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이곳에 대한 발굴조사는 2011년에 제47구역을 중심으로 시작되었다(도면 437). 2011년에는 제47구역에 동남-북서방향으로 섹터 3개를 설정하여 조사를 시작하였고, 나중에 북서방향으로 확장하여 섹터3'를 추가로 조사하였다. 이때 석축담장기초와 그 안쪽의 돌무지(2011년도 보고서에는 ‘석축기단 건축물’로 보고), 18호 주거지, 남북 방향의 도로가 각각 확인되었다. 2012년에는 석축담장기초와 돌무지의 남동쪽으로 제47구역 섹터4와 섹터 5를 설정하여 19호 주거지를 조사하였다. 이때 석축담장기초의 한쪽 끝부분이 확인되었고, 다듬잇돌이 출토되었다. 2013년에는 섹터3의 동남쪽으로 섹터6, 섹터7, 섹터8을 설정하여 조사를 하였다. 이때 섹터6에서는 청동거울이 출토되었고, 22호 주거지가 조사되었으며, 섹터8에서 동서 방향의 도로가 확인되었다. 2014년에는 제47구역 섹터3과 섹터6의 남(서)쪽에 제49구역을 설정하였다. 제47구역 섹터3에서는 2011년에 확인된 도로가 아래로 제5생활면까지 존재하였음을 밝혔고(도면 438~441), 제49구역에서는 ‘十’자 모양으로 교차하는 도로의 노면을 노출시켰다. 2015년에는 제47구역의 섹터2에 대해 아래로 심화 조사를 하여 청동 낙타상(도면 2015-472; 473)(도면 731)을 발견하였고, 또한 제47구역 섹터5의 남(서)쪽에 제5구역을 설정하여 동서방향 도로의 다른 부분과 다수의 저장용 움을 조사하였다. 2017년과 2018년에는 제50구역의 남(서)쪽에 설정한 제53구역을 조사하였다. 제53구역에서는 북서섹터에서 26호 주거지가, 중앙섹터에서 25호와 27호 주거지가 각각 조사되었고, 남서섹터에서는 한인 이주민들이 남긴 움들이 조사되었다.
도면 437 | 크라스키노성 중북지역 도로 및 주거구역(제47, 제49, 제50, 제53구역) 유구 배치도
도면 438 | 크라스키노성 제47구역 섹터 3 토층도(2014)
도면 439 | 크라스키노성 제47구역 섹터 3 북동벽 토층 모습(2014)
도면 440 | 크라스키노성 제47구역 섹터 3 남동벽 토층 모습(2014)
도면 441 | 크라스키노성 제47구역 섹터 3 남서벽 토층 모습(2014)
크라스키노성의 중북지역 주거구역에서 조사된 동서방향(정확하게는 동동북-서서남 방향)과 남북방향(정확하게는 남남서-북북동 방향)으로 난 ‘十’자 모양으로 서로 교차하는 도로의 존재는 성내가 일정 단위의 구획들, 즉 ‘방’들로 나뉘어져 있었음을, 이 성이 계획도시였음을 말한다. 또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남북방향의 도로와 평행을 유지하는 석축담장기초의 존재는 각 단위의 구획 혹은 ‘방’이 다시 세부단위들로 나뉘어져 있었음을 말한다. 향후 도로의 다른 교차하는 지점들을 확인하고, 또 그 내부의 유구들을 발굴한다면 크라스키노성의 도시계획에 대해, 나아가 발해 성들 도시계획에 대해 많은 사실들을 알아낼 수 있을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5. 중북지역 도로 및 주거구역 자료번호 : kr.d_0016_0020_0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