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월지직(越智直; 오치노아타히)

월지직(越智直; 오치노아타히)
 석상(石上; 이소노카미)과 같은 조상이다.
 
【주석】
1. 월지직(越智直)
월지(越智; 오치)라는 씨명은 소시국(小市國; 오치노쿠니)의 국조(國造)였던 것과 관련이 있다. 이곳은 율령제의 이예국(伊豫國) 월지군(越智郡)이며, 현재 애원현(愛媛縣) 월지군(越智郡)의 일부이다.
월지직씨 일족으로는 『속일본기』 양로(養老) 5년(721) 춘정월 경오조에서 정6위상 월지직광강(越智直廣江; 오치노아타히히로에)은 퇴조(退朝) 후에 황태자(뒤의 성무천황)를 모시라는 명을 받았으며, 이어서 명경(明經) 제1박사로서 시(絁), 사(絲), 포(布), 초(鍬)를 하사받았고, 양로 7년 춘정월 병자조에서는 종5위하로 승서되었다. 이후 『속일본기』에서는 8세기 후반에 월지직씨 이름이 다시 보인다. 칭덕천황 대인 신호경운(神護慶雲)원년(767)에 이예국(伊豫國) 월지군(越智郡)의 대령(大領)으로 외정7위하였던 월지직비조마(越智直飛鳥麿; 오치노아타히아스카마로)가 시(絁) 230필(疋)과 전(錢) 1200관(貫)을 헌상하여 외종5위하로 승서되었다. 월지직비조마 이후 칭덕천황 대에 물건을 조정에 헌납하고 관위를 받은 월지직씨가 이어졌다. 신호경운 원년(767) 6월에 이예국(伊豫國)의 백정(白丁) 월지직국익(越智直國益)이 물건을 조정에 헌납하고 일약 외종5위하를 받았고, 신호경운 2년(768) 3월에는 월지직권연(越智直蜷淵; 오치노아타히니나후치)이 물건을 헌납하고 외종5위하를 사여받았다.
광인천황 즉위초인 보귀(寶龜) 원년(770) 10월에 외종5위하 월지직비조마와 월지직남연마려(越智直南淵麻呂; 오치노아타히미나미후지마로)는 외종5위상으로 승서되었다. 보귀 6년(775) 정월에는 월지직입립(越智直入立; 오치노아타히이리타지)이 정6위상에서 외종5위하로 승서되었다. 보귀 11년(780) 7월에 이예국(伊豫國) 월지군(越智郡) 사람 월지직정양녀(越智直靜養女; 오치노아타히시즈카히메)는 자신의 재물로 궁핍한 백성 158인을 도운 일로 천평보자 8년(764) 3월 22일의 칙서에 근거하여 작(爵) 2급을 받았다고 한다. 이예국 월지군의 월지직씨가 상당한 부를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월지직씨 중에는 월지직씨 여자와 결혼한 후 월지직이라는 씨명을 가지게 된 사람들도 있었던 듯하다. 환무천황 대인 연력(延曆) 10년(791) 12월에 본성을 되찾고 싶다는 청원에 있었다. 즉 이예국 월지군 사람 정6위상 월지직광천(越智直廣川; 오치노아타히히로카하) 등 5인이 자신들의 7세 조상 기박세(紀博世; 기노히로요)가 소치전조정(小治田朝庭; 오하리다노미카도, 추고천황) 대에 이예국에 파견되어, 박세의 손자 인인(忍人; 오시히토)이 월지직의 딸과 결혼하여 재수(在手; 오리테)를 낳았다. 그런데 670년 경오년적(庚午年籍)을 작성할 때, 재수가 근원을 확인하지 않고 어머니 성을 잘못 따른 후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으니, 본성을 따라 기신(紀臣; 기노오미)을 사용하게 해 달라고 요청하여 허가받았다.
『일본후기』 연력 18년(799) 8월 계사조에서는 이예국 사람 종7위하 월지직조계(越智直祖繼; 오치노아타히오야츠구)가 좌경(左京)에 거주하게 되었다고 적고 있다. 월지직조계가 바로 『신찬성씨록』 편찬국에 월지직의 「본계장」 을 제출한 사람일 것이다.
이후 월지직씨 중에서 새로 사성받는 사람이 나타났다. 『속일본후기』 승화 2년(835)11월 갑인조에서는 좌경인 정6위상 월지직년족(越智直年足; 오치노아타히토시타리)과 이예국 월지군 사람 정6위상 월지직광성(越智直廣成; 오치노아타히히로나리) 등 7인에게 숙녜를 사성하였다고 한다. 또한 『일본삼대실록』 정관(貞觀) 15년(873) 12월 2일 계사조에서는 좌경인 외종5위하 행조교(行助敎) 월지직광봉(越智直廣峯; 오치노아타히히로미네)에게 선연조신(善淵朝臣; 요시부치노아손)을 사성하였는데, 그의 조상을 신요속일명(神饒速日命)이라고 적고 있다. 선연조신광봉은 9세기 후반의 명경가(明經家)로 활약한 사람인데, 조신을 사성받게 된 것이다.
2. 석상동조(石上同祖)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석상(石上)’ 다음에 ‘조신(朝臣)’이라는 글자가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석상조신씨에 대해서는 좌경 신별(상) 「석상조신」 조(346) 참조.
『선대구사본기』 천손본기 물부씨 계보에서는 요속일존의 8세손 물부무제우련공(物部武諸隅連公; 모노노베노타케모로즈미노무라지키미)의 동생 물부대소시련공(物部大小市連公; 모노노베노오치노무라지키미)이 소시직(小市直; 오치노아타히) 등의 조상이라고 적고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월지직(越智直; 오치노아타히) 자료번호 : ss.k_0001_0040_0010_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