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고구려벽화
강서대묘(江西大墓)의 천정에 그려진 벽화이다. 강서대묘의 천정 축조(築造) 방식은 삼각형의 화강암(花崗巖) 판석(板石)을 묘실의 네모서리 위로 여러 차례 엇갈리게 쌓아 올리면서 모서리를 줄이는 방식으로 축조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천정 축조 방식은 삼각형모줄임방식 혹은 말각조정식(抹角藻井) 천정구조라고 부른다. 화면에 보이는 천정은 묘실 중앙에서 위로 똑바로 올려다 본 정면형의 모습이다. 가장 바깥쪽 둘레에 있는 직사각형의 긴 화강암 판석은 첫 번째 고임돌로 삼각형의 형태가 아닌 평행으로 길게 고여졌기 때문에 평행고임돌이라고 한다. 1층의 평행고임돌 바로 안쪽의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네 개의 삼각형 판석은 평행고임돌의 네 모서리 위로 올려진 모줄임 돌로 두 번째로 고여 올렸기 때문에 2층 삼각고임돌이라고도 부른다. 그 안쪽으로 마름모꼴을 형성하고 있는 네 개의 삼각형모양의 판석은 2층 삼각고임돌의 네모서리를 다시 덮어 올린 것으로 3층 삼각고임돌이라고 부른다. 1번에 걸친 평행고임과 두 번에 걸친 모줄임 공정으로 인해 천정은 높아지고 또 줄어들었다. 마지막으로 중앙의 사각형 돌은 천정을 덮은 덮개석으로, 잘 다듬은 사각형의 판석으로 묘실의 상부를 봉하였다. 이러한 축조방식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생겨나 그리스에서 유행하였으며, 서아시아와 중앙아시아를 거쳐 고구려로 전파된 건축양식이다. 중국 서역(西域) 지역에 있는 불교석굴(佛敎石窟)에서도 이와 같은 삼각모줄임 방식의 천정구조가 발견되고 있다. 따라서 고구려와 서역지역의 문화교류를 엿 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라 할 수 있다.
삼각모줄임방식으로 축조된 천정은 묘실 벽 위에 바로 석재를 올려 천정을 덮어버리는 방식보다 훨씬 입체적이면서 높아진 상부(上部) 공간을 형성하여, 마치 둥근 하늘을 보고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이러한 공간은 고구려인들이 사후(死後)의 하늘세계를 벽화로 표현하는 데에 매우 적합하였다. 따라서 고구려인들은 궁륭형(穹窿形)이나 모줄임방식을 사용하여 고분의 천정을 높게 축조하였으며, 바로 이 공간에 그들이 염원(念願)하는 사후의 하늘세계를 마음껏 그리고 효과적으로 그려낼 수 있었다.
강서대묘는 고구려 후기의 대표적인 사신도(四神圖) 벽화이다. 따라서 천정에 그려진 벽화들은 대부분 도교의 천인(天人), 선인(仙人), 상서로운 동물[瑞獸, 서수], 화려한 꽃문양으로, 이들은 신비스럽고 환상적인 신선세계(神仙世界)를 보여주는 소재(素材)들이다. 또 천상을 상징하는 별자리들도 표현되어 있다. 화면에 보이는 벽화들은 천정을 정면으로 올려다 본 모습이기 때문에 고임돌의 아랫면에 그려진 벽화내용들이다. 서수와 아름다운 꽃 문양들로 장식되어 환상적이면서도 아름다운 하늘 세계의 모습을 보여준다. 벽화는 마치 아름다운 천상(天上)의 음악이 금방이라도 울려 퍼질 듯 매우 선율적인 모습으로 아름답게 묘사되었다. 천정의 중앙에 역동적인 자세로 묘사된 동물은 황룡(黃龍)으로, 묘실의 네 벽에 그려진 사신과 함께 도교의 오행신앙(五行信仰)을 완벽하게 구현해주고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천정도 01 자료번호 : kk.d_0001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