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동남구사묘지

東南寺廟址
  • 저필자
    김진광(한국학중앙연구원)
  • 시대
    발해/요금
  • 위치
  • 원소장처
    吉林省 和龍市 八家子鎭 東南屯 산중턱(길림성 화룡시 팔가자진 동남구둔 산중턱)
  • 시대
    발해
  • 유형
    사찰
규모
남북: 50m, 동서: 30m
입지
유지에서 서쪽으로 약 1km 떨어진 곳에는 남구촌(南沟村)이 있고, 북쪽으로 약 500m 떨어진 곳에는 조(양천)화(룡)철로(朝(陽川)和(龍)鐵路)가 동서방향으로 지나간다.
유적개관
사찰지는 산중턱(반산요(半山腰))에 인공으로 깎아 만든 대지 위에 있다. 대지는 남북 50m, 동서 30m이다. 대지 중앙에는 길이와 너비가 각각 10m에 달하는 커다란 흙 기단이 있는데, 이 흙 기단은 주변의 지표면보다 1m 정도 높다. 흙 기단과 주변에는 벽돌, 기와 등 유물이 흩어져 있고, 흙 기단 위에 더욱 밀집되어 있어서 아마도 원래의 건축유지로 생각된다.
유물개관
수집된 유물에는 지압문 암키와, 자루달린 암키와, 자루달린 수키와 연꽃무늬 와당,암막새기와(滴水瓦), 건축재료 등이 있다.
참고문헌
문물지
해설
동남구사묘지(東南沟寺廟址)는 팔가자진(八家子鎭) 하남촌고성(河南村古城)에서 남쪽으로 약 1.5km 떨어진 동남구(東南沟) 산 중턱에 있다. 유적지에서 서쪽으로 약 1km 떨어진 곳에는 남구촌(南沟村)이 있고, 북쪽으로 약 500m 떨어진 곳에는 조양천(朝陽川)~화룡(和龍) 철로가 동서방향으로 지나간다.
사묘지는 산중턱을 인공으로 깎아 만든 대지 위에 있다. 대지는 남북 50m, 동서 30m이다. 대지 중앙에는 길이와 너비가 각각 10m에 달하는 커다란 흙기단이 있는데, 이것은 주변보다 1m 정도 높다. 흙기단과 주변에는 벽돌ㆍ기와 등 유물이 흩어져 있는데, 흙기단 위에 더 많이 흩어져 있어서 원래의 건축지로 생각된다.
유적지 위에서 수집된 유물로는 전형적인 발해유물인 손가락으로 눌러서 만든 무늬가 있는 암키와[指壓紋板瓦]ㆍ미구가 있는 암키와[榫頭板瓦]ㆍ미구가 있는 수키와[榫頭筒瓦]ㆍ연꽃무늬 와당ㆍ암막새기와[滴水瓦]ㆍ건축재료 등이 있다. 암막새기와[滴水瓦] 1점은 기와 앞쪽 끝부분이 아래쪽으로 드리워져 있고, 앞쪽 끝부분은 좌우로 비교적 넓으며, 그 위쪽에는 손가락으로 눌러 만든 무늬[指甲紋]ㆍ둥근 점 무늬[圓点紋]ㆍ가지형태의 무늬[條紋]ㆍ비스듬하게 점을 찍은 무늬[斜点紋] 등 다양한 무늬들이 있다. 이러한 기와는 요금시기 고성에서도 가장 자주 보이는 것이다. 수습된 유물에 의하면, 동남구사묘지(東南沟寺廟址)는 발해시기에 축조되어, 요금시기까지 사용된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 :
吉林省文物志編委會 主編, 1984, 「和龍文物志」, 69~70쪽.
김진광, 2012, 「북국발해탐험」, 박문사, 552~553쪽.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동남구사묘지 자료번호 : isea.d_0003_0010_0050_0080_0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