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테량공( 良公; 데라노키미)

테량공( 良公; 데라노키미)
 백제국주(百濟國主) 의리도해(意里都解; 오리츠게)의 4세손 진라군(秦羅君; 신라노키미)의 후손이다.
 
【주석】
1. 테량공( 良公)
테량( 良; 데라)이라는 씨명은 절과 관련된 일을 담당한 사인(寺人; 데라비토)을 관장한 데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테량공( 良公)은 여기에만 보인다.
『속일본기』 양로(養老) 7년(723) 2월 계해조에 단마국인(但馬國人) 사인소군(寺人小君) 등 사인씨가 보인다. 또 『행기연보(行基年譜)』 양로 5년(721) 5월 3일조에 기재된 사사을환(寺史乙丸)과 천평 17년(745) 8월 1일 「우바새공진문(優婆塞貢進文)」(『대일본고문서』 24-301)에 기재된 사사부마(寺史妋麿)와 사사족(寺史足) 등 사(史) 성의 사사씨(寺史氏; 데라노후비토)가 보인다. 그리고 『속일본기(續日本紀)』 보귀(寶龜) 11년(780) 5월 기묘조에는 하내국(河內國) 고안군(高安郡) 사람 대초위하(大初位下) 사정마려(寺淨麻呂)등 무성의 사씨도 확인된다.
*사인(寺人)
직목효차랑(直木孝次郞)은 〈인성(人姓) 분류표〉에서 직업과 관계된 제1유형에 사인(寺人), 복인(服人), 빙인(氷人) 등 20씨, 씨족 또는 종족명과 관계된 제2유형에 속인(粟人), 비인(肥人), 한인(漢人) 등 13씨, 제3유형으로 의미 불명의 아루인(阿漏人) 1씨를 제시하였다. 또 〈복성인성(複姓人姓) 분류표〉에서는 창인(倉人)계통 12종과 주인(酒人) 계통 6종, 육인(宍人) 계통 2종, 수인(手人) 계통 5종, 사인(舍人) 계통 11종, 신인(神人) 계통 1종, 비인(肥人) 계통 1종, 준인(隼人) 계통 2종, 한인(漢人) 계통 11종 등을 제시하였다. 이 유형 분류에 의거하면 직업과 관련된 명사를 칭하는 인성이 다수를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 의리도해(意里都解)
의리도해는 여기에만 보인다. 다만 백제 인명 가운데 해(解)가 인명 말미에 사용된 사례가 확인된다. 『일본서기』 현종천황 3년 시세조에 나오는 “임나(任那)의 좌로(左魯) 나기타갑배(那奇他甲背) 등이 계책을 써서 백제의 적막이해(適莫爾解)를 이림(爾林)에서 죽이고 대산성(帶山城)을 쌓아 동쪽 길을 막고 지켰으며, 군량을 운반하는 나루를 끊어 군대를 굶주려 고생하도록 하였다. 백제의 왕이 크게 화가 나서 영군(領軍) 고이해(古爾解), 내두(內頭) 막고해(莫古解) 등을 보내 무리를 거느리고 대산성을 공격하게 하였다.”라는 기사에 등장하는 백제의 장군 적막이해, 영군 고이해와 내두 막고해와 『삼국사기』백제본기 근구수왕 즉위년조에 근초고왕(近肖古王) 24년(369)에 고구려 고국원왕(故國原王)이 침입하자 태자와 함께 출전한 장군 막고해가 보인다. 의리도해도 백제 인명일 가능성이 높다.
3. 진라군(秦羅君)
진라군은 여기에만 보인다. 다만 진라군(秦羅君; 신라노키미)도 음운상으로 신라와 통하므로 한반도 계통의 인물일 가능성이 높다.
테량공( 良公)은 여기에만 보인다. 테량공이 주장하는 백제국주(百濟國主) 의리도해(意里都解)와 진라군(秦羅君)도 여기에만 보이는 인물이다. 세운 조상도 의심스럽고 테량공이 주장하는 백제국주의 후손이라는 주장을 입증할 만한 기록이 「고기」 와 「구전」 등에 존재하지 않아 미정잡성에 기재된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테량공( 良公; 데라노키미)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80_0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