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지하혈태촌주(志賀穴太村主; 시카노아나호노스구리)

지하혈태촌주(志賀穴太村主; 시카노아나호노스구리)
 후한(後漢) 효헌제(孝獻帝)의 아들 미파야왕(美波夜王; 미하야와우)의 후손이다.
 
【주석】
1. 지하혈태촌주(志賀穴太村主)
지하씨(志賀氏)는 섭진국(攝津國) 제번(諸蕃) 「지하기촌(志賀忌寸)」 조, 혈태씨(穴太氏)는 미정잡성(未定雜姓) 산성국(山城國) 「혈태촌주(穴太村主)」 조에도 게재되어 있다.
지하혈태촌주의 지하혈태(志賀穴太)라는 씨명은 『고사기』 성무천황단(成務天皇段)에 나오는 지하고혈수궁(志賀高穴穗宮; 시가노다카하나호노미야)이 존재한 곳이고, 『일본서기』 경행천황(景行天皇) 58년 2월 신해조에는 경행천황이 근강국(近江國)에 행차하여 지하(志賀; 시가)에서 3년을 거하였는데 이곳을 고혈수궁(高穴穗宮; 다카아나호노미야)이라 불렀다고 하므로 근강국 지하군의 혈태라는 지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현재 자하현(滋賀縣) 대진시(大津市) 혈태(穴太) 지역이다. 촌주는 고대 한국에서 족장을 의미하는 촌주라는 호칭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지하혈태촌주(志賀穴太村主)는 여기에만 보인다.
지하군에는 혈태촌주가 보이지 않지만, 근강국 판전군(坂田郡)에는 혈태촌주씨(穴太村主氏) 인명이 존재한다. 천평 19년(747) 12월 22일자 「근강국판전군사해(近江國坂田郡司解)」(『대일본고문서』 9-644)에 기재된 혈태촌주마려(穴太村主麻呂)와 『평안유문(平安遺文)』(1-55)에 수록된 「홍인 14년(823) 12월 9일자 근강국 대원향장해(弘仁十四年十二月九日付 近江國大原鄕長解)」 에 보이는 혈태촌주우양(穴太村主牛養)과 승화 3년(836) 3월24일자 「근강국대원향장해(近江國大原鄕長解)」 에 기재된 혈태촌주도자□(穴太村主刀自□) 등이 있다.
또한 『속일본기』 연력(延曆) 6년(787) 7월 무진조에 기재된 “판전군(坂田郡) 사람 대초위하(大初位下) 혈태촌주진광(穴太村主眞廣) 등이 모두 지하기촌(志賀忌寸)이라는 성을 받았다.”라고 적혀 있다. 또 『일본후기』 연력 18년(799) 3월 경술조에는 “근강국 천정군(淺井郡) 사람 종7위하 혈태촌주진장(穴太村主眞杖)이 지하기촌이라는 성을 받았다”라고 적혀 있다. 따라서 787년에는 혈태촌주진광이, 799년에는 혈태촌주진장이 지하기촌의 씨성을 받은 것을 알 수 있고, 근강국에는 판전군은 물론이고 천정군에도 혈태촌주씨가 거주하였음을 알 수 있다.
2. 효헌제(孝獻帝)
헌제(獻帝)와 같다. 189~220년까지 재위하였으며, 후한 영제의 둘째 아들이다. 효헌제에 관해서는 좌경(左京) 제번(상) 「당종기촌(當宗忌寸)」 조(786)의 후한 헌제(後漢獻帝) 참조.
3. 미파야왕(美波夜王)
미파야왕은 여기에만 보인다.
지하혈태촌주(志賀穴太村主)는 여기에만 보인다. 지하혈태촌주가 후한(後漢) 효헌제(孝獻帝)의 아들 미파야왕(美波夜王)의 후손이라 주장했지만, 미파야왕도 여기에만 존재한다. 따라서 지하혈태촌주와 미파야왕의 관계를 증명할 자료가 「고기」 와 「구전」 등에 존재하지 않아 미정잡성에 기재된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지하혈태촌주(志賀穴太村主; 시카노아나호노스구리)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80_0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