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수취련(水取連; 모히토리노무라지)

수취련(水取連; 모히토리노무라지)
 위와 같다.
 
【주석】
1. 수취련(水取連)
수취(水取; 모히토리)라는 씨명은 수취(水取; 모히토리), 즉 수부(水部; 모히토리)의 반조씨족이었던 것과 관련이 있다.
수취련의 옛 씨성은 수취조(水取造; 모히토리노미야츠코)였다. 『일본서기』 천무 12년(683) 9월 정미조에서 수취조가 연(連) 성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수취련씨 일족으로는 『일본문덕천황실록』 제형(齊衡) 원년(854) 춘정월 임진조 등의 수취련계웅(水取連繼雄), 천안(天安) 원년(857) 춘정월 병오조의 수취련병인(水取連柄仁), 『일본삼대실록』 정관(貞觀) 2년(860) 2월 11일 임진조의 수취련하자(水取連夏子)와 수취련계주(水取連繼主)가 있다.
정관 6년(864) 8월 8일 임술조에서는 좌경인(左京人) 산사(散事) 종5위하 수취련하자(水取連夏子), 고(故) 외종5위하 수취련병인(水取連柄仁)과 수취련계남(水取連繼男)등이 조신(朝臣) 성을 사성받았다. 또 정관(貞觀) 6년(864) 8월 25일 기묘조에서는 좌경인 주수령사(主水令史) 정7위하 수취련계인(水取連繼人)과 산위(散位) 정8위하 수취련계주(水取連繼主)가 숙녜 성을 사성받았다.
2. 동상(同上)
『신찬성씨록』완본에는 “속일명(速日命; 하야히노미코토)의 6세손 이향아색호명(伊香我色乎命; 이카가시코오노미코토)의 후손”이라고 적혀 있었을 것이다. 속일명은 신요속일명(神饒速日命; 니기하야히노미코토)과 같다. 속일명에 관해서는 좌경 신별(상) 「석상조신」조(346)의 신요속일명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수취련(水取連; 모히토리노무라지) 자료번호 : ss.k_0001_0040_0010_0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