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철령 구대 Ⅱ 유적

鐵嶺 邱邰 Ⅱ 遺蹟
  • 저필자
    이후석(숭실대학교)
  • 작성자
    鐵嶺市文物館理辦公室
  • 날짜
    1982
  • 시대
    전한대
  • 위치
  • 원소장처
    요령성 철령시 철령현 신대자진 신대자촌
  • 시대
    상고사
  • 유형
    무덤
유적개관
* 유적은 요녕성(遼寧省) 철령시(鐵嶺市) 철령현(鐵嶺縣) 신대자진(新臺子鎭) 신대자촌(新臺子村)에 위치함.
* 유적은 만천하(萬泉河) 북쪽 해발고도 73.1m의 구릉에 입지함.
* 1973년 신대자 벽돌 공장에서 취토 중에 대량의 전국시대 동전을 발견함.
* 1980년 철령현(鐵嶺縣) 문화재 조사 시에 중점적으로 조사함.
* 이후 벽돌공장 시공을 위한 취토 중에 잇따라 도기와 화폐가 산발적으로 출토됨.
* 1982년 10월 철령시문물관리판공실(鐵嶺市文物館理辦公室)에서 발굴함.
* 1993년 홍수로 인해 돈대의 기초부가 드러나, 다시 발굴함.
* 발굴면적은 450㎡이며, 25㎡의 트랜치 12개를 구획함.
* 무덤 4기의 유구가 확인되었으며, 도기, 석기, 청동기, 철기를 비롯한 각종 유물이 출토됨.
* 유적은 양한(兩漢) 사이 시기의 유적임.
유구개관
* 옹관묘 1기, 토광묘 3기 등 총 4기의 유구가 확인됨.
유물개관
* 토기, 석기, 청동기, 철기를 비롯한 각종 유물이 출토됨.
참고문헌
鐵嶺市文管所辦公室, 「遼寧鐵嶺邱臺遺址試掘簡報」, 『考古』 第2期, 1996
許志國, 「近年遼寧北部發現的靑銅器及相關文化遺蹟」, 『東北アジア古代文化論叢』, 2009
裵輝軍, 「遼北地區燕秦漢時期有存的發現與硏究」, 『遼寧考古文集』(二), 2010
해설
유적은 심양시와 철령시의 경계를 이루는 만천하(萬泉河)의 북안으로 약 1㎞ 떨어진 신대자촌 해발 약 73.1m의 평지에 위치한다. 1969년 유적 내부에 벽돌공장이 들어선 이래로 지형이 상당부분 변화되었으며, 1973년 토사 채취 중에 전국시대 화폐가 발견됨에 따라 알려졌다. 이후 벽돌공장 증축 과정에서 화폐와 토기가 출토되었으며, 1982년에는 일부분에 발굴조사가 이루어져 유적의 규모가 추정되었다. 1993년에는 건물 기초공사 과정에서 명나라 때에 축조된 돈대(墩臺)가 확인되었고, 이에 따라 철령시문물관리소에 의해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조사결과 전국말~전한초 단계의 집자리[주거지(住居址)] 5기와 구덩이[수혈(竪穴)] 7기가 확인되고 전한 중기~후기의 독널무덤[옹관묘(甕棺墓)] 1기(1호묘)와 움무덤[토광묘(土壙墓)] 3기(2~4호묘)가 확인되어 크게 두 시기로 구분된다.
독널무덤은 유적 남쪽에서 확인되었는데, 토기 항아리 2개를 뉘인 후에 아가리를 서로 맞댄 합구횡치식(合口橫置式)의 독널무덤이다. 내부에는 영아의 뼈가 일부 남아 있고, 사발[발(鉢)]와 소형단지[관(罐)] 각 1점이 부장되어 있다.
움무덤은 2호묘와 4호묘가 보고되어 있다. 모두 장방형으로 무덤구덩이의 규모는 길이 160~180㎝, 너비 54~100㎝이다. 2호묘에서는 옆으로굽혀묻기[측신굴지장(側身屈肢葬)]된 인골이 확인되었고, 귀단지[도쌍이관(陶雙耳罐)], 사발[도완(陶盌)], 단지[도관(陶罐)] 등이 출토되었다. 4호묘에서는 바로펴묻기[앙와신전장(仰臥伸展葬)]된 인골과 돼지뼈가 확인되었고, 철촉(鐵鏃), 철삭(鐵削), 손잡이잔[단파배(單把杯)] 등이 수습되었다.
연대는 3호묘와 4호묘가 전국말~전한초 단계 또는 기원전 3~2세기대의 집자리를 파괴하고 조영되었으며, 두 무덤에서 북방계통의 손잡이잔과 대형철촉, 청동허리띠장식[청동과대(靑銅銙帶)] 등이 출토되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전한 후기 또는 기원전 1세기대 전후로 볼 수 있다. 요동지역에서 북방초원계통 문화의 확산과 관련되는 무덤으로 추정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철령 구대 Ⅱ 유적 자료번호 : isea.d_0001_0010_0090_002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