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저명부조(猪名部造; 위나베노미야츠코)

저명부조(猪名部造; 위나베노미야츠코)
 이향아색남명(伊香我色男命; 아카가시코오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저명부조(猪名部造)
저명부조(猪名部造; 위나베노미야츠코)라는 씨명은 저명부(猪名部; 위나베)를 관장하던 반조씨족이었던 것과 관련이 있다. 저명부가 사서에 보이는 것은 『일본서기』 응신천황 31년 8월조이다. 여기에서는 무고(武庫)에 머물던 신라 사신의 실수로 불이 나서 그곳에 정박한 왜국의 배들이 불타자, 신라 왕이 왜국에 목공 기술자를 파견하였는데, 그가 곧 저명부 등의 조상이라고 적고 있다. 응신천황 대에 신라 왕이 파견한 목공 기술자의 후손이 저명부가 된 것은, 이들이 저명 지역을 근거지로 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일본서기』 인덕천황 38년 7월조에는 저명현(猪名縣)이 보이는데, 이곳은 뒤에 율령제 시대 때 섭진국(攝津國) 하변군(河邊郡) 위나(爲奈; 위나)향이 설치된다. 이곳은 현재 병고현(兵庫縣) 니기시(尼崎市) 동북부다. 저명 지역에 살던 신라 목공의 후손 저명부에 대해서는 『일본서기』 웅략천황 12년 동10월 임오조에 유일하게 보인다. 여기에서는 본문에서 천황이 목공 투계어전(鬪鷄御田)에게 명하여 누각을 만들게 하였다고 적고, 분주에서 “ ‘한 책[一本]’에서는 저명부어전(猪名部御田)이라고 적고 있지만 이는 틀렸다”라고 적고 있다. 즉 『일본서기』 웅략기의 이 기사를 집필한 사람은 웅략천황 대의 목공 투계어전이 저명부어전이라고 주장한 책에 대해 그렇지 않다고 적고 있는 것이다.
저명부조씨가 사서에서 보이는 것은, 『일본삼대실록』 정관(貞觀) 12년(870) 2월 19일신축조의 저명부조 출신 저명부조재마(猪名部造財麿), 저명부조풍웅(猪名部造豐雄), 저명부조선승(猪名部造善繩)이 있다. 여기에서는 참의 종3위 춘징조신선승(春澄朝臣善繩)의 훙전을 싣고 있는데, 선승의 본성(本姓)은 저명부조(猪名部造)이고 조부는 재마(財麿), 아버지는 풍웅(豐雄)이라고 언급하였다. 천장(天長) 5년(828)에 선승이 형제자매 5명과 함께 춘징숙녜를 사성받았으며, 뒤에 다시 조신을 사성받았다고 적고 있다. 그가 조신을 사성받은 것은 『일본문덕천황실록』 인수(仁壽) 3년(853) 10월 무진조에 보인다. 위의 『일본삼대실록』에 의하면 선승의 조부 저명부조재마(猪名部造財麿)는 이세국(伊勢國) 원변군(員弁郡)의 소령(少領)이고 아버지 저명부조풍웅(猪名部造豐雄)은 주방국(周防國)의 대목(大目)이었다. 이 두 사람은 『신찬성씨록』 을 편찬하던 당시에 저명부조씨 중에서 관인으로 활약한 사람이었다.
2. 이향아색웅명(伊香我色雄命)
『일본서기』에는 이향색웅(伊香色雄), 『고사기』에는 이가하색허남명(伊迦賀色許男命; 이카가시코오노미코토)으로 표기하였다. 앞의 「수적조신」 조에서는 이향색웅명(伊香色雄命)으로 표기하였다. 『선대구사본기』에 따른다면 이향색웅명은 물부씨의 조상 요속일존의 6세손이 된다. 이향색웅명에 대해서는 좌경 신별(상) 「수적조신」 조(347)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저명부조(猪名部造; 위나베노미야츠코) 자료번호 : ss.k_0001_0040_0010_0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