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대정련(大貞連; 오사다노무라지)

대정련(大貞連; 오사다노무라지)
 속일명(速日命; 하야히노미코토)의 15세손 미가리대련(彌加利大連; 미카리노오무라지)의 후손이다. 상궁태자(上宮太子; 가미츠미야노히츠기노미코)가 섭정(攝政)하던 때에 대량관(大椋官; 오쿠라노츠카사)으로 임명되었다. 그때에 집 주변에 굵은 버드나무가 있었는데, 태자가 권향궁(卷向宮; 마카무쿠노미야)을 순행할 때 나무를 보고 아비태련(阿比太連; 아히타노무라지)에게 대오련(大俁連; 오마타노무라지)을 사여하였다. 4세손 정6위상 천계(千繼; 치츠기) 등에게 천평신호(天平神護) 원년(765)에 글자를 고쳐서 대정련(大貞連; 오사다노무라지)를 사여하였다.
 
【주석】
1. 대정련(大貞連)
대정(大貞)이라는 씨명은 대오(大俁)의 오(俁) 자를 좋은 글자로 고친 것이다. 대오라는 씨명은 아비태련의 집 주변에 심어져 있던 굵은 버드나무를 보고 성덕태자가 사여한 것이라고 적고 있다.
대오련씨 일족으로는 『일본후기(日本後紀)』 연력 23년(804) 11월 갑신조에서 좌경인(左京人) 종7위하 대오련삼전차(大俁連三田次)가 대정련 성을 사성받고 있다. 『일본후기』 홍인 2년(811) 윤12월 무신조에서는 대화국인(大和國人) 종8위하 대오련복귀마려(大俁連福貴麻呂)가 대정련 성을 사성받았다. 『속일본후기』 승화(承和) 4년(837) 4월 정유조에서는 대화국인(大和國人) 내장사생(內藏史生) 대오련복산(大俁連福山)이 대정련을 사성받았다고 적고 있다.
2. 속일명(速日命)
속일명은 요속일명(神饒速日命; 니기하야히노미코토)과 같다. 물부씨의 조상이다. 속일명에 관해서는 좌경 신별(상) 「석상조신」 조(346) 신요속일명 참조.
3. 미가리대련(彌加利大連)
미가리대련(彌加利大連; 미카리노오무라지)은 『선대구사본기』 천손본기 물부씨 계보에서는 물부대시어수련공(物部大市御狩連公; 모노노베노오이치노미카리노무라지키미), 어수대련(御狩大連; 미카리오무라지)으로 표기된다. 물부씨의 조상 요속일존의 14세손 물부대시어수련공(物部大市御狩連公)은 미여대련(尾輿大連; 미코시노오무라지)의 아들이다.
『선대구사본기』 천손본기 물부씨 계보에서는 요속일존의 14세손이며 어수대련의 아들인 물부대인련공(物部大人連公; 모노노베노우시노무라지키미)의 동생 물부목련공(物部目連公; 모노노베노메노무라지키미)이 대진련(大眞連; 오마노무라지)의 조상이라고 적고 있다.
4. 상궁태자(上宮太子)
상궁태자는 성덕태자(574~621)를 가리킨다. 용명천황(518~587, 재위 585~587)의 제2황자다. 어머니는 흠명천황의 딸 혈수부간인황녀(穴穗部間人皇女)이다. 『일본서기』에서는 용명천황이 총애하여 태자를 왕궁 남쪽의 상전(上殿; 가미츠미야)에 살게 하였기 때문에 상궁구호풍총태자(上宮廐戶豐聰太子)로 불렀다고 한다. 『상궁성덕법왕제설(上宮聖德法王帝說)』에서는 용명천황이 그를 매우 총애하여 궁 남쪽의 상대전(上大殿)에 살게 하였기 때문에 상궁왕(上宮王)이라고 불렀다고 적고 있으며, 『일본영이기(日本靈異記)』에서는 천황 궁의 위쪽에 살게 하였으므로 상궁황(上宮皇)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적고 있다.
『일본서기』 추고 21년(613) 12월 경진삭조에는 상궁태자가 편강(片岡; 가타오카)을 유행(遊行)하였다는 이야기가 있다. 편강은 현재 나량현(奈良縣) 북갈성군(北葛城郡) 향지정(香芝町) 금천(今泉)이다.
『신찬성씨록』 좌경 신별(하) 「가실련(榎室連)」 조(407)에서는 산성국(山城國) 구세군(久世郡) 수주촌(水主村) 고마려(古麻呂)의 집 문에 큰 오동나무[大榎]가 있었기 때문에 성덕태자가 가실련이라는 이름을 내려 주었다고 적고 있다.
5. 대량관(大椋官)
대장관(大藏官)을 가리킨다.
6. 권향궁(卷向宮)
권향궁은 전향궁(纏向宮; 마키무쿠노미에)을 가리킨다. 『일본서기』 수인 99년 7월 무오조에서 수인천황이 전향궁에서 죽었다고 적고 있다. 『일본서기』 경행천황 54년 9월 기유조에서는 경행이 이세(伊勢; 이세)에서 왜(倭; 야마토)로 돌아와 전향궁에 거주하였다고 적고 있다. 수인과 경행 대에 천황이 거주하던 궁임을 알 수 있다. 성덕태자가 전향궁에서 거주하였다는 이야기는 본조 외에는 보이지 않는다.
7. 아비태련(阿比太連)
아비태련이라는 이름은 더 이상 보이지 않는다. 『선대구사본기』 천손본기 물부씨 계보에 보이는 물부목련공(物部目連公; 모노노베노메노무라지키미)의 아들일 것이다.
8. 천계(千繼)
천계는 더 이상 보이지 않는다. 또한 천계 등에게 천평신호(天平神護) 원년(765)에 대정련이라는 씨성을 사여하였다는 내용은 『속일본기』에 실려 있지 않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대정련(大貞連; 오사다노무라지) 자료번호 : ss.k_0001_0040_0010_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