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선선국(歚善國)에 대한 소개

  • 국가
    선선국·누란국(鄯善國·樓蘭國)
선선국(鄯善國). 본명은 누란(樓蘭)이며, 도읍은 우니성(扜泥城)이다.주 001
각주 001)
扜泥(jiu-niei) : 『史記』의 일부 판본에는 扜가 아니라 扞(γan) 혹은 拘(kiu)로도 표기되어 있다. 카로슈티 문서에는 樓蘭[Kroraina]의 도읍지의 명칭이 kuhani 혹은 kvhani로 표기되어 있고, 이는 『後漢紀』의 驩泥(xuan-niei)와 일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扜泥가 아니라 扞泥가 더 정확한 표기라고 보는 입장도 있다. 樓蘭의 위치는 북위 40도 31분, 동경 90도에서 약간 서쪽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 판명되어 있다. 樓蘭은 전77년 한나라가 尉屠耆를 왕으로 세우고 국명을 鄯善으로 개칭하였다. 후에 西域都護에 소속되어 있었으나, 後漢 때에는 莎車에 속했고, 小宛․戎盧․且末 등과 함께 아들을 보내 入侍케 하였다.
닫기
양관에서 1,600리, 장안에서 6,100리 떨어져 있다. 호수는 1,570, 인구는 14,100, 병사는 2,912명이다. 보국후(輔國侯)·각호후(卻胡侯)·선선도위(鄯善都尉)주 002
각주 002)
都尉 : 漢代에 郡太守의 명령을 받고 군대의 지휘를 담당하는 관리이다. 한나라에서는 기원후 30년 일부 변경지방을 제외하고는 이 직책이 폐지되었다. 물론 본문에서 열거되는 관직들은 현지인들에게 주어진 것이며, 대부분 한나라의 정책적 의도가 표현되어 있다. 예를 들어 輔國侯는 “나라를 돕는 侯”, 卻胡侯는 “오랑캐를 물리치는 侯”, 鄯善都尉는 “鄯善의 군대를 지휘하는 都尉”, 擊車師都尉는 “車師에 대한 군사작전을 담당하는 都尉” 등이 그러하다. 그러나 且渠는 匈奴의 職名이었는데, 그 뜻은 밝혀져 있지 않다.
닫기
·격거사도위(擊車師都尉)·좌차거(左且渠)·우차거(右且渠)·격거사군(擊車師君)이 각각 1명씩 두어져 있으며, 역장(譯長)주 003
각주 003)
譯長 : 고대 중국에서는 ‘舌人’ 혹은 ‘象胥’라고 불리던 譯官이 존재했는데, 秦 통일 이후 典客 혹은 典屬國이라는 직책을 설치하여 외국의 사무를 처리토록 하였다. 漢代에도 典客이 설치되었는데, 武帝 때에 들어와 大鴻盧로 이름이 바뀌었고 屬官으로는 行人, 譯官, 別火三令, 丞, 郡邸長丞 등이 두어졌다. 西域과 소통하고 사신들의 파견이 빈번해져 “使者相望于道, 一歲中多至十餘輩‘라는 상황에 이르게 되면서, 西域 각국에 譯長이 설치되기에 이르렀다. 자료상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모두 24개국에 36명이 설치되었으며, 적게는 1명에서 많게는 4명까지 다양하다. 인구가 많고 국력이 비교적 강하여 한나라와 외교관계가 빈번했던 龜玆, 焉耆, 莎車 등 3국에는 3~4명의 譯長이 두어져 가장 많은 숫자를 보였다. 譯長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俄琼琸馬(2006) 참조.
닫기
2명이 있다.주 004
각주 004)
이상 鄯善에 두어진 官職들은 輔國侯와 譯長을 제외하고는 모두 軍職이며, 이는 漢의 西域經營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즉 漢은 西域의 도시들을 장악함으로써 匈奴와의 공격에 대비하려고 했고, 특히 匈奴와의 격돌의 중심지였던 車師에서 가까운 鄯善에 擊車師都尉․擊車師君․却胡侯 등의 軍官을 둔 것은 의미심장하다. 鄯善에는 토착적 전통에 의한 官制도 운영되었으며, 카로슈티 문서에는 kala, guśura, camkura, ogu, kitsaitsa, suvetha, tasuca 등의 官名이 기록되어 있다(Enoki 1963 : 213-214, 238).
닫기
서북으로 도호의 치소에서 1,785리 떨어져 있으며, 산국(山國) 주 005
각주 005)
山國 : 顔注 : “이 나라는 산간에 있기 때문에 山國이라 이름한 것이다.” 余太山(2005 : 80)은 山國을 西域北道상에 위치한 오아시스 도시들로 보았으나, 다수의 학자들은 墨山國의 略稱으로 보고 있다. Grenard나 Chavannes와 같은 학자들은 墨山이 쿠를라 남방 130km 지점에 있는 Kizil Sanghir라고 하였다(Hulsewé, 1979 : 85, 182 참조).
닫기
까지 1,365주 006
각주 006)
일부 학자들은 6세기 『水經注』의 기록에 따라 1,865리가 맞다고 본다.
닫기
리이며, 서북쪽으로 거사까지 1,890리 떨어져 있다. 땅은 모래와 염분이 많고 밭이 적어서, 이웃 나라에 농사를 맡기고 옆나라의 곡식에 의존하고 있다.주 007
각주 007)
寄田仰穀旁國 : 顔師古는 이 구절을 “種田은 他國에게 맡기고, 旁國의 곡물을 사들여 온다는 뜻이다.”라고 해석하였다(Daffinà, 1982 : 308 참조).
닫기
나라에서는 옥이 나오며, 골풀[葭葦]·버드나무[檉柳]주 008
각주 008)
檉柳 : 顔注 : “檉柳는 河柳이니 오늘날 赤檉이라 부르는 것이다. 白草는 강아지풀 비슷하나 가늘며 까끄라기(芒)가 없다. 乾孰할 때가 되면 正白色이 되며 牛馬가 먹기 좋아한다.” 이것은 소위 渭城柳(tamarisk)라고 불리는 것인데, 지중해 연안부터 중앙아시아와 북중국에 이르기까지 염분이 많은 건조․반건조 지대에 자란다. 붉은색을 띠기 때문에 紅柳라고도 불리며, 키는 1.7m가 넘지 않고 가지와 잎이 무성하다. 學名은 Tamarix chinensis.
닫기
·호동(胡桐)주 009
각주 009)
胡桐 : 顔注 : “胡桐은 오동나무(桐)와 유사하고 뽕나무와는 같지 않다. 벌레가 그 나무를 갉아먹어 진액이 아래로 흐르는데, 이를 세간에서는 胡桐淚라고 부르니 마치 눈물과 비슷하다고 해서 그렇게 부르는 것이다. 金銀과도 같이 귀하여 여겨 지금은 工匠들이 모두 그것을 사용한다.” Laufer(1919 : 339-342)에 따르면 學名은 Populus balsamifera.
닫기
·백초(白草)주 100
각주 100)
白草 : 이것은 䒩(Setaria viridis)와 비슷하지만 더 가늘고 까끄라기가 없고, 마르면 흰색이 되며, 가축의 사료로 사용된다고 한다(Laufer, 1919 : 339). 白英(Solanium dulcamara)으로 보는 견해도 있고 白蘞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Hulsewé, 1979 : 85).
닫기
등이 많다. 주민들은 가축을 몰고 수초를 따라다니며, 나귀와 말이 있고 낙타가 많다. 능히 무기를 만드는데 이는 야강과 동일하다.

  • 각주 001)
    扜泥(jiu-niei) : 『史記』의 일부 판본에는 扜가 아니라 扞(γan) 혹은 拘(kiu)로도 표기되어 있다. 카로슈티 문서에는 樓蘭[Kroraina]의 도읍지의 명칭이 kuhani 혹은 kvhani로 표기되어 있고, 이는 『後漢紀』의 驩泥(xuan-niei)와 일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扜泥가 아니라 扞泥가 더 정확한 표기라고 보는 입장도 있다. 樓蘭의 위치는 북위 40도 31분, 동경 90도에서 약간 서쪽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 판명되어 있다. 樓蘭은 전77년 한나라가 尉屠耆를 왕으로 세우고 국명을 鄯善으로 개칭하였다. 후에 西域都護에 소속되어 있었으나, 後漢 때에는 莎車에 속했고, 小宛․戎盧․且末 등과 함께 아들을 보내 入侍케 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2)
    都尉 : 漢代에 郡太守의 명령을 받고 군대의 지휘를 담당하는 관리이다. 한나라에서는 기원후 30년 일부 변경지방을 제외하고는 이 직책이 폐지되었다. 물론 본문에서 열거되는 관직들은 현지인들에게 주어진 것이며, 대부분 한나라의 정책적 의도가 표현되어 있다. 예를 들어 輔國侯는 “나라를 돕는 侯”, 卻胡侯는 “오랑캐를 물리치는 侯”, 鄯善都尉는 “鄯善의 군대를 지휘하는 都尉”, 擊車師都尉는 “車師에 대한 군사작전을 담당하는 都尉” 등이 그러하다. 그러나 且渠는 匈奴의 職名이었는데, 그 뜻은 밝혀져 있지 않다.
     바로가기
  • 각주 003)
    譯長 : 고대 중국에서는 ‘舌人’ 혹은 ‘象胥’라고 불리던 譯官이 존재했는데, 秦 통일 이후 典客 혹은 典屬國이라는 직책을 설치하여 외국의 사무를 처리토록 하였다. 漢代에도 典客이 설치되었는데, 武帝 때에 들어와 大鴻盧로 이름이 바뀌었고 屬官으로는 行人, 譯官, 別火三令, 丞, 郡邸長丞 등이 두어졌다. 西域과 소통하고 사신들의 파견이 빈번해져 “使者相望于道, 一歲中多至十餘輩‘라는 상황에 이르게 되면서, 西域 각국에 譯長이 설치되기에 이르렀다. 자료상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모두 24개국에 36명이 설치되었으며, 적게는 1명에서 많게는 4명까지 다양하다. 인구가 많고 국력이 비교적 강하여 한나라와 외교관계가 빈번했던 龜玆, 焉耆, 莎車 등 3국에는 3~4명의 譯長이 두어져 가장 많은 숫자를 보였다. 譯長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俄琼琸馬(2006)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04)
    이상 鄯善에 두어진 官職들은 輔國侯와 譯長을 제외하고는 모두 軍職이며, 이는 漢의 西域經營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즉 漢은 西域의 도시들을 장악함으로써 匈奴와의 공격에 대비하려고 했고, 특히 匈奴와의 격돌의 중심지였던 車師에서 가까운 鄯善에 擊車師都尉․擊車師君․却胡侯 등의 軍官을 둔 것은 의미심장하다. 鄯善에는 토착적 전통에 의한 官制도 운영되었으며, 카로슈티 문서에는 kala, guśura, camkura, ogu, kitsaitsa, suvetha, tasuca 등의 官名이 기록되어 있다(Enoki 1963 : 213-214, 238).
     바로가기
  • 각주 005)
    山國 : 顔注 : “이 나라는 산간에 있기 때문에 山國이라 이름한 것이다.” 余太山(2005 : 80)은 山國을 西域北道상에 위치한 오아시스 도시들로 보았으나, 다수의 학자들은 墨山國의 略稱으로 보고 있다. Grenard나 Chavannes와 같은 학자들은 墨山이 쿠를라 남방 130km 지점에 있는 Kizil Sanghir라고 하였다(Hulsewé, 1979 : 85, 182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06)
    일부 학자들은 6세기 『水經注』의 기록에 따라 1,865리가 맞다고 본다.
     바로가기
  • 각주 007)
    寄田仰穀旁國 : 顔師古는 이 구절을 “種田은 他國에게 맡기고, 旁國의 곡물을 사들여 온다는 뜻이다.”라고 해석하였다(Daffinà, 1982 : 308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08)
    檉柳 : 顔注 : “檉柳는 河柳이니 오늘날 赤檉이라 부르는 것이다. 白草는 강아지풀 비슷하나 가늘며 까끄라기(芒)가 없다. 乾孰할 때가 되면 正白色이 되며 牛馬가 먹기 좋아한다.” 이것은 소위 渭城柳(tamarisk)라고 불리는 것인데, 지중해 연안부터 중앙아시아와 북중국에 이르기까지 염분이 많은 건조․반건조 지대에 자란다. 붉은색을 띠기 때문에 紅柳라고도 불리며, 키는 1.7m가 넘지 않고 가지와 잎이 무성하다. 學名은 Tamarix chinensis.
     바로가기
  • 각주 009)
    胡桐 : 顔注 : “胡桐은 오동나무(桐)와 유사하고 뽕나무와는 같지 않다. 벌레가 그 나무를 갉아먹어 진액이 아래로 흐르는데, 이를 세간에서는 胡桐淚라고 부르니 마치 눈물과 비슷하다고 해서 그렇게 부르는 것이다. 金銀과도 같이 귀하여 여겨 지금은 工匠들이 모두 그것을 사용한다.” Laufer(1919 : 339-342)에 따르면 學名은 Populus balsamifera.
     바로가기
  • 각주 100)
    白草 : 이것은 䒩(Setaria viridis)와 비슷하지만 더 가늘고 까끄라기가 없고, 마르면 흰색이 되며, 가축의 사료로 사용된다고 한다(Laufer, 1919 : 339). 白英(Solanium dulcamara)으로 보는 견해도 있고 白蘞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Hulsewé, 1979 : 85).
     바로가기

색인어
지명
선선국(鄯善國), 누란(樓蘭), 우니성(扜泥城), 장안, 산국(山國), 거사, 야강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선선국(歚善國)에 대한 소개 자료번호 : jo.k_0002_0096_003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