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현견양숙녜(縣犬養宿禰; 아가타노이누카히노스쿠네)

현견양숙녜(縣犬養宿禰; 아가타노이누카히노스쿠네)
 신혼명(神魂命; 가미무스비노미코토)의 8세손 아거태도명(阿居太都命; 아케타츠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현견양숙녜(縣犬養宿禰)
현견양숙녜의 옛 씨성은 현견양련(縣犬養連)으로 『일본서기』에 의하면 천무천황 13년(684) 12월에 숙녜를 사성받았다. 현견양련이라는 씨명은 견양부를 인솔하여 현(縣)을 지키는 반조씨족이었던 것에 유래하였다. 견양부(犬養部)는 모두 네 종류의 견양부가 있었는데, 왜국 조정의 직할지인 현(縣)에 배치된 견양부를 지휘한 것이 현견양씨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현견양련씨에 대해서는 『일본서기』 안한 2년 9월 갑진삭 병오조에 처음 보인다. 여기에서는 안한천황이 앵정전부련, 현견양련, 난파길사 등에게 명하여 둔창(屯倉)의 세를 관장하도록 하였다고 한다. 현견양련씨로 활약담이 보이는 사람은 『일본서기』 천무천황기에 비로소 등장한다. 즉 672년 임신의 난이 일어났을 때 대해인황자에게 안장을 얹은 말을 제공한 현견양련대반(縣犬養連大伴)은 그 후 684년 12월에 숙녜를 사성받아 현견양숙녜씨가 되었고, 685년 9월에 현견양련대려(縣犬養連大侶)라는 이름으로 천무천황에게 옷과 바지를 하사받았다. 그는 686년 9월에는 직대삼(直大參, 율령제의 정5위상)으로서 천무천황의 빈궁(殯宮) 의식에서 궁내의 일에 대해 조사하였다. 임신의 난 때 공신으로서 지통천황 때에 식봉으로 봉호 100호를 사여받았다. 문무천황 대인 701년 1월에 관위 직광일(直廣壹)로 죽자 문무천황은 그에게 정광삼(正廣參, 율령제의 정3위)를 추증하였다. 그해 7월 대보령의 공봉조에 따라 임신의 난의 공신 15명에 대해 식봉으로 받은 봉호의 4분의 1을 아들에게 상속하도록 하였는데 그중에 대려의 이름이 보인다. 한편 『일본서기』 천무기에서는 현견양련수강(縣犬養連手繈)이 684년 10월에 탐라에 대사로 파견되었다고 적고 있다. 수강은 대려의 동족이었을 것이다. 이후 육국사에서 활약하는 현견양숙녜씨를 살펴보면 『속일본기』에는 모두 28명의 현견양숙녜씨 출신의 관인이 보인다. 『일본후기』에는 2명, 『속일본후기』에는 3명, 『일본삼대실록』에 1명이 보인다.
현견양숙녜 출신의 관인 중에서 가장 고위에 오른 사람은 현견양숙녜삼천대(縣犬養宿禰三千代)로, 정2위 우대신(贈 정1위 태정대신) 등원조신불비등(藤原朝臣不比等)의 후처이며 성무천황의 황후 광명자의 친모이다. 원명천황의 측근 여관으로 활약하여 708년에 귤숙녜(橘宿禰)를 사성받아, 귤숙녜씨의 시조가 되었다. 그녀는 720년 불비등이 죽고 원명천황이 위독해지자 출가하였다. 생전에 정3위까지 승진하였으나, 사후에 정1위 대부인의 칭호를 추증받았다. 현견양숙녜씨 중에서 현견양대숙녜(縣犬養大宿禰)를 사성받은 사람도 있다. 천평보자 8년(764) 9월 정사조에 의하면 효겸상황의 내사인(內舍人)으로 정7위하였던 현견양숙녜내마려(縣犬養宿禰內麻呂) 등 15명에게 현견양대숙녜라는 씨성을 사여하였다고 한다. 이때 사성받은 사람 중에 현견양숙녜자녀(縣犬養宿禰姊女)도 있었다. 그런데 내마려와 자녀는 칭덕천황 대인 769년 무고(巫蠱) 사건에 연좌되어 씨성을 견부(犬部; 이누베)로 고치고 유배 가게 되었다가 광인천황 대인 771년에 현견양숙녜라는 씨성을 다시 가지게 되었다. 현견양대숙녜씨 출신으로는 『속일본후기』와 『일본문덕천황실록』, 『일본삼대실록』에 보이며 정관 5년(863) 2월 10일에 종5위하로 준하수였던 현견양대숙녜정수(縣犬養大宿禰貞守)가 보인다.
현견양숙녜씨는 고문서에도 보인다. 천평 10년(738) 「단마국정세장(但馬國正稅帳)」(『대일본고문서』 2-61)에 현견양숙녜흑마려(縣犬養宿禰黑麻呂), 천평 14년(742) 11월 15일자 「우파새공진해(優婆塞貢進解)」(『대일본고문서』 8-138)에 현견양숙녜대강(縣犬養宿禰大岡)과 현견양숙녜인인(縣犬養宿禰忍人), 천평 17년(745) 4월 21일자 「우마료이(牛馬寮移)」(『대일본고문서』 2-424)에 현견양숙녜시족(縣犬養宿禰時足)이 보인다.
2. 신혼명(神魂命)
『고사기』에서는 신산소일신(神産巢日神), 신산소일지명(神産巢日之命), 신산소일어조명(神産巢日御祖命)이라고 적고 있으며, 『일본서기』 의 「일서(一書)」 에서는 신황산령존(神皇産靈尊)이라고 적고 있다. 『출운국풍토기』에서는 신혼명(神魂命), 『고어습유』에서는 신산령신(神産靈神)이라고 적고 있다.
『고사기』와 『일본서기』 의 「일서」 에서 천지개벽하였을 때 천지어중주신(天之御中主神) 고어산소일신(高御産巢日神) 다음에 고천원(高天原)에 출현한 신으로 조화(造化)의 삼신 중 하나이다.
3. 아거태도명(阿居太都命)
이 신의 이름은 더 이상 보이지 않는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현견양숙녜(縣犬養宿禰; 아가타노이누카히노스쿠네) 자료번호 : ss.k_0001_0040_0020_0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