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화기공(和氣公; 와케노키미)

화기공(和氣公; 와케노키미)
 견상조신(犬上朝臣; 이누카미노아소미)과 조상이 같으며, 왜건존(倭建尊; 야마토타케루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화기공(和氣公)
화기(和氣; 와케)라는 씨명은 별(別; 와케)이라고도 하며, 4~5세기에 왕자, 왕족, 지방 호족의 칭호에서 유래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조 화기공씨의 본거지는 화천군(和泉郡) 화기촌(和氣村)의 지역이다. 현재의 대판부 화천시(和泉市) 국부정(國府町) 부근이다.
별공씨 일족으로는, 화천국 출신인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속일본기』 대보(大寶) 3년(703) 4월조에 화기군판본(和氣君坂本)이 있고, 천평 5년(733) 8월 16일자 「황후궁직이(皇后宮職移)」(『대일본고문서』 1-478)에 별군갱만려(別君粳萬呂) 등이 보인다.
2. 견상조신(犬上朝臣)
견상(犬上; 이누카미)이라는 씨명은 율령제에서의 근강국(近江國) 견상(犬上; 이누카미)이라는 지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현재 자하현(滋賀縣) 견상군(犬上郡) 지역이다. 견상조신에 대해서는 좌경 황별(상) 「견상조신」 조(083) 참조.
3. 왜건존(倭建尊)
『고사기』 경행천황단에는 왜건명(倭建命)으로 나온다. 용감무쌍한 사람이라는 뜻이다. 『일본서기』 경행 27년 12월조에 웅습(熊襲)의 괴수 천상효수(川上梟帥)가 ‘일본무황자(日本武皇子)’라는 존호를 받들었다고 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화기공(和氣公; 와케노키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140_0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