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진신전증녜련(眞神田曾禰連; 마카미타노소네토미코토)

진신전증녜련(眞神田曾禰連; 마카미타노소네토미코토)
 신요속일명(神饒速日命; 가무니기하야히노미코토)의 6세손 이향아색호명(伊香我色乎命; 이카가시코오노미코토)의 아들 기진별명(氣津別命; 게츠와케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진신전증녜련(眞神田曾禰連)
진신전증녜(眞神田曾禰)라는 씨명은 지명과 관련이 있다. 즉 진신전(眞神田; 마카미타)과 증녜(曾禰)는 모두 지명일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그 지역이 어느 곳일지에 대해서는 이설이 존재한다. 율전관(栗田寬)은 진신전을 『일본서기』에 보이는 비조(飛鳥; 아스카)의 진신원(眞神原; 마카미하라)이라는 지명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곳은 현재 나량현(奈良縣) 고시군(高市郡) 명일향촌(明日香村) 비조(飛鳥)이다.
『일본서기』 숭준기 원년 시세조에는 비조의봉조(飛鳥衣縫造)의 조상인 수엽(樹葉)의 집을 허물고 법흥사(法興寺)를 지었는데, 이곳의 지명을 진신원(眞神原)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의봉조씨는 좌경 신별(상)의 「의봉조」 조에서 석상(石上)과 같은 조상이라고 적고 있다. 그런데 본조의 진신전증녜련도 석상씨의 조상인 이향아색호명(伊香我色乎命)의 후손이라고 하므로, 진신전증녜씨의 씨명이 진신원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그런데 진신전증녜씨의 씨명인 증녜(曾禰)는 『일본서기』에는 보이지 않지만, 『화명유취초』에는 대화국(大和國) 우타군(宇陀郡) 증녜촌(曾禰村)이 보인다. 이곳은 현재 나량현(奈良縣) 우타군(宇陀郡) 증녜촌(曾禰村)이다. 그런데 『평안유문(平安遺文)』에 실린 고문서에서 우타군에 「진신전송림(眞神田松林)」, 「진신전소송(眞神田小松)」 이 보이므로 진신전이라는 지명도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우타군의 진신전은 현재 나량현 우타군 대우타정(大宇陀町)이다. 따라서 좌백유청의 주장대로 진신전증녜는 나량현 우타군에 있었던 증녜와 진신전이라는 지명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진신전증녜련씨 일족은 다른 사료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다만 증녜련씨는 앞의 좌경 신별(상)에 보인다.
2. 신요속일명(神饒速日命)
신요속일명은 요속일명으로도 표기된다. 물부씨의 조상이다. 신요속일명에 대해서는 좌경 신별(상) 「석상조신」 조(346) 신요속일명 참조.
3. 이향아색웅명(伊香我色雄命)
『일본서기』에서 이향색웅(伊香色雄), 『고사기』에서 이가하색허남명(伊迦賀色許男命; 이카가시코오노미코토)으로 표기하였다. 앞의 「수적조신」 조에서는 이향색웅명(伊香色雄命)으로 표기하였다. 『선대구사본기』에 따른다면 이향색웅명은 물부씨의 조상 요속일존의 6세손이 된다. 이향색웅명에 대해서는 앞의 「수적조신」 조(347) 참조.
4. 기진별명(氣津別命)
기진별명(氣津別命; 기츠와케노미코토)이라는 이름은 더 이상 보이지 않는다. 다만 『연희식』 신명장(神名帳)에 대화국(大和國) 고시군(高市郡)에 기도화기(氣都和旣; 기츠와케)신사가 보인다. 율전관(栗田寬)은 이 신사와 관련이 있지 않을까 추정하였으나, 좌백유청(佐伯有淸)은 『대화지료(大和志料)』 의 고시군(高市郡) 기도화기신사조에서 “기진별명(氣津別命) 등이 이 신사와 관계없지만 이름이 닮아서 부기하였다”라고 적고 있는 것을 소개하였다. 『대회지료』 는 1914년에 일본 나량현교육회에서 출판한 책으로, 이 책의 편찬자는 기도화기신사와 기진별명의 관련성을 인정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진신전증녜련(眞神田曾禰連; 마카미타노소네토미코토) 자료번호 : ss.k_0001_0040_0010_0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