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5) 중간생활면 금당 석축 담장기초

중간생활면 금당지의 서쪽과 서남쪽 바깥으로 석열 형태의 담장기초가 평면 ‘ㄴ’자 모양을 이루며 노출되었다. 이 석축 담장기초의 안쪽에는 (위생활면) 금당지도 위치하지만 (위생활면) 금당지의 석축마감과는 레벨 차이가 1m 이상으로 큰 차이를 보인다. 이 석축 담장기초는 두 레벨 금당의 북서변 및 남서변과 평행을 이룬다. 담장기초의 북서변은 중간생활면 금당지 서변과 약 5.5m의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
이 중간생활면 금당의 석축 담장기초는 1997년에 조사를 한 제15구역과 1998년에 조사를 한 제16구역 및 제17구역에 걸쳐 위치한다. 1997년 제15구역에서 조사할 때에 이 담장기초 석열은 지표 아래5 6~70㎝ 깊이에서 노출되었다. 제15구역에서는 3.5m 길이가 노출되었는데 큰 돌을 1~2겹 정도 쌓아서 만들었다(도면 21; 22). 잔존 높이는 25~35㎝, 너비는 40㎝이다. 이 석열과 나란히 바깥쪽에 깨어진 와편들이 띠를 이루면서 발견되었는데 담장의 차양 잔재로 파악되었다. 이 석열의 남서쪽 끝부분에서 2m의 거리를 두고 이 석열과 동일 선상에 있는 석열이 곧바로 직각을 이루면서 남동-북서 방향으로 꺾이는 다른 석열이 하나 더 있다. 다만 남동-북서 방향의 석열은3 매의 돌만 남아 있어 매우 짧으며 그다음은 남동 방향으로 회색 사질토로 채워진 기둥구멍들과 큰 돌들로 된 초석의 적심이 확인되었다. 이 적심은 크기가1 ×1m이다. 발굴조사자는 이 두 석열을 하나의 담장기초로 보면서 2m의 빈 공간은 중간생활면 금당지로 출입할 수 있는 문지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도면 21 | 서북지역 북부 사찰구역 제15구역 중간생활면 금당지 담장 평면도(1997)
도면 22 | 서북지역 북부 사찰구역 중간생활면 금당지 담장 모습(1997, 남동쪽에서)
제15구역 부분에서는 담장의 안쪽은 깨끗한 명회색 사질토로 덮여있었고, 바깥쪽은 숯, 소토 등등 생산의 흔적들이 섞인 토양으로서 서로 차이가 났다.
1998년에 조사가 된 제16구역과 제17구역에서는 제15구역에서 조사된 담장 기초의 북동쪽 끝부분에서 더 이어 새로이 13.5m 길이로 담장의 석축 기초가 노출되었다(도면 23; 24). 이곳에서도 석축으로 된 담장기초의 너비는 0.4m 이하, 높이는 0.35m, 석축에 1~2겹의 돌이 잔존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다만 담장기초의 석열에서 아래의 단에는 큰 돌을, 위의 단에는 작은 돌을 사용한 것으로, 돌들 사이의 틈에는 흙을 메워 넣은 것으로 판단되었다(도면 25). 이곳에서도 담장기초의 바깥 부분에서 담장기초의 윗부분 단과 같은 레벨에서 기와들이 발견되었는데 와당도 함께 확인되었다. 기와는 그 아래의 암회색 불탄 사질토층에서도 계속 확인되었다. 이곳의 일부 구간에는 사질토가 흑색, 숯이 집중된 재-흙이었다. 이 층은 2㎝를 넘지는 않았다. 이것은 돌담 기초 위에 세운 나무담장의 흔적으로 그리고 나무담장 위에는 기와지붕이 있었을 것으로 각각 추정되었다.
도면 23 | 서북지역 북부 사찰구역 제16구역과 제17구역 중간생활면 금당지 담장 평면도(1998)
도면 24 | 서북지역 북부 사찰구역 제15~17구역 중간생활면 금당지 담장 모습(1998, 남서쪽에서)
도면 25 | 서북지역 북부 사찰구역 제16구역 중간생활면 금당지 담장 세부 모습
중간생활면 금당지의 석축 담장기초 추정 문지 부분에서 토제 도깨비-용머리 형상이 편들 상태로 발견되었다(도면 1998-37, 39). 때문에 이 형상들은 중간생활면 금당의 문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중간생활면 금당지의 서쪽 석축기초 담장은 전체 약 20m 길이가 확인되었다. 그중 순수 석열을 이루는 부분은 길이가 약 17.5m이고, 추정 문지 부분은 길이가 2m이다. 서쪽 담장과 직각으로 연결된 남동-북서방향의 담장은 아직 분명하지는 못하지만 모서리부분에서 적심까지는 길이가 약 6m이다.
다만 중간생활면 금당 담장의 출입문이 금당의 정면이 아니라 측면의 모서리 한쪽에 위치하였을 것이라는 추정에는 의문이 남는다. 또한 담장의 기초는 돌로 조성하고 그 위에 나무로 담장의 기본부분을 구성하고 그리고 그 위에 기와 차양을 덮는 것이 얼마나 효율적인지에 대해서도 고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담장은 아브리꼬스 절터에서도 추정된 바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5) 중간생활면 금당 석축 담장기초 자료번호 : kr.d_0016_0020_0010_0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