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수적조신(穗積朝臣; 호츠미노아소미)

수적조신(穗積朝臣; 호츠미노아소미)
 석상(石上; 이소노카미)과 같은 조상이다. 신요속일명(神饒速日命; 가무니기하야히노미코토)의 5세손 이향색웅명(伊香色雄命; 이카가시코오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수적조신(穗積朝臣)
수적(穗積; 호츠미)이라는 씨명은 율령제의 대화국(大和國) 산변군(山邊郡) 수적향(穗積鄕)과 관련이 있다. 이곳은 현재 나량현(奈良縣) 천리시(天理市) 전재(前栽) 부근이다.
수적조신의 옛 씨성은 수적신(穗積臣)이었다. 『일본서기』 천무 13년(684) 11월 무신삭조에 의하면 수적신이 조신(朝臣)을 사성받았다고 한다.
『일본서기』에는 수적신의 조상에 관해 개화 즉위전기에 보인다. 여기에서는 개화의 어머니 울색미명(鬱色謎命; 우츠시코메노미코토)이 수적신의 먼 조상 울색웅명(鬱色雄命; 우츠시코오노미코토)의 여동생이라고 적고 있다. 이어서 숭신 7년 추8월 계묘삭 기유조에서는 수적신의 먼 조상 대수구숙녜(大水口宿禰; 오미쿠치노스쿠네)가 보인다. 숭신 대에 역병이 들자 숭신천황이 꿈의 계시대로 왜국(倭國; 야마토노쿠니)의 대물주신(大物主神; 오모노누시노카미)의 아들 대전전근자(大田田根子)를 찾아 대물주신을 제사지내려 하였다. 이때 대수구숙녜 등 세 명이 같은 꿈을 꾸고 천황에게 “대전전근자에게 대물주신을 제사지내도록 하고 시기장미시(市磯長尾市; 이치시노나가오치)에게 왜대국혼신을 제사지내게 하면 천하가 태평하게 될 것이다”라고 말하였다고 한다. 이에 숭신이 이들의 말에 따르자 역병이 멈추게 되었다고 한다. 수적신의 먼 조상이라고 하는 울색웅명이나 대수구숙녜는 더 이상 보이지 않는다. 이후 수적신이 다시 보이는 것은 계체 대이므로 울색웅명이나 대수구숙녜 이야기는 수적신이 자신들의 씨족의 역사가 오래되었다고 주장하기 위해 만들어 넣은 이야기일 가능성이 크다.
수적신을 씨성으로 가진 사람이 처음 보이는 것은 계체 6년 4월조이다. 여기에서는 계체천황이 수적신압산(穗積臣押山; 호츠미노오미오시야마)을 백제에 사신으로 파견하면서 말을 40필 주었다고 적고 있다. 수적신압신은 같은 해 12월조에 다리국수(哆唎國守)로 등장하고 있다. 그는 임나국의 상다리(上哆唎), 하다리(下哆唎), 사타(娑陀), 모루(牟婁) 4현이 백제에 가깝고 일본과 떨어져 있으니 백제의 요청대로 백제에게 주라고 상주하였다. 계체 7년 6월조에서는 백제가 저미문귀(姐彌文貴) 장군을 파견하여 오경박사 단양이(段楊爾)를 흠명천황에게 보낼 때 수적신압산도 함께 갔다. 이때 흠명이 기문(己汶) 땅을 달라는 백제의 요구를 받아들였다고 한다. 그후 계체 23년 춘3월조에서는 백제 왕이 하다리국수 수적신압산에게 가라(加羅)의 다사진(多沙津)을 백제의 조공진로(朝貢津路)로 해 달라고 요구하자, 그가 이를 흠명천황에게 상주하여 흠명천황이 물부이세련부근(物部伊勢連父根), 길사노(吉士老) 등을 파견하여 백제 측에 다사진을 주었다고 한다. 수적신압산은 『일본서기』 계체 7년 6월조에 인용된 「백제본기(百濟本記)」 에서는 ‘위의사이마기미(委意斯移麻岐彌; 야마토노오시야마키미)’로 표기되고 있다. 이는 왜국의 오시야마키미[押山君]를 이두식으로 표기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수적신압산은 수적신씨의 실제 조상일 것으로 여겨지는데, 『일본서기』에서는 매우 친백제적인 인물로 등장하고 있다.
『일본서기』에서 수적신압산(穗積臣押山) 다음으로 등장하는 인물이 수적신반궁(穗積臣磐弓; 호즈미노오미이와유미)이다. 흠명 16년 7월 임오조에서는 흠명천황이 소아대신도목숙녜(蘇我大臣稻目宿禰; 소가노오미이나메수쿠네)와 수적반궁신(穗積磐弓臣; 호츠미노이와유미오미)을 파견하여 길비(吉備)의 다섯 군(郡)에 백저둔창(白猪屯倉)을 두었다고 적고 있다. 당시 대신인 소아도목의 측근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후 효덕 대에 수적신색(穗積臣咋; 호츠미노오미쿠이)이 보인다. 『일본서기』에 따르면 그는 대화 원년(645) 8월에 동국국사(東國國司)로 임명되었다. 대화 2년 3월에 동국에 파견된 조집사(朝集使)가, 동국국사 수적신색이 백성들의 물건을 빼앗지 말고 민폐를 끼치지 말라는 효덕천황의 명령을 어기고 호별로 백성들에게 강제 징수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수적신색은 자신의 과오를 인정하여 백성들에게 징수한 것 중에 일부를 돌려주었다고 한다. 이후 대화(大化) 5년(646) 3월 무진조에 소아창산전대신(蘇我倉山田大臣; 소가노쿠라야마다오미)이 황태자 중대형황자를 죽이려 계획하였다고 소아일향(蘇我日向; 소가노히무카)이 모함하자, 소아창산전대신을 심문하기 위해 효덕천황이 파견한 사람 중에 수적색신(穗積咋臣; 호츠미노쿠이오미)의 이름이 보인다.
『일본서기』 천무천황 원년(672) 6월 2일조에서는 수적신백족(穗積臣百足; 호츠미노오미모모타리)과 그의 동생 수적신오백지(穗積臣五百枝; 호츠미노오미이호에)가 보인다. 이들은 임신의 난이 일어났을 때 대우황자(大友皇子; 오토모노미코)를 위해 왜경(倭京)에서 싸우다가 백족은 대해인황자(大海人皇子; 천무천황) 측에 붙잡혀 죽고 오백지는 용서받아 대해인황자 측에 합류하여 싸웠다. 『영락유문(寧樂遺文)』에는 제명천황 대에 아배창귤만려(阿倍倉橘萬呂)와 함께 조백제대사사(造百濟大寺司)로 임명되었음을 말해 주는 문서가 실려 있다.
천무천황 13년(684)에 조신(朝臣) 성을 사성받은 후, 수적조신씨 중에서 최초로 사서에 이름이 보이는 사람은 수적조신충마려(穗積朝臣蟲麻呂; 호츠미노아손무시마로)이다. 그는 『일본서기』 주조(朱鳥) 원년(686) 춘정월 시월조(是月條)에서 직광사(直廣肆, 율령제의 종5위하)로 신라에서 파견된 사신 김지상(金智祥)을 접대하기 위해 축자(筑紫)로 파견되었다. 그 밖에 『일본서기』 지통천황 3년(689) 2월 기유조에 무대사(務大肆, 율령제의 종7위하) 수적조신산수(穗積朝臣山守; 호츠미노아손야마모리)가 판사(判事)로 임명되었다.
『속일본기』에서는 수적조신로(穗積朝臣老; 호츠미노아손오유), 수적조신로인(穗積朝臣老人; 호즈미노아손오유토), 수적조신다리(穗積朝臣多理; 호츠미노아손타리), 수적조신소동인(穗積朝臣小東人; 호츠미노아손아즈마히토), 수적조신하호(穗積朝臣賀祜; 호츠미노아손카코) 등이 관인으로 활약하고 있지만 최고 관위는 종5위상에 그치고 있다.
수적조신하호는 사서에 보이는 수적조신씨의 마지막 인물이다. 그는 환무천황 대에 종5위하, 783년에 주세두(主稅頭), 784년에 산위두(散位頭)로 임명되었으나, 더 이상 사서에 그의 이름은 보이지 않는다. 『신찬성씨록』 편찬국에 수적조신씨의 유래를 제출한 사람은 수적조신하호 또는 그의 자식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2. 석상동조(石上同祖)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석상’ 다음에 ‘조신(朝臣)’이 적혀 있었을 것이다.
3. 신요속일명(神饒速日命)
신요속일명은 물부씨의 조상이다. 앞의 「석상조신」 조(346) 신요속일명 참조.
4. 이향색웅명(伊香色雄命)
『일본서기』에서는 이향색웅(伊香色雄; 이카가시코오), 『고사기』에서는 이가하색허남명(伊迦賀色許男命; 이카가시코오노미코토)으로 표기하였다.
『고사기』신무천황단에서 “이예속일명(邇藝速日命; 니기하야히노미코토)이 등미비고(登美毘古; 도미히코)의 여동생 등미야비매(登美夜毘賣; 도미야비매)와 결혼하여 낳은 아들이 우마지마지명(宇摩志麻遲命; 우미시마지노미코토)”이라고 적고 할주(割註)로 수적신(穗積臣) 등의 조상이라고 적고 있다. 이예속일명은 물부씨(석상조신씨)의 조상이다. 즉 『고사기』에서는 이예속일명의 아들이 수적신의 조상이라고 적고 있는 것이다.
한편 『일본서기』 숭신 7년 추8월 계묘삭 기유조에서는 숭신이 물부련의 조상 이향색웅(伊香色雄)을 신에게 바치는 물건을 준비하는 사람으로 삼아 점을 쳤으며, 숭신천황 7년 11월 정묘삭 기묘조에 의하면 숭신천황이 이향색웅에게 명하여 물부씨의 그릇으로 신에게 제사지내도록 하였다. 즉 『일본서기』에서는 이향색웅이 물부씨의 조상이라고 적고 있는 것이다.
『선대구사본기(先代舊事本紀)』 천손본기(天孫本紀)에서는 이향색웅을 물부씨의 조상 요속일존(饒速日尊)의 5세손 대종저명(大綜杵命)의 아들이며 숭신천황의 어머니 이향색미명(伊香色謎命; 이카가시메노미코토)의 남동생이라고 적고 있다. 『선대구사본기』에 따른다면 이향색웅은 물부씨의 조상 요속일존의 6세손이 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수적조신(穗積朝臣; 호츠미노아소미) 자료번호 : ss.k_0001_0040_0010_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