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마선구2378호묘

麻線2378號墓/JMM2378
  • 저필자
    권순홍(성균관대학교 박물관)
  • 날짜
    2003
  • 시대
    고구려
  • 위치
  • 원소장처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마선향 마선촌(吉林省 通化市 集安市 麻線鄕 麻線村)
  • 시대
    고구려
  • 유형
    무덤
입지
마선구 고분군 동남단 산사면의 끝부분으로, 남쪽에 압록강이 흐른다.
유적개관
2003년도 조사 당시 동측 계장을 부분적으로 해체하여 조사하였다. 전원후방형 평면형태로, 계단식 적석총이다(계장광실묘). 동서 길이 46m, 남북 너비 30m, 잔고 4m이다. 고분은 석재로 축조한 주단과 보조단으로 구성되며, 주단은 대체로 방형이며, 보단은 설형으로 주단의 서측에 만들어져 있는데 주단의 붕괴를 방어할 목적으로 축조되었다. 보존이 가장 잘 된 동측 계장은 7계단이며, 계장 주변으로는 겹겹이 입석이 세워져 있다. 묘정상부에는 함몰갱 및 승문 기와 잔편들이 다량으로 확인되었다.
유물개관
회색 수키와, 암키와(승문), 용석
참고문헌
「集安高句麗王陵」, 2004
해설
마선구고분군의 동남쪽 부분에 위치한 고구려 초대형 적석총이다. 마선향 소재지 동쪽의 구릉 정상부 해발 211.34~200.77m에 자리 잡고 있는데, 동쪽으로 2.5km 거리에 집안시 중심가가 있다. 1966년 조사시에 JMM2378호로 편호되었다. 동남쪽은 가파른 낭떠러지, 서남쪽은 산세가 완만한 산비탈로 현재 과수원으로 경작되고 있다. 동남쪽 낭떠러지 아래로 집안-단동 도로가 지나가며 북쪽에는 4기의 대형 적석총이 남북 방향으로 열을 이루고 있다. 서쪽으로 1.1km에 천추총(JMM1000)이 있고 동북 1.6km에 칠성산 211호분(JQM0211), 서북쪽에는 마선 2100호분(JMM2100)과 약 1.2km 떨어졌다. 고분의 평면은 타원형으로 동서 길이 46m, 남북너비 30m, 잔존 높이 4m이다. 고분은 뒤쪽의 주단(主壇)과 앞쪽의 보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단의 평면은 방형인데,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울타리 담장을 쌓듯이 계장식으로 축조하였다. 넓적한 돌덩이로 계장을 축조한 다음 그 사이를 산돌이나 강돌로 채우고, 계장 바깥쪽에 일정한 간격으로 보호석을 세웠다. 보존상태가 양호한 동측에서 7줄의 계장석렬을 확인할 수 있다. 가파른 비탈면에 축조하여 무덤의 아래 부분에 여러 층의 보축 기단을 둘러친 점이 특징이다. 주단 정상부에는 매장주체부로 보이는 함몰 구덩이가 3개 있고, 화장의 흔적으로 추정되는 불탄 돌과 기와가 확인된다. 보단은 주단을 보호하기 위한 시설로 주단 아래쪽에 넓적하고 큰 돌을 세워서 4단 7겹으로 축조하였다. 무덤정상부에서 회청색의 수키와와 암키와가 많이 출토되었다. 붉은 색 기와도 소량 섞여 있는데, 한대(漢代)의 기와와 유사하다고 한다. 무덤의 형태와 구조를 보면 마선구 626호분(JMM0626), 산성하전창36호분(JSZM0036)과 흡사하여, 집안의 통구고분군 중 연대가 가장 이른 무덤의 하나로 파악된다. 이 고분의 연대를 주로 1세기 전후 혹은 2세기로 편년하는데, 이에 더하여 2세기 중반에 사망한 고구려 7대 차대왕의 무덤으로 비정하기도 한다. 계단식보다 앞선 계장식으로 보단까지 갖추었다는 점에서 3세기 이전의 왕릉급 무덤이라는 점은 분명하지만 차대왕릉으로 특정하기는 쉽지 않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마선구2378호묘 자료번호 : isea.d_0002_0010_0060_0040_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