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대월지국(大月氏國)에 대한 소개

  • 국가
    대월지국(大月氏國)
대월지국(大月氏國). 도읍은 감씨성(監氏城) 주 001
각주 001)
監氏(kam-zie) : ‘藍氏’ 혹은 ‘藍市’라고도 표기. Chavannes는 Badakhshan을, Tarn은 박트리아의 알렉산드리아를, Pulleyblank는 발흐 동쪽에 있는 Khulm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았다. Hulsewé는 남부 타지키스탄에 있는 Garm일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제기하였다(Hulsewé 1979 : 119).
닫기
이고, 장안에서 11,600리 떨어져 있다.주 002
각주 002)
監氏城에서 捐毒國까지 17日半(1,750리)이고, 捐毒國에서 장안까지 9,860리라고 하였다. 따라서 본문의 11,600리는 11,610리의 오류일지도 모른다.
닫기
도호에 복속하지 않으며, 호수는 10만, 인구는 40만, 병사는 10만 명이다. 동쪽으로 4,740리 가면 도호의 치소에 이르고, 서쪽으로 49일 거리를 가면 안식에 이른다. 남으로 계빈에 접한다. 토지, 기후, 물산, 민속, 화폐는 안식과 동일하다. 단봉낙타가 나온다. 대월지는 본시 이동생활을 하며 가축을 따라 옮겨다니고 흉노와 풍속이 같다. 활을 당길 수 있는 사람이 10여만 명이어서, 그런 까닭에 강성함을 [믿고]주 003
각주 003)
故彊 : 「大宛列傳」에는 ‘故時彊’이라고 되어 있는데 이는 ‘故恃彊’의 오류이다. 위 본문의 ‘故彊’도 가운데 恃를 삽입해야 할 것이다.
닫기
흉노를 가벼이 여겼다. 처음에 돈황기련 사이에 살았으나, 묵특선우가 월지를 공파하고 노상선우월지[왕]을 죽여 그 머리로 술마시는 그릇을 삼기에 이르자, 이에 월지는 멀리 떠나 대완을 지나서 서쪽으로 대하를 공격하여 그들을 신하로 삼고, 규수의 북쪽에 왕정을 두었다. 그 나머지 [서쪽으로] 갈 수 없었던 소수의 무리는 남산의 강족에게 보호를 받으며 소월지라 불리운다. 대하에는 본디 대군장이 없었고 성읍들은 때때로 군소의 수령[小長]을 두었다. 주민들은 약해서 전투를 두려워했기 때문에, 월지가 이주해 오자 모두 그에 신복하였다.주 004
각주 004)
이 내용은 한 명의 국왕이 통치하던 박트리아(大夏)와는 잘 맞지 않는다. 따라서 이것은 아마 박트리아가 북방에서 남하한 Asiani, Pasiani, Tocharoi 등과 같은 유목집단에 의해 붕괴되어 여러 지방 세력으로 나뉘어진 이후의 사정을 말하는 것이 아닐까 추정된다.
닫기
그들은 모두 한나라 사신들에게 [물자를] 공급[稟]해 준다. 다섯 명의 흡후(翎侯)주 005
각주 005)
‘翎侯’는 “翎即翕字”라고 한 顔注처럼 ‘翕侯(xiəp-g’u)’로 읽어야 할 것이다. Pulleyblank에 따르면 이 단어는 토하라어에서 ‘땅, 지방’을 뜻하는 yapoy 혹은 ype라는 말과 연관된 것이라고 하는데, 대체로 학자들은 翕侯가 yabghu를 옮긴 말로 추정하고 있다(Hulsewé, 1979 : 121). yabghu(葉護)는 shad(設, 啜)와 함께 돌궐제국 시대에 qaghan 다음의 고위 관칭호였다. 大月氏에 복속한 이 다섯 翕侯는 아무다리 남쪽에 위치하며, 동쪽의 Wakhan 계곡에서 시작하여 서쪽으로 Balkh에 이르기까지 點在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翕侯=yabghu의 어원에 대해서는 Frye(1962 : 356-358) 참조.
닫기
가 있다. 첫째는 휴밀(休密)주 006
각주 006)
休密(xiəu-miet) : Marquart에 따르면 Wakhan 지방을 지칭한다. 이하 각 翎侯와 관련된 명칭과 그 위치에 관한 설명은 Hulsewé(1979 : 121-123) 참조. 그러나 이에 대한 비판은 Daffinà(1982 : 321-323)를 보시오.
닫기
흡후이고 도읍은 화묵성(和墨城) 주 007
각주 007)
和墨(ɣuâ-mək)城 : Ptolemy의 『地理志』에 나오는 小部落 Komedae의 音譯으로 보인다.
닫기
이며, 도호에서 2,841리, 양관에서 7,802리 떨어져 있다. 둘째는 쌍미(雙靡)주 008
각주 008)
雙靡(șang-mjie) : Chitral 지방으로 추정.
닫기
흡후이고 도읍은 쌍미성(雙靡城)이며, 도호에서 3,741리, 양관에서 7,782리 떨어져 있다. 셋째는 귀상(貴霜)주 009
각주 009)
貴霜(kjwei-șiang) : Kushan의 音譯으로 추정.
닫기
흡후이고 도읍은 호조성(護澡城) 주 100
각주 100)
護澡(ɣuo-tsâu)城 : Pulleyblank에 따르면 이 단어의 古音은 hwax-tsau로 Wakhshab를 음역한 것이고, 오늘날 아무다리 상류의 Wakhshu 강을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
닫기
이며, 도호에서 5,940리, 양관에서 7,982리 떨어져 있다. 넷째는 힐돈(肸頓)주 011
각주 011)
肸頓(xiet-twən) : Panjshir 강가에 있는 Parwan으로 추정.
닫기
흡후이고 도읍은 박모성(薄茅城) 주 012
각주 012)
薄茅(p’âk-mau)城 : 余太山(2005 : 124)은 이것이 薄第의 오류로 보고, Badakhshan 지방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추정.
닫기
이며, 도호에서 5,962리, 양관에서 8,202리 떨어져 있다. 다섯째는 고부(高附)주 013
각주 013)
高附(kâu-b’iu) : Kabul의 音寫로 추정. 『後漢書』에는 다섯 번째 翕侯로 高附가 아니라 都密을 꼽았다. 王先謙도 大月氏가 高附를 장악한 것은 安息을 격파한 뒤의 일이니, 高附를 다섯 개의 翕侯 안에 포함시키는 것은 오류라고 지적한 바 있다. Pulleyblank는 都密의 古音을 tah-mlit로 복원하고 Tarmita를 옮긴 말이며 오늘날 Termez를 지칭한다고 추정했다.
닫기
흡후이고 도읍은 고부성(高附城)이며, 도호에서 6,041리, 양관에서 9,283리 떨어져 있다. 대저 다섯 흡후는 모두 대월지에 복속해 있다.

  • 각주 001)
    監氏(kam-zie) : ‘藍氏’ 혹은 ‘藍市’라고도 표기. Chavannes는 Badakhshan을, Tarn은 박트리아의 알렉산드리아를, Pulleyblank는 발흐 동쪽에 있는 Khulm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았다. Hulsewé는 남부 타지키스탄에 있는 Garm일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제기하였다(Hulsewé 1979 : 119).
     바로가기
  • 각주 002)
    監氏城에서 捐毒國까지 17日半(1,750리)이고, 捐毒國에서 장안까지 9,860리라고 하였다. 따라서 본문의 11,600리는 11,610리의 오류일지도 모른다.
     바로가기
  • 각주 003)
    故彊 : 「大宛列傳」에는 ‘故時彊’이라고 되어 있는데 이는 ‘故恃彊’의 오류이다. 위 본문의 ‘故彊’도 가운데 恃를 삽입해야 할 것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4)
    이 내용은 한 명의 국왕이 통치하던 박트리아(大夏)와는 잘 맞지 않는다. 따라서 이것은 아마 박트리아가 북방에서 남하한 Asiani, Pasiani, Tocharoi 등과 같은 유목집단에 의해 붕괴되어 여러 지방 세력으로 나뉘어진 이후의 사정을 말하는 것이 아닐까 추정된다.
     바로가기
  • 각주 005)
    ‘翎侯’는 “翎即翕字”라고 한 顔注처럼 ‘翕侯(xiəp-g’u)’로 읽어야 할 것이다. Pulleyblank에 따르면 이 단어는 토하라어에서 ‘땅, 지방’을 뜻하는 yapoy 혹은 ype라는 말과 연관된 것이라고 하는데, 대체로 학자들은 翕侯가 yabghu를 옮긴 말로 추정하고 있다(Hulsewé, 1979 : 121). yabghu(葉護)는 shad(設, 啜)와 함께 돌궐제국 시대에 qaghan 다음의 고위 관칭호였다. 大月氏에 복속한 이 다섯 翕侯는 아무다리 남쪽에 위치하며, 동쪽의 Wakhan 계곡에서 시작하여 서쪽으로 Balkh에 이르기까지 點在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翕侯=yabghu의 어원에 대해서는 Frye(1962 : 356-358)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06)
    休密(xiəu-miet) : Marquart에 따르면 Wakhan 지방을 지칭한다. 이하 각 翎侯와 관련된 명칭과 그 위치에 관한 설명은 Hulsewé(1979 : 121-123) 참조. 그러나 이에 대한 비판은 Daffinà(1982 : 321-323)를 보시오.
     바로가기
  • 각주 007)
    和墨(ɣuâ-mək)城 : Ptolemy의 『地理志』에 나오는 小部落 Komedae의 音譯으로 보인다.
     바로가기
  • 각주 008)
    雙靡(șang-mjie) : Chitral 지방으로 추정.
     바로가기
  • 각주 009)
    貴霜(kjwei-șiang) : Kushan의 音譯으로 추정.
     바로가기
  • 각주 100)
    護澡(ɣuo-tsâu)城 : Pulleyblank에 따르면 이 단어의 古音은 hwax-tsau로 Wakhshab를 음역한 것이고, 오늘날 아무다리 상류의 Wakhshu 강을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
     바로가기
  • 각주 011)
    肸頓(xiet-twən) : Panjshir 강가에 있는 Parwan으로 추정.
     바로가기
  • 각주 012)
    薄茅(p’âk-mau)城 : 余太山(2005 : 124)은 이것이 薄第의 오류로 보고, Badakhshan 지방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추정.
     바로가기
  • 각주 013)
    高附(kâu-b’iu) : Kabul의 音寫로 추정. 『後漢書』에는 다섯 번째 翕侯로 高附가 아니라 都密을 꼽았다. 王先謙도 大月氏가 高附를 장악한 것은 安息을 격파한 뒤의 일이니, 高附를 다섯 개의 翕侯 안에 포함시키는 것은 오류라고 지적한 바 있다. Pulleyblank는 都密의 古音을 tah-mlit로 복원하고 Tarmita를 옮긴 말이며 오늘날 Termez를 지칭한다고 추정했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묵특선우, 노상선우
지명
대월지국(大月氏國), 감씨성(監氏城), 장안, 계빈, 안식, 대월지, 돈황, 기련, 월지, 월지, 대완, 대하, 규수, 대하, 월지, 한나라, 화묵성(和墨城), 쌍미성(雙靡城), 호조성(護澡城), 박모성(薄茅城), 고부성(高附城), 대월지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대월지국(大月氏國)에 대한 소개 자료번호 : jo.k_0002_0096_021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