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구미직(久米直; 구메노아타히)

구미직(久米直; 구메노아타히)
 고어혼명(高御魂命; 다카미무스비노미코토)의 8세손 미이명(味耳命; 우마시미미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구미직(久米直)
구미(久米; 구메)라는 씨명은 구미부(久米部)의 반조씨족이었던 것과 관련이 있다.
구미직씨는 육국사에서는 『속일본기』 양로(養老) 3년(719) 11월 무인조의 구미직광도(久米直廣道)가 유일하다. 여기에서 잡호(雜戶) 소초위(少初位) 인해수인광도(忍海手人廣道)는 구미직을 사성받고 잡호에서 벗어난다. 『유취국사』 권99 서위(敍位), 천장(天長) 4년(827) 정월 갑신조에서 구미직전마(久米直田麿)가 외정6위상에서 외종5위하로 승서되었는데, 율전관(栗田寬)과 좌백유청(佐伯有淸)은 그가 이예국(伊豫國) 구미군(久米郡) 사람이었다고 보았다. 천평 20년 8월 「경사등상일장(經師等上日帳)」(『대일본고문서』 10-357)에 구미직가족(久米直家足)이 보인다. 천평 20년(748) 4월 25일자 「사서소해(寫書所解)」(『대일본고문서』3-80)에 이예국 구미군 천산향(天山鄕) 호주 구미직웅응(久米直熊鷹)이 보이며, 연희 8년(908) 「주방국 구가군 구가향(周防國玖珂郡玖珂鄕) 호적」(『평안유문』 1-289, 304)에 구가향(玖珂鄕)의 구미직아고인환(久米直阿古人丸)과 구미직안환(久米直安丸), 구미직도남(久米直道男)이 보인다.
2. 고어혼명(高御魂命)
고황산령존(高皇産靈尊; 다카미무스비노미코토)과 같다. 좌경 신별(중) 「대반숙녜」 조(374) 고황산령존 참조.
3. 미이명(味耳命)
미이명은 『화주오군신사신명장대략주해(和州五郡神社神名帳大略注解)』 권4 보궐(補闕)에서 사가(社家)인 구미직(久米直)의 이야기에 미이명이 보인다. 여기에서는 신무천황이 대래목무부(大來目武部)를 무방산(畝傍山) 서쪽 천변에 살게 하고 그 땅을 내목향(來目鄕)이라고 이름 붙였다고 한다. 그 후 수정천황(綏靖天皇) 대에 대래목무부의 아들 미이명을 내목현주(來目縣主)로 삼았는데, 미이명은 내목에 폐창(幣倉)을 만들어 선어조언신(先御祖彦神)을 제사지내고 아버지 무부가 차고 있던 두추검(頭椎劍)을 이곳에 신으로 모셨다고 적고 있다. 아울러 이에 관련된 이야기가 『일본서기』, 『신찬성씨록』, 「본계장」 등에 자세히 실려 있다고 적고 있지만, 『일본서기』에는 신무천황 대에 대래목(大來目)을 무방산 서쪽 천변에 살게 하였고 이후 그 땅을 내목읍(來目邑)이라고 부르게 된다는 이야기만 보인다. 『화주오군신사신명장대략주해』에 실린 미이명과 관련된 내용은 『신찬성씨록』 의 완본이나 구미직씨의 「본계장」에 있었을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구미직(久米直; 구메노아타히) 자료번호 : ss.k_0001_0040_0020_0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