 인접해 있다. 강물과 하수의 침식으로 가파른 절벽이 이루어졌고, 삼각모양의 둔덕이 형성되었다. 높이는 수면보다 10여 미터 높다. 고성의 북쪽으로는 해량하를 사이에 둔 산봉우리에 잡로산성(卡路山城)이 마주하고 있다.
고성의 남북 양쪽에는 성벽이 없다. 각각 하천의 절벽을 성벽으로 삼았으며, 서남쪽 성벽은 지세를 따라 축성하였다. 규모는 둘레길이 1,680m 정도이다. 잔존하는 성벽으로 보면 고성의 평면은 타원형이다. 성벽은 활모양으로 두 겹의 흙으로 쌓은 성벽이 남아 있고, 성벽 바깥에는 모두 해자가 있다. 대지 윗 부분에는 크고 작은 2개의 터로 나뉜다. 성벽은 흙과 돌을 섞어 쌓았으며 평면은 부채 형태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용두산고성 자료번호 : isea.d_0003_0010_0110_003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