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부민고분군

富民墓群
  • 저필자
    정동준(충남대학교)
  • 시대
    발해
  • 원소장처
    吉林省 龍井市 德新鄕 富民村 5屯
  • 시대
    발해
  • 유형
    무덤
규모
남북: 80m, 동서: 50m
입지
향소재지와는 10km 떨어져 있다. 무덤구역의 동쪽은 남북향으로 뻗어나간 산등성이이고, 산등성이의 동남쪽은 금곡(金谷) 저수지이며, 남쪽은 지세가 비교적 좁고 북쪽으로 향하면서 점차 넓게 펼쳐지는데 끊임없이 흘러가는 팔도하(八道河)의 지류가 무덤구역의 동쪽으로 굽이굽이 흘러간다.
유적개관
10기의 무덤이 발견되었는데, 무덤은 배열이 순차적으로 남북향이다. 이들 무덤 가운데 일부는 단지 몇 개의 묘석만을 남겼으며 어떤 것들은 절반만 남아있고, 어떤 것들은 무덤의 일부만이 노출되어있다.
유물개관
유물에는 도관, 鐵棺環, 쇠못, 꺾인 머리 못(折頭釘), 머리가 없는 못(無頭釘) 등이 있다.
해설
길림성(吉林省) 용정시(龍井市) 덕신향(德新鄕) 부민촌(富民村) 5둔(屯)에서 동남쪽으로 100m이고, 덕신향 소재지와는 10km 떨어져 있다. 고분군의 동쪽은 남북향으로 뻗어나간 산등성이이다. 산등성이의 동남쪽은 금곡(金谷) 저수지이고, 남쪽은 지세가 비교적 좁고 북쪽으로 향하면서 점차 넓게 펼쳐진다. 끊임없이 흘러가는 팔도하(八道河)의 지류가 고분군의 동쪽으로 굽이굽이 흘러간다.
고분군은 팔도하(八道河)의 지류에 의한 침식과 하상의 이동 및 동산(東山)에서 흘러내리는 빗물로 인해, 일부 무덤이 침식단면에 노출되었다. 단면상의 흔적으로 관찰하면, 동서 길이 30m, 남북 너비 80m에 달하는 범위 안에서 10기의 고분이 발견되었는데, 고분은 배열이 순차적으로 남북향이다. 이들 고분 중 일부는 단지 몇 개의 묘석만을 남겼으며 어떤 것들은 절반만 남아있고, 어떤 것들은 고분의 일부만이 노출되어 있다.
1980년 연변박물관(延邊博物館)에서 신석기시대의 금곡(金谷) 유적을 조사할 때, 이 고분군을 발견하였다. 1984년 6월 12일 『용정현문물지(龍井縣文物志)』 편찬조사팀이 고분의 구조와 연대 등의 문제를 분명히 하기 위해, 그 중에서 비교적 완전하지만 자연적으로 파괴된 고분 1기를 조사하였다. 번호는 84JLDFM1로 간단하게 M1이라고 부른다. 부민(富民) M1 고분의 구조를 확실히 알고, 완전한 자료를 얻은 것은 연변(延邊) 지역에 있는 같은 형태의 무덤 중 최초였다. 그러나 출토유물이 종류가 비교적 적어서 단지 현재 지니고 있는 자료에 근거하여 그 연대에 대해 대체적인 추측을 하였다. 무덤 안에서 나온 토기 항아리는 고고학에서 말하는 “말갈 항아리”에 가까우며 약간 통통하다. 토기 항아리의 주요무늬는 말갈족 토기 항아리에서 익히 본 무늬로, 돈화(敦化) 육정산(六頂山) 고분에서 출토된 토기 항아리, 하얼빈[哈爾濱]시 황가외자(黃家崴子)에서 출토된 토기 항아리 등과 같다.
출토된 토기 항아리는 이곳에서 약간의 말갈족의 습속을 지니고 있는 것은 가능하다는 점을 설명한다. 그 형식으로 말하면 이러한 문양을 지니고 있는 토기가 즐비하므로, 부민에서 나온 토기는 후기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부민 고분군은 발해 후기의 것이다. 출토된 토기는 발해 후기의 이 기간에 말갈 참빗무늬 토기가 보이지 않던 공백을 메워주었다. 고분의 편년에 대한 방증은 3가지이다. 하나는 형식이 화룡(和龍) 북대(北大) 고분과 매우 유사하다. 두번째는 출토된 관고리·관못 등도 북대 고분과 대체로 비슷하며, 단지 더욱 정교해졌을 뿐이다. 세번째는 고분에서 동남쪽으로 1.5㎞ 떨어진 금곡촌(金谷村), 서북쪽으로 1㎞ 떨어진 부민 4둔(屯)에 모두 발해 유적이 있다는 점이다.
유물에는 토기 항아리, 쇠관고리, 둥근 머리 쇠관못, 꺾인 머리 쇠관못, 머리가 없는 쇠관못 등이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부민고분군 자료번호 : isea.d_0003_0010_0050_0060_0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