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한해부수(韓海部首; 가라노아마노오비토)

한해부수(韓海部首; 가라노아마노오비토)
 무내숙녜(武內宿禰; 다케시우치노스쿠네)의 아들 평군목토숙녜(平群木菟宿禰; 헤구리노츠쿠노스쿠네)의 후손이다.
 
【주석】
1. 한해부수(韓海部首)
한해부(韓海部; 가라노아마)라는 씨명은 한반도계 해부(海部)의 반조씨족(伴造氏族)인 데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해부수(韓海部首)는 여기에만 보인다.
2. 무내숙녜(武內宿禰)
무내숙녜는 건내숙녜(建內宿禰), 건내족니(建內足尼)라고도 표기된다. 『고사기』 에는 제8대 효원천황(孝元天皇)의 손자, 『일본서기』 에는 효원천황의 증손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효원천황은 『고사기』 와 『일본서기』 에 계보 기사는 존재하지만 사적(事績)에 관한 기사가 보이지 않는 천황으로 7세기 후반에 일본의 역사를 늘이기 위해 만들어 넣은 이른바 ‘결사 8대(缺史八代)’ 천황 가운데 하나이다. 무내숙녜는 『일본서기』 에는 경행천황(景行天皇), 성무천황(成務天皇), 중애천황(仲哀天皇), 응신천황(應神天皇), 인덕천황(仁德天皇) 등 5조(朝) 걸쳐 봉사한 전승상의 충신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무내숙녜에 대해서는 좌경 황별(상) 「전구조신(田口朝臣)」 조(066) 무내숙녜대신(武內宿禰大臣) 참조.
3. 평군목토숙녜(平群木菟宿禰)
『일본서기』 에는 평군목토숙녜(平群木菟宿禰; 헤구리노츠쿠노스쿠네)만 무내숙녜와 부자관계라고 나오지만, 『고사기』 에는 건내숙녜(무내숙녜)의 7남 2녀 가운데 넷째 아들로 평군도구숙녜(平群都久宿禰; 헤구리노츠쿠노스쿠네)가 기재되어 있다. 『고사기』 에 무내숙녜의 자식으로 기재된 인물은 다음과 같다. 첫째가 파다팔대숙녜[波多八代宿禰; 하타노야시로스쿠네, 우전시대숙녜(羽田矢代宿禰; 우다야시로노스쿠네)로도 표기], 둘째가 허세소병숙녜(許勢小柄宿禰; 고세노오카라노스쿠네), 셋째가 소하석하숙녜(蘇賀石河宿禰; 소가노이시카하노스쿠네), 넷째가 평군도구숙녜[平群都久宿禰; 헤구리노츠쿠노스쿠네, 평군목토숙녜(平群木菟宿禰)로도 표기], 다섯째가 목각숙녜[木角宿禰; 기노츠노노스쿠네, 기각숙녜(紀角宿禰; 기노츠노노스쿠네)로도 표기], 여섯째가 구미능마이도비매(久米能摩伊刀比賣; 구메노마이토히메), 일곱째가 노능이려비매(怒能伊呂比賣; 노노이로히메), 여덟째가 갈성장강증도비고[葛城長江曾都毗古; 가즈라키노나가에노소츠비코, 갈성습진언(葛城襲津彦; 가츠라기노소츠히코노미코토)으로도 표기], 아홉째가 약자숙녜(若子宿禰; 와쿠고노스쿠네)이다.
평군목토숙녜에 대해서는 우경 황별(상) 「평군조신(平群朝臣)」 조(124) 평군도구숙녜(平群都久宿禰) 참조.
한해부수(韓海部首)는 여기에만 보인다. 한해부수씨 무내숙녜(武內宿禰)의 아들 평군목토숙녜(平群木菟宿禰)의 후손이라 주장하고 있지만, 양자의 관계를 증명할 기록이 「고기」와 「구전」 등에 존재하지 않아 세운 조상도 의문시되므로 미정잡성에 기재된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한해부수(韓海部首; 가라노아마노오비토)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11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