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소치전숙녜(小治田宿禰; 오하리타노스쿠네)

소치전숙녜(小治田宿禰; 오하리타노스쿠네)
 석상(石上; 이소노카미)과 같은 조상이다. 흠명천황(欽明天皇) 대에 소치전(小治田; 오하리타)의 점전(鮎田; 아유타)을 개간하였으므로 소치전대련(小治田大連; 오하리타노오무라지)를 사여하였다.
 
【주석】
1. 소치전숙녜(小治田宿禰)
소치전(小治田; 오하리타)은 소간전(小墾田; 오하리타)으로도 표기된다. 소치전이라는 씨명은 지명과 관련이 있다. 이곳은 대화국(大和國) 고시군(高市郡)으로 현재 나량현(奈良縣) 고시군(高市郡) 명일향촌(明日香村) 일대이다. 소치전이라는 지명은 『고사기』 안강천황단(安康天皇段)에 처음 보인다. 안강의 동생 대장곡황자(大長谷皇子; 오하츠세노미코, 雄略天皇)가 형 백일자왕(白日子王)을 소치전에서 죽였다. 『일본서기』에서는 윤공천황 5년 7월 기축조에 소간전채녀(小墾田采女; 오하리다노우네메)가 보이는데, 이는 소간전 지역에서 바친 채녀라는 뜻이다. 『일본서기』 안한(安閑) 원년 10월 갑자조에 소간전둔창(小墾田屯倉), 흠명(欽明) 13년 10월조에 소간전가(小墾田家)가 보인다.
이후 『일본서기』에 의하면 603년에 추고천황이 소간전궁(小墾田宮; 오하리타노이먀)을 조영하여 옮겼다고 적고 있다. 제명 원년(655) 10월 기유조에서도 소간전(小墾田)에 궁궐을 지었다고 적고 있다. 천무 원년(672) 6월 기축조에서는 소간전병고(小墾田兵庫)라고 하여 소간전에 무기고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지통 칭제전기 주조 원년(686) 12월 을유조에서는 천무의 명복을 빌기 위한 무차대회(無遮大會)를 열도록 한 곳 중에 소간전풍포(小墾田豐浦; 오하리다노토요하라)가 보인다. 이는 소간전에 있었던 풍포사(豐浦寺; 도유라데라)를 가리킨다.
소치전숙녜의 옛 씨성은 소치전련(小治田連; 오하리다노무라지)이다. 『일본서기』 천무천황 13년(684) 12월 기묘조에 의하면 소치전련 등 여러 씨족이 숙녜 성을 사성받았다고 한다.
소치전숙녜 일족은 사서에서 『일본삼대실록(日本三代實錄)』 원경(元慶) 5년(881) 10월10일 을유조에 처음 이름이 보인다. 좌근위부(左近衛府)의 무위(無位) 소치전숙녜춘웅(小治田宿禰春雄; 오하리다노스쿠네하루오) 등 4명을 육오국(陸奧國; 무츠노쿠니)에 파견하였다고 적고 있다. 그 밖에 천평 10년 「관인역명(官人歷名)」(『대일본고문서』1-84)의 소치전숙녜여마려(小治田宿禰與呂麻呂), 천평 20년(748) 8월 이래 「경사등상일장(經師等上日帳)」(『대일본고문서』 10-355)의 소치전숙녜인군(小治田宿禰人君), 천평보자 4년(760)7월 30일자 「조동대사사해안(造東大寺司解案)」(『대일본고문서』 25-270)의 소치전숙녜년족(小治田宿禰年足; 오하리다노스쿠네토시타리)이 고문서에 보인다.
2. 석상동조(石上同祖)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석상(石上)’ 다음에 ‘조신(朝臣)’이라는 글자가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선대구사본기(先代舊事本紀)』천손본기(天孫本紀)에서는 물부씨의 조상 요속일존(饒速日尊)의 4세손 대목식명(大木食命; 오키쿠이노미코토)의 동생 육견숙녜명(六見宿禰命; 무츠미노스쿠네노미코토)이 소치전련(小治田連)의 조상이라고 적고 있다.
3. 흠명천황(欽明天皇)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흠명’의 앞에 ‘천국배개광정천황시(天國排開廣庭天皇諡)’라는 아홉 글자가 있었고, ‘흠명’ 다음의 ‘천황’이라는 글자는 없었을 것이다.
4. 소치전점전(小治田鮎田)
소치전(小治田; 오하리다)의 점전(鮎田; 아유타)은 소치전의 한 지역을 가리킨다. 『만엽집』에 실린 시 속에 ‘소치전지, 연어도지수호, 간무증, 인자파운운(小治田之, 年魚道之水乎, 間無曾, 人者把云云)’이라고 하여 소치전의 연어도(年魚道; 아유치)라는 말이 보인다. 점(鮎; 아유)은 『만엽집』에서는 연어(年魚; 아유)로 표기되었다. 연어도는 대화(大和; 야마토)의 소치전에 있었던 길로 점곡(鮎谷; 아유타니)과 아산곡(阿山谷; 아야마타니)으로 가는 길이었다(高木市之助 외, 『校注萬葉集』 3, 일본고전문학대계 6, 암파서점, p. 355).소치전 지역의 개간 전승은 『화주오군신사신명장대략주해(和州五郡神社神名帳大略注解)』(1446)의 「치전신사(治田神社)」 조에도 보인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소치전숙녜(小治田宿禰; 오하리타노스쿠네) 자료번호 : ss.k_0001_0040_0010_0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