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성씨록(姓氏錄)』 에 이르기를...]

『성씨록(姓氏錄)』 에 이르기를, “백제국(百濟國)에서 나왔다. 응신천황(應神天皇)의 시대에 처음으로 귀화하였다. 7세손인 의고(衣古; 에코)의 후손인 중석(中石; 나카이하)의 아들로, 제명천황(齊明天皇)의 시대에 우노수(宇努首; 우노노오비토)를 받았다. 아들은 정6위상 남인(男人; 워히토)이다”라고 하였다.
 
【주석】
1. 성씨록운(姓氏錄云)
이 일문은 『고엽략류취초(古葉略類聚鈔)』 권제10, 우노수남인(宇努首男人)의 주로 인용된 것으로 제26권 대화국 제번 「우노수(宇奴首)」 조의 일문이다. 현재 초략본의 해당 조에는 “백제국 군주의 아들 미나증부의미(彌奈曾富意彌)에서 나왔다”라고만 되어 있다.
우노수는 백제계 씨족으로 보이지만 씨명이 같은 우노련(宇努連; 우노노무라지)의 경우는 신라 왕자 김정흥(金庭興)의 후손이라고 하였다(未定雜姓 河內國). 이처럼 백제계와 신라계가 동일한 씨명을 사용한 것은 이들의 거주 지역이 같았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2. 백제국(百濟國)
좌백유청(佐伯有淸)은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현재 초략본의 해당 조와 같이 “출자백제국군남미나증부의미야(出自百濟國君男彌奈曾富意彌也.)”라고 되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3. 응신천황(應神天皇)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예전천황(譽田天皇)[시호는 응신(應神)이다.]’으로 되어 있었을 것이다. 『일본서기』 에서는 응신(應神) 7년에 고구려인, 백제인, 임나인, 신라인이 함께 내조하였고, 8년에도 백제인이 내조하였다는 기사가 보인다.
4. 의고(衣古)
이 인명은 여기에만 보인다.
5. 중석(中石)
이 인명은 여기에만 보인다. 좌백유청(佐伯有淸)은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아들[男]’ 다음에 중석(中石)의 아들 이름이 적혀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6. 제명천황어대(齊明天皇御代)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천풍재중일족희천황(天豐財重日足姬天皇)[시호는 제명(齊明)이다.]’으로 되어 있었을 것이다. 우노수의 사성에 대한 내용은 다른 사료에 보이지 않는다.
7. 우노수(宇努首)
우노수에 대해서는 대화국 제번 「우노수(宇奴首)」 조(949) 참조.
8. 남인(男人)
『정사요략(政事要略)』 에 양로(養老) 4년(720)에 풍전수(豐前守)였던 우노수남인(宇奴首男人)이 대우(大隅) 일향국(日向國)에서 항거하던 준인(隼人)을 공격하였다는 전승이 보인다(『政事要略』 권제23, 「石淸水宮放生會事」). 또한 『만엽집』 에도 대재부(大宰府) 관인들이 향추묘(香椎廟)에 참배하고 돌아가는 길에 향추포(香椎浦)에서 지은 시로 그의 시가 1수 전한다(『萬葉集』 권제6 6-959). 『우좌팔번탁선집(宇佐八幡託宣集)』 에도 풍전수(豐前守) 정6위상 우노수남인(宇努首男人)으로 보인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성씨록(姓氏錄)』 에 이르기를...] 자료번호 : ss.k_0003_0040_0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