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천교령건축지

天橋嶺建築址
  • 저필자
    정동준(충남대학교)
  • 시대
    원시/발해
  • 위치
  • 원소장처
    吉林省 汪淸縣 天橋嶺鎭
  • 시대
    발해
  • 유형
    건축지
입지
건축지는 천교령진(天橋嶺鎭)에서 남쪽에 위치한 알하하(嘎呀河) 우안대지 위에 있고, 서쪽으로 약 100m 떨어진 곳에는 목도철로(牧圖鐵路)가 남북으로 지나간다.
유물개관
지압문 암키와, 頭瓦, 막새기와식 수키와, 연꽃무늬 와당, 紅褐色夾砂筒形罐, 豆, 陶網墜와 기둥형태의 돌도끼, 반월형 구멍 뚫린 돌칼, 磨盤 등이 수집되었다.
참고문헌
문물지
해설
길림성(吉林省) 왕청현(汪淸縣) 천교령진(天橋嶺鎭)에서 남쪽에 위치한 알하하(嘎呀河) 오른쪽 강가의 대지 위에 있고, 서쪽으로 약 100m 지점에는 목단강(牧丹江)∼도문(圖們) 간 철도가 남북으로 지나간다. 천교령진 부근은 알하하의 충적으로 형성된 동서로 넓고 남북으로 좁은 산간의 분지이며, 원시사회 유적·무덤과 발해 시기의 건축유적 등 다수의 유적이 분포하고 있다.
건축유적에는 이미 삼공국변전소(森工局變電所)가 들어서면서 유적이 거의 파괴되어 흔적이 없다. 변전소 관계자에 의하면, 담장 안에는 변전소를 짓기 전에 높게 솟은 커다란 둔덕이 있었고, 그 위에는 기와조각·막새기와 등이 흩어져 있었으며, 40∼50㎝만 파더라도 토기·석기 등 유물이 많이 출토되었다고 한다. 그에 따르면 이곳은 원래 원시사회 유적이며, 천교령(天橋嶺)에서 북쪽으로 4㎞ 지점 산자락의 고분은 이 유적에 거주했던 사람들의 공동묘지로 생각된다. 발해 시기에는 이 유적 위에 일찍이 건축물을 세웠기 때문에 원시사회와 발해 시기의 2개 문화층이 나타났을 것이다. 천교령 건축유적은 발해 “일본도(日本道)” 위에 있으므로, 교통로상의 역참(驛站) 중 하나가 아닐까 생각된다.
지표와 변전소 담장 주변의 퇴적물에서 지압문(指壓紋) 암키와, 각종 도안이 있는 막새기와, 수막새기와, 연꽃무늬 막새기와 등 발해 시기의 유물, 홍갈색의 모래 섞인 통 모양 항아리, 제기, 토기 어망추, 기둥 모양의 돌도끼, 반달 모양의 구멍 뚫린 돌칼, 갈판 등 원시사회 시기의 유물이 수집되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천교령건축지 자료번호 : isea.d_0003_0010_0050_0050_0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