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일본서기

조길사이기나(調吉士伊企儺)의 용맹함

동시에 포로가 되었던 조길사이기나(調吉士伊企儺;츠키노키시이키나)주 001
번역주 001)
伊企儺가 이름이다. 調吉士에 대해서는 『日本書紀』 계체천황 24년 9월조 調吉士 참조.
닫기
는 용맹한 사람으로 끝까지 항복하지 않았다. 신라 장군이 칼을 빼서 목을 베고자 하였다. 억지로 잠방이를 벗기고 엉덩이를 일본으로 향하게 하고, “일본 장군은 내 엉덩이를 깨물어라.”라고 크게 소리치며[규(叫)는 부르짖다는 뜻이다.] 협박하였다. 그러자 (이기나는) “신라왕은 나의 엉덩이나 먹어라.”라고 크게 소리 질렀다. 몹시 괴롭힘을 당했으나 여전히 전과 같이 소리쳤다. 이 때문에 죽었다. 그의 아들 구자(舅子;오지코)주 002
번역주 002)
여기에만 보인다.
닫기
도 그 아버지를 안고서 죽었다. 이기나의 말은 이렇게 빼앗기 어려웠다. 그래서 여러 장수들이 특히 애석해 하였다. 그의 아내 대엽자(大葉子;오호바코)주 003
번역주 003)
여기에만 보인다.
닫기
도 함께 사로잡혔는데, “가라구이(柯羅俱爾;카라쿠니)주 004
번역주 004)
韓國, 즉 여기서는 신라를 가리킨다.
닫기
의 성 위에 서서 대엽자는 영건(領巾)주 005
번역주 005)
여자가 목부터 어깨까지 걸치는 가는 장식용 천을 말한다.
닫기
을 흔들고 있네요. 일본을 향해서.”라고 슬프게 노래하였다. 어떤 이가 “가라구이의 성 위에 서서 대엽자가 영건을 흔들고 있는 것이 보인다. 난파를 향해서.”라고 화답하였다.

  • 번역주 001)
    伊企儺가 이름이다. 調吉士에 대해서는 『日本書紀』 계체천황 24년 9월조 調吉士 참조.바로가기
  • 번역주 002)
    여기에만 보인다.바로가기
  • 번역주 003)
    여기에만 보인다.바로가기
  • 번역주 004)
    韓國, 즉 여기서는 신라를 가리킨다.바로가기
  • 번역주 005)
    여자가 목부터 어깨까지 걸치는 가는 장식용 천을 말한다.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조길사이기나, 이기나, 구자, 이기나, 대엽자, 대엽자
지명
난파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조길사이기나(調吉士伊企儺)의 용맹함 자료번호 : ns.k_0032_0220_0030_0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