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용하촌유지

龍河村遺址
  • 저필자
    김진광(한국학중앙연구원)
  • 시대
    발해
  • 원소장처
    吉林省 延吉市 長白鄕 龍河村3,4隊 경작지, 시 변전소 울타리 안(길림성 연길시 장백향 용하촌3ㆍ4대 경작지, 시 변전소 울타리 안)
  • 시대
    발해
  • 유형
    생활
규모
남북: 50m, 동서: 100m
입지
남쪽으로 250m 떨어진 곳에 남산이 있고, 북쪽은 용하촌 농민 거주지이다.
유물개관
유지 지면에는 소량의 회색으로 무늬가 있는 기와편, 卷沿陶器口沿등이 흩어져 있다.변전소 동쪽에서 출토된 약간의 철촉은 鋌이 있는 柳葉形의 鏃으로, 횡단면은 납작한마름모형태(扁菱形)이며, 길이는 15.3cm이다.
참고문헌
문물지
해설
용하촌유지(龍河村遺址)는 연길시(延吉市) 장백향(長白鄕) 용하촌(龍河村)3ㆍ4대 경작지, 시 변전소 울타리 안과 그 동ㆍ서 양쪽에 있다. 남쪽으로 250m 떨어진 곳에 남산이 있으며, 북쪽에는 용하촌 주택이 있다. 변전소 서쪽 담장 밖에 있는 유지 면적은 동서 약 100m, 남북 약 50m이다.
지표면에는 베무늬가 있는 회색기와편[灰色布紋瓦]ㆍ주둥이가 말려 있는 도기 구연[卷沿陶器口沿] 등이 흩어져 있다. 일찍이 변전소 동쪽에서 화살촉 몇 점이 출토되었는데, 이것은 화살대를 끼우는 자루가 달려있는 버들잎모양[有鋌柳葉狀鏃]으로, 가로 단면은 납작한 마름모형태[扁菱形]이다. 그 길이는 15.3cm이다. 발견된 기와편은 두껍고 무겁다. 이렇게 발해도기의 특징을 지닌 물레로 빚은 도기구연(陶器口沿)에 근거하면, 이 유적지는 발해시기의 주거지로 생각된다.
참고 :
吉林省文物志編委會 主編, 1985, 「延吉市文物志」, 41쪽.
김진광, 2012, 「북국발해탐험」, 박문사, 285쪽.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용하촌유지 자료번호 : isea.d_0003_0010_0050_0040_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