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4. 제49구역

위 건축면의 2개 도로 교차지점 조사

크라스키노 성의 북쪽 부분에 대한 앞선 연도들의 발굴조사에서 제47구역의 섹터 3, 7, 그리고 8에서 상호교차하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2개 도로유구가 발견 및 조사된 바 있다(2011년도와 2013년도 발굴조사). 이 사실은 이 2개의 도로가 특정 지점에서 교차할 수밖에 없음을 의미하였고, 새로운 발굴 기간에 그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제47구역에 대한 확장 방식으로 섹터 3과 6의 남서쪽으로, 그리고 섹터 8의 북서쪽으로 16×10m 크기의 새로운 제49구역을 설정하였는데 방향은 두 구역이 서로 동일하다(도면 463). 새 발굴구역에서의 숫자 및 알파벳 방안 표기는 제47구역에 상응하게 설정되었다(도면 706). 발굴구역은 2개의 너비 1m 둑을 남기고 4개의 섹터(1~4)로 구분하였다(도면 706~708). 2014년도의 제49구역에 대한 발굴조사를 통해 두 도로가 교차하는 위 건축면이 조사되었다. 한 도로는 북-남 방향으로 나 있고, 다른 한 도로는 서-동 방향으로 나 있다. 새 발굴구역의 토층은 다음과 같다.
- 표토와 부식토, 두께 10~28㎝,
- 다양한 크기의 모래가 섞인 회갈색 사질토, 두께 15~30㎝,
- 다양한 크기의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도면 709~712). 도로 포장에 사용된 돌들은 아래의 두 토층에 위치하였다.
제1인공층(표토와 부식토) 제거 후에 제49구역 섹터 1~4의 상면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모래가 섞인 회갈색 사질토가 노출되었다. 개별 지점들에서는 크기가 평균 10~20㎝인 돌들이 발견되었다. 섹터 1에는 돌들의 띠가 예(Е)-26방안에서 이(И)-27, 28방안으로 주로 북-남 방향으로 나 있었다. 섹터 2~4에서는 일정한 구조를 이루지 못하는 개별 돌들이 위치하였다. 표토와 부식토에서 발견된 개별 돌들과 다량의 토기편은 이 유적에서 한인 농부들이 19세기 말~20세기에 주기적으로 경작한 것과 관련 있을 것이다. 경작의 흔적들이 섹터 4에서는 서-동 방향으로 난 부식토 띠 형태로 잘 관찰된다(도면 718, 723).
표토와 부식토를 제거할 때에 다음의 것들을 포함하는 3점의 부정형 철편, 6점의 철제 유물편, 6점의 주철제 유물편, 3점의 토제 유물편 등이 출토되었다.
- 철제 칼편, 제(З)-27방안(№ 1, 레벨 -187㎝)(도면 724: 3, 726),
- 주철제 솥편 4점, 줴(Ж)-26방안(№ 2, 레벨 -130㎝), 줴(Ж)-27방안(№ 5, 레벨 -188㎝), 예(Е)-37방안(№ 6, 레벨 -173㎝), 이(И)-41방안(№ 9, 레벨 -172㎝), 주철제 솥 다리, 오(О)-39방안(№ 13, 레벨 -182㎝)(도면 735),
- 수레바퀴 차관편, 엠(М)-28방안(№ 10, 레벨 -184㎝)(도면 731),
- 철제 못 3점, 예(Е)-26방안(№ 3, 4, 레벨 -191㎝), 까(К)-41방안(№ 9b, 레벨 -183㎝)(도면 724: 1, 2; 725, 730),
- 철제 화살촉, 까(К)-40방안(№ 9a, 레벨 -183㎝)(도면 729),
- 월주요 완 구연부편, 줴(Ж)-41방안(№ 8, 레벨 -171㎝)(도면 728, 759: 4),
- 탑 모양의 원추형 토제 유물, 오(О)-33방안(№ 11, 레벨 -189㎝)(도면 733),
- 와당편, 엠(М)-37방안(№ 12, 레벨 -187㎝)(도면 734).
표토와 부식토에서 다량으로 출토된 유물로는 기와, 토기, 혹은 돌로 만든 놀이 알이 20점 있다(도면 732). 섹터 1~4 전체적으로 윤제토기편은 1762점(27.89㎏)이 수습되었다(도면 736, 737, 739~758). 일부의 토기는 부분적인 복원도를 그릴 수 있었다(도면 738: 15, 16; 759).
제2인공층 제거 후에 4개 섹터 전체적으로 두 도로의 돌 포장 윗부분이 정리되었다(도면 760~772). 도로의 돌 포장 윤곽은 섹터 2와 4에서 보다 분명하게 드러났지만, 이 지점은 일부가 둑에 위치하였다. 섹터 1에는 전체 상면에서 다양한 크기의 모래가 섞인 회갈색 사질토가 노출되었는데, 도로의 윤곽은 분명하지가 못하였다. 하지만 그 방향은 북-남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면 761, 765, 766). 이 조사 단계에서는 모든 노출된 돌을 그 자리에 남겨 두었는데, 그중에는 돌 포장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들도 있었다.
발굴조사 중 출토된 가장 많은 유물은 잘게 깨어져 있는 토기편과 기와편으로 그 수가 446점(6.17㎏)이었다(도면 830~833). 기와 혹은 토기 동체부로 만든 놀이 알도 13점이 출토되었다(도면 781). 섹터 1의 제2인공층 출토 유물 중에는 다음의 것들이 있다.
- 화살 슴베로 추정되는 철제 유물, 제(З)-29방안(№ 14, 레벨 -203㎝)(도면 773: 1, 774: 1); 배목, 제(З)-26방안(№ 15, 레벨 -192㎝)(도면 773: 4, 775: 2); 칼편, 이(И)-26방안(№ 16, 레벨 -196㎝)(도면 773: 6, 776: 2); 화살촉, 이(И)-26방안(№ 17, 레벨 -196㎝)(도면 773: 5, 776: 1); 축, 이(И)-26방안(№ 18, 레벨 -191㎝)(도면 773: 2, 774: 2); 사슬 고리, 줴(Ж)-27방안(№ 22, 레벨
-192㎝)(도면 773: 3, 775: 1); 장방형 판편, 까(К)-30방안(№ 23, 레벨 -208㎝)(도면 780),
- 주철제 판편(직경이 큰 솥의 일부일 가능성 존재) 2점, 예(Е)-29방안(№ 21, 레벨 -198㎝)(도면 779), 줴(Ж)-31방안(№ 24, 레벨 -200㎝),
- 시유 삼채 도기 뚜껑편, 줴(Ж)-26방안(№ 19, 레벨 -194㎝)(도면 777); 토제 고리편, 예(Е)-28방안(№ 20, 레벨 -200㎝)(도면 778).
섹터 2에서는 제2인공층 제거 후에 예(Е)-까(К)-32-34방안의 회갈색 사질토층에서 얼룩 형태의 갈색 사질토(286×212㎝)가 노출되었는데 둑 쪽으로 가면서 그 윤곽이 희미해졌다(도면 762, 767, 768). 도로 돌 포장 북쪽으로는 거친 모래가 섞인 황갈색 사질토 띠가 조사되었는데 곳에 따라 동일 색깔의 깨끗한 거친 모래 얼룩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섹터 2에서 길 노면은 서-동 방향으로 나 있었고, 이(И)-36-제(З)방안, 이(И)-41방안에는 너비가 1.3m만 노출되었고 대부분이 둑 아래 들어 있었다.
섹터 2에서는 제2인공층 조사 시에 956점(13.492㎏)의 토기편과 기와편이 출토되었다(도면 834~846). 다른 유물 중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것은 기와, 토기 동체부, 혹은 돌로 만든 놀이 알이다(56점)(도면 791).
섹터 2 제2인공층 조사 시 출토 유물에는 다음의 것들도 있다.
- 청동 띠꾸미개 받침, 제(З)-33방안(№ 25, 레벨 -206㎝)(도면 782),
- 철제 유물, 화살촉, 이(И)-41방안(№ 26, 레벨 -198㎝)(도면 783: 1); 꺾쇠편, 이(И)-34방안(№ 27, 레벨 -202㎝)(도면 783: 2); 미니어처 고달이 2점, 줴(Ж)-35방안(№ 28, 레벨 -199㎝), 이(И)-37방안(№ 29, 레벨 -189㎝)(도면 784: 1, 784: 2); 못 5점, 줴(Ж)-35방안(№ 30, 레벨 -195㎝), 까(К)-36방안(№ 31, 레벨 -197㎝), 까(К)-34방안(№ 32, 레벨 -204㎝); 이(И)-38방안(№ 36, 레벨 -196㎝), 제(З)-34방안(№ 37, 레벨 -199㎝)(도면 785); 배목, 까(К)-37방안(№ 33, 레벨 -196㎝)(도면 786: 1); 칼, 까(К)-37방안(№ 34, 레벨 -197㎝)(도면 786: 2); 판편, 까(К)-36방안(№ 35, 레벨 -200㎝)(도면 787: 1), 클립, 제(З)-34방안(№ 38b, 레벨 -199㎝)(도면 789: 2, 790),
- 주철제 솥 다리편, 이(И)-38방안(№ 38, 레벨 -197㎝)(도면 787: 2),
- 정요 자기 구연부편, 제(З)-39방안(№ 38a, 레벨 -193㎝)(도면 788).
섹터 3에서는 제2인공층 제거 후에 발굴구역의 전체 상면에서 다양한 크기의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층이 노출되었다. 돌 포장은 잘 남아 있는 곳도 있었지만 자연적인 작용에 의해, 일부는 도로 사용 당시의 인위적 작용의 결과, 그리고 도로 폐기 후의 유적 변형 과정에 의해 돌들이 흩어져 있는 경우도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이 레벨에서는 두 도로가 교차하는 양상이 선명하게는 드러나지 못하였다. 물론 수평적 및 수직적으로 돌들이 다른 곳에 비해 더 조밀하게 깔려 있어 어느 정도 추정은 되었지만 말이다.
섹터 3에서는 제2인공층 제거 시에 523점(10.316㎏)의 토기편과 기와편(도면 847~856), 그 외 기와, 토기 동체부, 돌로 만든 놀이 알 32점이 수습되었다. 다른 유물로는 여러 가지 재료로 만든 편들이 있다.
- 철제 유물, 화살촉 4점, 엠(М)-31방안(№ 40, 레벨 -204㎝), 엘(Л)-30방안(№ 44, 레벨 -206㎝), 뻬(П)-29방안(№ 49, 레벨 -211㎝), 엔(Н)-28방안(№ 50, 레벨 -209㎝)(도면 794~796, 797: 4, 798: 1); 못 3점, 뻬(П)-29방안(№ 41, 레벨 -211㎝), 엠(М)-39(№ 42, 레벨 -203㎝), 엠(М)-30(№ 53, 레벨 -210㎝)(도면 797: 1~3, 798: 2~799: 2); 판편, 엔(Н)-28방안(№ 43, 레벨 -214㎝)(도면 800: 1, 801: 1); 용도 불명의 유물편, 엘(Л)-31방안(№ 45, 레벨 -206㎝)(도면 800: 2, 801: 2); 클립 4점, 엠(М)-29방안(№ 51, 레벨 -211㎝), 엠(М)-30방안(№ 25, 레벨 -211㎝), 엔(Н)-28방안(№ 54, 레벨 -214㎝), 엠(М)-28방안(№ 55, 레벨 -207㎝)(도면 804~806: 2),
- 토제 유물, 토제 고리편, 엔(Н)-27방안(№ 39, 레벨 -205㎝), 엠(М)-30방안(№ 47, 레벨 -208㎝)(도면 792~793), 토제 방추차, 뻬(П)-27방안(№ 48, 레벨 -210㎝)(도면 803),
- 돌 구슬, 엠(М)-29방안(№ 46, 레벨 -209㎝)(도면 802).
섹터 4에서는 제2인공층 제거 결과 엘(Л)-엔(Н)-32방안에서 도로의 돌 포장이 최대의 너비로 노출되었다(도면 890, 897, 898). 서-동 방향으로 난 도로의 남쪽 가장자리가 구분되었다. 이 부분에서는 도로 노면이 분명하게 구분되었다. 도로를 따라 그 남쪽으로 섹터 2에서와 마찬가지로 거친 모래가 섞인 너비 0.5~0.9m의 황갈색 사질토 띠가 노출되었다. 다른 부분에는, 다양한 크기의 모래가 섞인 3×2m 크기의 부정형 회갈색 사질토 얼룩이 노출된 엔(Н)-오(О)-37-40방안 부분을 제외하고, 모두 다양한 크기의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만이 분포하였다.
섹터 4에서는 제2인공층에 대한 정리조사 시에 1,463점(29.97㎏)의 토기편과 기와편(도면 857~882), 그리고 기와, 토기 동체부 혹은 돌로 만든 58점의 놀이 알(도면 828)이 출토되었다.
섹터 2 제2인공층에서 출토된 다른 유물로는 다음의 것들이 있다.
- 청동 띠꾸미개, 엠(М)-32방안(№ 56, 레벨 -197㎝)(도면 807),
- 철제 유물, 끌편, 엠(М)-33방안(№ 59, 레벨 -197㎝)(도면 810); 화살촉 4점, 엘(Л)-34방안(№ 60, 레벨 -200㎝), 엠(М)-35방안(№ 61, 62, 레벨 -205㎝), 엠(М)-32방안(№ 63, 레벨 -205㎝)(도면 811~813); 칼 날편 2점 엘(Л)-33방안(№ 64, 레벨 -200㎝), 오(О)-32방안(№ 65, 레벨 -205㎝)(도면 815: 1, 816); 대가리가 있는 못, 엘(Л)-33방안(№ 66, 레벨 -200㎝)(도면 817: 1, 819), 대가리가 없는 못 5점, 엘(Л)-32방안(№ 67, 레벨 -200㎝)(도면 818: 3), 엠(М)-32방안(№ 68, -198㎝)(도면 817: 3), 엘(Л)-34방안(№ 69, 레벨 -199㎝)(도면 818: 1, 820: 1), 엘(Л)-40방안(№ 70, 레벨 -200㎝)(도면 818: 2), 엘(Л)-36방안(№ 84, 85 레벨 -202㎝)(도면 818: 4, 820: 2, 820: 3); 버클편 2점, 오(О)-39방안(№ 71, 레벨 -201㎝), 오(О)-38방안(№ 80, 레벨 -202㎝)(도면 821: 3, 4; 822: 2, 822: 3), 버클 혀, 엠(М)-34방안(№ 72,레벨 -200㎝)(도면 817: 2, 823: 1); 판, 엘(Л)-39방안(№ 73, 레벨 -204㎝)(도면 815: 2, 823: 2), 다른 수습 판편, 엘(Л)-34방안(№ 74, 레벨 -200㎝)(도면 824); 고리편 2점, 오(О)-35방안(№ 75, 레벨 -207㎝), 엔(Н)-35방안(№ 76, 레벨 -203㎝)(도면 821: 1, 2; 822: 1); 덮개판편, 엠(М)-34방안(№ 77, 레벨 -198㎝)(도면 815: 4, 825: 1); 용도불명 유물편, 엘(Л)-34방안(№ 78, 레벨 -202㎝)(도면 815: 5); 띠구미개 받침편, 오(О)-38방안(№ 79, 레벨 -202㎝)(도면 815: 6); 갈고리편, 오(О)-38방안(№ 82, 레벨 -205㎝)(도면 818: 6, 827: 1); 꺾쇠편, 오(О)-38방안(№ 83, 레벨 -205㎝)(도면 817: 4, 827: 2),
- 주철제 솥 다리, 엘(Л)-34방안(№ 81, 레벨 -198㎝)(도면 826),
- 토제 유물, 정요 완 동체부편, 엘(Л)-41방안(№ 57, 레벨 -198㎝)(도면 808), 토제 고리편, 엘(Л)-35방안(№ 58, 레벨 -200㎝)(도면 809).
제3인공층 제거 시에는 도로 노면에 대한 최종 정리작업을 하였는데, 이때 원래 자리를 이탈한 돌들은 제거하였다(도면 887~900). 섹터 1에서는 제4인공층 상면 전체에서 다양한 크기의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만이 관찰되었는데 그 속에는 개별적인 거친 황갈색 모래 얼룩들이 들어 있었다(도면 887, 891, 892). 이 섹터에서는 도로 전체가 다 발굴구역에 경계 안에 들어가 있지 못하여 도로의 중간 부분과 그 동쪽 가장자리 부분만이 조사되었다. 이곳에서는 다량의 토기편(647점, 9.73㎏)과 기와, 토기 동체부 혹은 돌로 만든 14점의 놀이 알 이외에도 다음의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 철제 유물, 칼편 2점, 예(Е)-26방안(№ 87, 레벨 -222㎝)(도면 901), 까(К)-28방안(№ 103, 레벨 -217㎝)(도면 914: 1); 철제 열쇠, 제(З)-26방안(№ 89, 레벨 -196㎝)(도면 904); 못 2점, 줴(Ж)-26방안(№ 90, 레벨 -222㎝), 예(Е)-31(№ 97, 레벨 -220㎝)(도면 905: 1, 2; 906: 1, 906: 2); 화살촉, 줴(Ж)-27방안(№ 95, 레벨 -224㎝)(도면 905: 3, 907: 1); 회전 고리편, 예(Е)-29방안(№ 91, 레벨 -219㎝)(도면 908); 고리, 줴(Ж)-27방안(№ 92, 레벨 -224㎝)(도면 905: 4, 907: 2); 천공기 3점, 줴(Ж)-27 (№ 93, 레벨 -215㎝), 제(З)-27방안(№ 94, 레벨 -209㎝), 까(К)-26방안(№ 101, -215㎝)(도면 909: 2, 910: 1, 914: 2, 912: 2); 갈고리, 까(К)-27방안(№ 100, 레벨 -207㎝)(도면 909: 1, 910: 2); 판편 2점, 까(К)-31방안(№ 102, 레벨 -222㎝)(도면 913), 까(К)-28방안(№ 103, 레벨 -217㎝)(도면 914: 1),
- 청동 띠꾸미개 받침편, 예(Е)-30방안(№ 96a, 레벨 -218㎝)(도면 911),
- 주철제 수레 차관편, 예(Е)-31방안(№ 98, 레벨 -220㎝),
- 토제 고리편 2점, 예(Е)-26방안(№ 88, 레벨 -219㎝), 까(К)-28방안(№ 99, 레벨 -212㎝)(도면 902~903).
섹터 2에서는 제3인공층 제거 후에 도로 부분의 경우 도로 북쪽 가장자리에 새로운 돌들이 몇 개 더 노출된 것을 제외하면 제2인공층 제거 다음과 양상이 거의 동일하였다. 발굴구역 전체적으로 다양한 크기의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가 우월적으로 분포하였다(도면 888, 893, 899). 줴(Ж)-이(И)-32, 33방안에서는 갈색 사질토 얼룩이 거친 모래가 섞인 크기가 206×230㎝인 황갈색 사질토로 대체되었다. 그와 같은 사질토 띠가 너비 0.6~0.9m로 새 레벨에서 노출되어 노면의 북쪽 가장자리까지 이어졌다.
섹터 2에서는 제3인공층 제거 시에 기와, 토기 동체부 혹은 돌로 만든 44점의 놀이 알과 수 점의 녹슨 부정형 철편, 그리고 다음의 철제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 못 3점, 까(К)-38방안(№ 104, 107, 레벨 -214㎝), 까(К)-37방안(№ 105, 레벨 -213㎝)(도면 915: 3, 5),
- 갈고리, 까(К)-37방안(№ 106, 레벨 -206㎝)(도면 917),
- 판편, 까(К)-40방안(№ 108, 레벨 -207㎝)(도면 919: 1),
- 끌 모양 천공기, 까(К)-34방안(№ 109, 레벨 -213㎝)(도면 915: 4, 918),
- 천공기, 엘(Л)-29방안(№ 116, 레벨 -217㎝)(도면 915: 1),
- 핀셋편, 까(К)-40방안(№ 111, 레벨 -208㎝)(도면 915: 2, 916),
- 못이 남아 있는 장식판, 까(К)-39방안(№ 112, 레벨 -206㎝)(도면 919: 2, 3),
- 화살촉 2점, 엠(М), 뻬(П)-30방안(레벨 -216㎝)(도면 923).
다량으로 발견된 토기편(278점, 6.15㎏)을 정리할 때에 이(И)-41방안(레벨 -205㎝)에서 출토된 상호 교차하는 구멍이 있는 발해 “입방체” 유물편 1점(도면 921)과 까(К)-38방안(레벨 -205㎝)에서 출토된 토제 방추차 1점(도면 922)이 각각 확인되었다.
섹터 3에서 제3인공층 제거는 두 도로의 교차지점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였는데 두 도로의 축이 돌 포장된 부분과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었다. 섹터 3의 전체 부분에는 이전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크기의 모래가 섞인 사질토층이 남아 있었다(도면 889, 895, 896). 제3인공층 제거 시 291점(6.77㎏)의 토기편과 기와 혹은 토기 동체부로 만든 21점의 놀이 알 이외에도 다음의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청동 띠꾸미개 엔(Н)-28방안(№ 121, 레벨 -215㎝)(도면 931); 돌 구슬, 엘(Л)-28방안(№ 117, 레벨 -217㎝)(도면 929: 1, 930); 수 점의 철제 유물, 검날편, 엔(Н)-28방안(№ 113, 레벨 -218㎝)(도면 924); 못 4점, 오(О)-27방안(№ 114, 레벨 -218㎝), 오(О)-26방안(№ 115, 레벨 -214㎝), 엠(М)-29방안(№ 118, 120, 레벨 -208/-220㎝)(도면 925: 1, 2, 4, 5; 926~927); 송곳, 엘(Л)-29방안(№ 116, 레벨 -217㎝)(도면 928: 2); 판편, 오(О)-29방안(№ 119, 레벨 -218㎝)(도면 925: 3, 927: 1).
섹터 4에는 제3인공층 제거 후에 전체적인 양상이 더욱 분명하게 되었는데 여러 가지 이유로 원래의 자리를 벗어난 돌들은 들어내었다(도면 890, 897, 898). 이 레벨에서의 기본 토층은 다른 섹터들에서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크기의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였다. 도로의 남쪽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거친 모래가 섞인 너비 0.3~1.4m의 황갈색 사질토 띠가 여전히 남아 있었다(도면 899, 900). 섹터 4에서는 제3인공층을 조사할 때에 다량의 토기편(733점, 17.95㎏)과 33점의 놀이 알 외에 다음과 같은 다양한 재료의 유물들도 출토되었다.
- 철제 유물, 화살촉, 엠(М)-37방안(№ 122, 레벨 -211㎝)(도면 932: 1); 천공기, 오(О)-38방안(№ 123, 레벨 -211㎝)(도면 932: 2); 못, 엘(Л)-33방안(№ 129, 레벨 -208㎝)(도면 935: 1); 낚싯바늘, 엘(Л)-34방안(№ 130, 레벨 -209㎝)(도면 935: 3); 빙행(氷行) 미늘, 엘(Л)-36방안(№ 131, 레벨 -211㎝)(도면 935: 2); 띠꾸미개, 오(О)-33방안(№ 132, 레벨 -220㎝)(도면 936),
- 주철제 솥편 2점, 뻬(П)-36방안(№ 127, 레벨 -217㎝), 엘(Л)-37방안(№ 128, 레벨 -210㎝),
- 토제 삼족기 다리편, 엘(Л)-36방안(№ 124, 레벨 -210㎝)(도면 933); 고리편 2점, 엠(М)-34방안(№ 125, 레벨 -201㎝), 엠(М)-36방안(№ 133, 레벨 -209㎝)(도면 934),
- 사용 흔적이 있는 자갈돌, 엔(Н)-36방안(№ 126, 레벨 -208㎝).
제3인공층(둑 부분 포함)에서는 기와, 토기 동체부, 혹은 돌로 만든 다량의 놀이 알과 총 2,750점(56.61㎏)의 토기편이 출토되었다(도면 937~985). 그중 몇몇 토기편에 대해서는 부분적인 복원도를 작성할 수 있었다(도면 986~988). 따라서 위 건축면의 도로 발굴조사에서 모두 8,312점 혹은 152.7㎏의 토기편이 출토되었다.
다음 단계의 조사는 도면을 작성하고, 사진 촬영을 하고, 예(Е)-뻬(П)-31방안과 까(К)-26-41방안의 선을 따라 설정한 섹터들 사이의 둑을 인공층 단위로 제거 조사하는 것이었다(도면 989~997). 다음에는 도로의 돌포장 부분을 A-A’, B-B’, C-C’, D-D’ 선을 따라 단면도를 작성하였다(도면 998).
발굴조사가 종료된 다음에는 발굴구역에 대해 모두 현장보존조치를 하였다(도면 999).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4. 제49구역 자료번호 : kr.d_0012_003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