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3) 제5건축면

① 제11인공층

발굴조사의 다음 단계에서는 제11인공층의 상면에서 도로에 깐 예(Е)-줴(Ж)-4-5방안의 돌들과 와편들을 제거하였다(도면 275). 그 다음에는 제11인공층 전체를 정리 조사하였다(도면 276). 제11인공층의 두께는 8~10cm이다. 제12인공층의 상면 레벨에서 도로의 제5건축면이 노출되었다(도면 277, 278). 도로의 노면에는 개별적으로 놓여 있는 중간 및 작은 크기(8×18cm, 8×10cm, 10×10cm, 14×15cm, 8×14cm)의 돌들, 토기편과 와편들, 동물의 뼈와 이빨들, 철제 유물편들 등이 깔려 있었다(도면 279~284). 단단한 회갈색 사질토층이 도로를 이루고 있는데 이곳에는 남서쪽에서 북동쪽 방향으로 황갈색 점토 띠, 암갈색 사질토 띠 , 명회갈색 사질토 띠, 철화 간층들 띠 등의 형성되어 있었다. 도로의 남서쪽 부분인 아'(А')-아(А)-8-9방안에서는 명회갈색 사질토의 큰 얼룩이 노출되었는데 크기가 80×120cm이다(도면 279). 도로의 너비는 약 3.9~4.2m이다. 도로의 서쪽은 철화 얼룩들이 포함된 황갈색의 사질토층이 지나가는데 아마도 이 층은 도로의 가장자리를 나타낼 것이다. 그와 나란히 북서쪽에는 펄 간층과 모래 간층들이 섞여있는 단단한 암회갈색 사질토 띠가 노출되었다. 동쪽에는 도로의 경계가 상대적으로 분명하지 못하였다. 그 경계는 다양한 크기의 모래가 섞인 부드러운 갈색 사질토 띠였다. 이 띠에서는 숯과 동물의 뼈들이 발견되었다. 전체적으로 발굴구역의 동쪽과 북동쪽 부분에서는 토층들의 구성과 질이 위의 것들과 동일하였지만 그 위치와 크기는 변하였다. 다양한 크기의 모래가 다량 섞여 있는 명회갈색 사질토 띠는 너비가 더 줄어들었고(너비 60~160cm) 그리고 방향이 게(Г)-9방안에서 이(И)-7방안으로 나 있었다. 단단한 갈색 사질토층은 데(Д)-예(Е)-9방안에만 잔존하였다. 발굴구역의 남동쪽 모서리 부분은 전체가 황갈색의 부드러운 모래층이었다. 이(И)-6-8방안과 줴(Ж)-6방안에서는 갈색 사질토층이 너 넓게 노출되었다. 다양한 크기의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층은 이 레벨에서는 이(И)-5방안에서만 확인되었다. 암갈색 사질토의 개별 얼룩들이 예(Е)-8-9방안에서 노출되었다. 이 얼룩들의 크기는 24×60cm, 32×60cm, 40×40cm이다.
제11인공층을 조사할 때에 개별 유물에 속하는 다음과 같은 금속제와 토제의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 철제 유물편 (No. 53, 레벨 -254cm) (도면 285), 붸(В)-5방안.
- 금속제 축편 (No. 54, 레벨 -261cm) (도면 286), 베(Б)-9방안.
 
제12인공층 상면 레벨에서 토기편들은 도로 유구의 범위 내에 집중되어 있었다.
제11인공층을 조사할 때에 14점의 놀이 알이 출토되었다. 그 중의 4점은 토기 동체부편으로, 8점은 와편으로, 2점은 돌로 각각 만들었다(도면 287, 288). 토기편들은 도로의 남서쪽 부분과 가운데 부분에 집중되어 있었고, 와편들은 주로 도로의 북동쪽 부분에서 발견되었다(도면 289~302).
 

② 제12인공층

발굴조사의 다음 단계에서는 도로 노면을 제토하고 제12인공층에 대해 정리 조사를 하였다(도면 301, 302). 제12인공층의 두께는 10~20cm이다. 제13인공층 상면에서는 도로의 제5건축면 아랫부분이 단단한 회갈색 철화 사질토의 형태로 노출되었다(도면 303~306). 도로 노면의 잔존 상태는 나쁘지가 않았다. 이 레벨에서 도로 노면은 큰, 중간 및 작은 크기(25×20cm, 26×12cm, 20×16cm, 20×12cm, 27×14cm, 20×10cm, 18×24cm, 14×8cm, 14×4cm)의 돌들 무지들, 토기편들과 와편들, 놀이 알들, 동물의 뼈와 이빨들로 이루어져 있었다(도면 307, 308). 아'(А')-9방안에서 붸(В)-4방안으로 들어져 있는 상당히 큰 돌들의 열은 도로의 서쪽 경계를 나타내는 것이 분명하였다. 도로 노면에는 황갈색의 부드러운 모래 얼룩, 갈색의 부드러운 모래 얼룩, 명회갈색 사질토 얼룩 등이 노출되었다(도면 309, 310). 바로 이 레벨부터 성의 주민들이 사찰로 향하는 이 도로를 만들기 시작하였음이 분명할 것인데 왜냐하면 도로를 정리 조사할 때에 와편들과 지붕에 사용한 토제 장식편들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도로는 성벽(치 축조 이전의 성벽) 축조는 물론이고 사찰구역과 거주구역을 구분하는 돌담장 축조 이전에도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이 레벨에서 도로의 서쪽과 북서쪽 경계는 모래 간층들과 펄 간층들이 포함된 단단한 암회갈색 사질토층, 황갈색의 부드러운 모래 얼룩들, 그리고 황갈색의 거친 모래 얼룩들에 의해 구분된다. 이 경계의 북서쪽으로는 이미 노출된 바 있는 다양한 크기와 모래가 섞인 회갈색 사질토층이 인접한다(도면 311).
도로의 남동쪽에서는 황갈색의 밝고 부드러운 모래 얼룩들이 포함된 황갈색의 부드러운 모래층이 노출되었다. 발굴구역의 북동쪽 부분에서는 회갈색 사질토층이, 남동쪽 부분에서는 매우 짙은 암회갈색 사질토층이 각각 위치한다(도면 312, 313). 예(Е)-줴(Ж)-9방안에는 제12인공층 상면 레벨에서 이미 노출된 바 있는 암갈색 사질토 얼룩이 그대로 남아있다. 제12인공층을 조사할 때에 베(Б)-9방안에서는 토제 장식편(No. 55, 레벨 -269cm)(도면 316)이 출토되었다. 제12인공층을 조사할 때에 16점의 놀이 알이 출토되었다. 그 중의 3점은 토기 동체부편으로, 13점은 와편으로 각각 만들었다(도면 314).
다량으로 발견된 토기편들은 주로 도로 유구 내와 발굴구역의 북동쪽 부분에, 와편들은 가운데 부분에 각각 집중되어 있었다(도면 316~334).
 

③ 제13인공층

제13인공층은 두께 20cm까지로 조사를 하였다. 이 레벨에서 도로 조사가 최종적으로 마무리되었다(도면 335~337). 발굴구역의 서쪽, 가운데 그리고 북서쪽 부분에서는 황갈색의 부드러운 사질토층 및 거친 모래층, 명황갈색의 부드러운 모래층, 매우 짙은 암회갈색 사질토층, 그리고 회갈색 사질토층이 남서쪽에서 북동쪽으로 여전히 방향을 유지하고 있었다(도면 338). 남서쪽 부분에서는 매우 짙은 암회갈색 사질토층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는데 이곳에 토기편들과 놀이 알들, 와편들, 동물의 뼈와 이빨들, 연체동물 패각들, 그리고 개별 유물들이 집중되어 있었다(도면 339).
발굴구역의 북동쪽 부분에는 명황갈색의 부드러운 모래, 황갈색의 부드러운 모래, 황갈색의 거친 모래, 그리고 회갈색 모래 등으로 된 얼룩들과 띠들이 남동-북서 방향으로 길게 늘어져 있었다(도면 340).
제13인공층을 조사할 때에 토제 유물들이 출토되었는데 그 중에는 다음의 유물들도 포함된다.
 
- 와당편 (No. 56, 레벨 -288cm) (도면 341~343), 이(И)-9방안.
- 와당편 (No. 57, 레벨 -286cm) (도면 344~346), 줴(Ж)-8방안.
- 와당편 (No. 58, 레벨 -290cm) (도면 347, 348), 제(З)-5-6방안.
- 토제 유물편 (No. 59, 레벨 -288cm), 게(Г)-3-4방안.
 
그 외에도 제13인공층을 조사할 때에 16점의 놀이 알이 출토되었다. 그 중 12점은 와편으로, 1점은 토기 동체부편으로, 1점은 돌로 각각 만들었다(도면 349, 350). 토제 유물이 가장 집중된 곳은 발굴구역의 남동쪽 부분이었다(도면 352~364).
 

④ 제14인공층

마지막으로 제14인공층을 두께 10cm까지로 조사하였다(도면 365). 발굴구역의 남서쪽과 가운데 부분에서는 황갈색의 부드러운 모래층과 거친 모래층 그리고 철화 간층들이 섞인 회갈색 사질토층이 반복되는 것이 아직 남아있었다. 발굴구역의 북서쪽 부분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황색 및 황갈색 모래들이 섞인 회갈색 사질토층이 노출되었다. 발굴구역의 동쪽 부분에서는 매우 짙은 암회갈색 사질토가 여전히 남아 있었다. 이 레벨에서는 유물이 출토되지 않았다(도면 366).
발굴구역의 동벽과 남벽 일부 구간에 대해서는 탐색 트렌치를 넣어 더 아래 레벨의 양상을 파악하였다(도면 374, 375). 트렌치 조사에서 다음의 사실들이 확인되었다. 발굴구역의 동쪽 부분인 이(И)-5-9방안에서는 레벨 -309/ -314cm 깊이에서 매우 짙은 암회갈색 사질토층(두께 40cm)의 아래에서 갈황색의 점토 얼룩들이 섞인 황갈색의 거친 모래층이 노출되었다. 발굴구역의 남쪽 부분인 제(З)-게(Г)-9방안에서는 매우 짙은 암회갈색 사질토층(두께 40cm까지)이 그 아랫부분에서 두께가 18~28cm인 부식토층(레벨 -239/ -246cm)으로 바뀌었다. 한편 이 부식토층은 갈색의 굵은 모래층 위에 위치하였다. 발굴구역의 남쪽 부분은 자연적으로 형성된 저지였고 이곳에 시간의 경과와 함께 이탄퇴적층이 채워졌음이 분명하다. 물의 흐름으로 인해 다양한 크기의 모래와 섞이면서 이 층은 우리가 제13인공층의 상면 레벨에서 개별 얼룩들 형태로 이미 관찰한 바 있듯이 회갈색의 음영을 띠게 되었을 것이다. 층의 점성, 비, 물길에 의한 문화층의 씻김 등은 제14인공층의 상면 레벨에서 발굴구역의 남동쪽 부분에 유물이 집중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었을 것이다(도면 367~372). 한편 발굴구역의 서쪽 부분에는 황갈색의 부드러운 모래층 및 거친 모래층이 다수를 점하였는데 이곳에서는 유구의 흔적은 물론이고 토제 유물과 개별 유물도 사실상 발견되지 않았다.
이와 유사한 양상이 제44구역의 서쪽 섹터에서도 관찰된 바 있음을 지적해야 할 것이다(겔만 외, 2018: 187, 346~347).
발굴조사를 마무리하면서 발굴조사 현장은 보존을 위해 복토를 하였다. 복토를 끝냄과 거의 동시에 내린 폭우는 제51구역의 발굴조사 현장을 물로 채웠다(도면 376). 이후에 발굴구역에 복토를 더하여 표토와 같은 높이로 흙을 채워야 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3차에 걸친 발굴조사를 통해 돌을 깐 5개의 도로 건축면을 확인하였다. 2015년도의 발굴조사에서는 상태가 아주 양호한 돌을 깐 돌의 도로의 제1(윗)건축면을 노출시켰다(제2인공층과 제3인공층). 또한 도로가 사찰의 돌담장을 따라 나 있고 그리고 남쪽으로 방향을 바꾸었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이 도로는 성의 서벽 안쪽을 따라 서문지까지 나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건축면의 도로는 크라스키노 성 주민들의 높은 도로 건축 수준에 대해 말해준다. 그와 같은 높은 수준의 도로는 앞서 유적의 동문지 조사 시에도 확인된 바 있다.
제51구역의 윗건축면 도로는 모래를 깔고 만들었고 그리고 큰 및 중간 크기의 돌을 깔았고, 이 돌들의 사이사이에는 작은 자갈들로 채웠다. 도로를 사용하면서 도로를 다진 것과 도로에 깐 것이 점차적으로 훼손되었고 그로 인해 보수공사가 필요하였는데 이때에 생활 및 건축 폐기물들을 사용하였다.
도로와 관련된 퇴적물들은 사찰 건물의 지붕에 사용한 와편들과 토제 장식편들, 토기편들, 깨어진 물건들, 부엌 폐기물, 그리고 기와, 토기, 다른 생산품의 폐기물들(슬래그들, 소성 시 고열로 인해 훼손된 물건의 편들, 동물의 뼈와 이빨들, 재들, 숯들, 아궁이와 생산용 가마에서 나온 사용한 석탄 쪼가리 등등)로 이루어져 있었다. 도로에서는 주민들과 성에 온 손님들이 물건을 잃어버리기도 하였는데 이곳에서 망가진 물건들 뿐만 아니라 점토, 철, 청동, 주철로 만든 온전한 물건들도 발견되었다. 이 길을 따라 죽은 자들을 매장지로 옮기기도 하였을 것이다(발해 시기의 무덤들이 서문지에서 300m 거리에서 발견되었다)(겔만 외, 2016). 길가에서 사람들은 자유로운 시간을 보내었고, 음식을 먹었으며, 휴식을 취하였고, 그리고 심지어는 놀이도 하였다. 놀이 알들의 대부분은 바로 도로에서 집중 발견되었다.
2017년도 발굴조사 결과 두 개의 레벨로 되어 있는 도로의 윗건축면이 완전히 조사되었고(둘 모두 제3인공층과 제4인공층 조사 시에 제토되었다), 또한 그보다 더 이른 시기에 해당하는 도로의 제2건축면이 노출 및 정리 조사되었다. 도로의 제2건축면은 제5인공층과 제6인공층에서 조사되었다. 제2건축면에서는 도로를 정기적으로 보수한 흔적이 확인되었다. 이 레벨에서 도로 노면은 중간 및 작은 크기의 돌들, 그리고 돌들에 비해 수량이 훨씬 더 많은 생활 및 건축 폐기물들의 퇴적물이 특징적이었다. 도로 보수에는 그 위에 건축면에서와 마찬가지로 가까이에서 구할 수 있는, 다시 말해서 사찰구역에서 사용한 건축 폐기물들을 사용하였다.
제8인공층의 상면 레벨에서는 도로의 제3건축면이 확인되었다. 도로의 방향은 위의 두 도로 건축면에서와 동일하였다. 이 레벨에서는 도로의 경계가 분명하지는 못하였다. 그 위에 제7인공층 상면 레벨에서는 도로가 게(Г)-데(Д)-5-6방안에서 성벽과 사찰의 돌담장이 인접한 부분에서 동쪽으로 방향을 바꾸는 것이 분명하게 확인되었다(겔만, 2018, 도면 230). 제3건축면에서 도로의 너비는 평균 2.5m였다. 발굴구역의 서쪽 부분에서는 도로가 훨씬 더 잘 파악이 되었는데, 왜냐하면 이곳에서는 도로의 위치가 (아래의 제4건축면과 비교하여) 바뀔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다. 동쪽 부분에서는 이 레벨에서 도로가 막 생기기 시작하였다. 도로의 노면은 주로 건축 및 생활 폐기물들로 되어 있고, 그 속에는 작은 돌들도 섞여 있었다.
제9인공층과 제10인공층 상면 레벨의 제4건축면 도로는 방향이 바뀐다. 서쪽 부분에서 성의 서벽을 따라 나있는 도로가 동쪽으로 방향을 바꾸지 않고 그대로 사찰구역인 북동쪽으로 이어진다. 이 레벨에서 도로 내부의 퇴적물은 위의 경우들과 마찬가지로 건축 및 생활 폐기물들과 다량의 작은 및 중간 크기와 돌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단계에서 사용된 도로의 너비는 3.8~4m이다. 이는 성의 이 구간 도로의 레벨과 성벽기초 부분에 놓여 있는 돌들의 레벨이 일치한다는 점에도 증명된다. 또한 이 시기에는 사찰구역과 거주 구역 사이에 아직 돌담장이 없었고 그리고 도로가 성벽을 따라 바로 사찰로 나 있었음이 분명하다. 이 시기에 사찰이 존재하였다는 것은 도로의 퇴적물에 (사찰구역과 거주구역의 유구들에서 사용된 다른 유물들 이외에) 사찰의 지붕에 사용한 와편과 토제 장식편들도 들어있다는 사실이 증명한다. 그 외에도 제4건축면의 도로가 성벽의 기단과 동일한 레벨에 위치한다는 사실도 지적되어야 할 것이다. 이 사실은 도로와 거주구역의 건축면들을 성벽 축조시기와 서로 관련지을 수 있게 하였다. 이 점은 크라스키노 성에 대한 최근의 발굴조사에서 가장 중요한 발견 중의 하나이다.
제11인공층~제13인공층을 조사하면서 우리는 도로의 제5건축면을 구분해 낼 수 있었다. 제11인공층 상면 레벨에서 도로의 퇴적물은 대부분 와편으로 대표되는 건축 폐기물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돌은 수량이 적어 무지를 이루지도 못하였고 그리고 일정한 규칙도 보이지 않았다. 이 레벨에서 도로의 너비는 3.25m이다. 제12인공층 상면 레벨에서는 중간 크기의 돌들이 훨씬 더 많이 발견되었고 그리고 이 돌들은 도로의 너비와 전체 길이를 잘 보여주었다. 이 레벨에서 도로의 너비는 3.9~4m이다.
도로의 마지막 제5건축면은 제13인공층의 상면에서부터 시작된다. 이곳에서는 도로가 주변의 동쪽 및 서쪽과 구분되는 퇴적물을 포함하고 있었고 그리고 남서-북동 방향으로 나 있었다. 도로 노면의 보존상태가 좋지 못하였지만 도로를 만들 때에 건축 및 생활 폐기물뿐만 아니라 상당히 큰 돌들도 사용하였음이 분명하였다. 제13인공층 상면 레벨부터 성의 이 구간 도로 건설이 시작되었었다. 도로의 퇴적물과 인접하는 층들에서 사원 지붕에 사용한 다량의 와편, 와당편들, 장식편들이 발견되었다. 예를 들어, 치미편 1점이 레벨이 -269cm인 도로 상면 레벨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는 성벽 석축의 기단이 놓인 레벨 -230/-236cm보다 훨씬 더 낮은 레벨이다.
따라서 성의 이 구간에서는 도로가 성벽보다 훨씬 더 이른 시기에 이미 사용되기 시작하였다(성벽은 제9~10인공층 레벨, 즉 제4건축면부터 축조하였다). 이 사실은 성이 축조되기 이전부터 이곳에 사찰이 운용되는 마을이 있었음을 말한다. 사찰의 잔재들도 몇 개의 건축면에 각각 해당된다. 가장 아래의 두 건축면에서 도로는 곧바로 사원으로 향하고 있다. 그 보다 늦은 제3건축면 레벨에서 사찰구역과 성의 나머지 구간을 구분하는 돌담장이 (제8인공층 레벨에서) 축조되었다. 사찰구역과 거주구역을 구분하는 그리고 도로의 윗건축면과 관련된 돌담장의 기초는 단번에 등장한 것이 아니었다. 그리고 도로는 사찰 돌담장을 따라 동쪽 위도 방향으로 향하게 되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 제5건축면 자료번호 : kr.d_0015_0030_003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