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경부(輕部; 가루베)

경부(輕部; 가루베)
 왜일향건일향팔강전명(倭日向建日向八綱田命; 야마토히무카타케히무카야츠나타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웅략천황(雄略天皇; 유랴쿠텐노) 치세 때 가리내향(加里乃鄕; 가루노사토)을 바쳤다. 이에 경부군(輕部君; 가루베노키미)을 사성받았다.
 
【주석】
1. 경부(輕部)
경부라는 씨명은 목리지경태자(木梨之輕太子)의 명대부(名代部)인 경부(輕部)의 반조씨족이었던 데서 유래한다. 대화전대(大和前代)의 경부에 대해서는 『고사기』 윤공천황단에 “목리지경태자(木梨之輕太子)를 어명대(御名代)로 삼아 경부(輕部)를 정하였다.”라는 기록이 참조된다.
2. 왜일향건일향팔강전명(倭日向建日向八綱田命)
『일본서기』 수인 5년 10월 기묘삭조에 상모야군의 조상 팔망전(八網田)이 보인다. 이에 대해서는 화천국 황별 「경부」 조(325) 참조.
3. 웅략천황어세(雄略天皇御世)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웅략’ 앞에 ‘대박뢰유무천황시(大泊瀨幼武天皇諡)’라는 8글자가 있었을 것이고, ‘웅략’ 다음에 ‘천황’ 2글자는 없었을 것이다. 박뢰는 현재 나량현(奈良縣) 앵정시(櫻井市) 초뢰정(初瀨町)과 흑기정(黑崎町)의 주변이다. 박뢰의 조창(朝倉)에 궁이 있었기 때문에 이름에 박뢰를 붙인 것이다. 『일본서기』 안강 즉위전기 12월조의 대박뢰황자(大泊瀨皇子), 『고사기』 윤공천황단의 대장곡명(大長谷命), 동 웅략천황단의 대장곡약건명(大長谷若建命)이 있으며, 『파마국풍토기(播磨國風土記)』에 대장곡천황(大長谷天皇) 4년 2월조에는 “짐은 유무왕(幼武王)이다.”라고 하였다. 『송서』에 5세기 후반 남조(南朝)에 사신을 보낸 왜왕 무(武)와 같은 사람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기옥현(埼玉縣) 도하산고분(稻荷山古墳)에서 출토된 철검의 명문에 보이는 획가다지로대왕(獲加多支鹵大王) 및 웅본현(熊本縣) 강전선산(江田船山)고분에서 출토된 대도명의 와카타케루대왕(獲□□□鹵大王)을 왜왕 무(武, 다케루), 즉 웅략으로 추정하고 있다.
4. 가리내향(加里乃鄕)
화천국 화천군 경부향(輕部鄕)을 가리키다. 현재 대판부(大阪部) 천북군(泉北郡) 충강정(忠岡町) 일대이다. 천평 19년 2월 11일 「법륭사가람연기병유기자재장(法隆寺伽藍緣起幷流記資財帳)」(『寧樂遺文』상-363)에 “하내국(河內國) 화천군(和泉郡) 경향(輕鄕) 육당(六壋)”이라고 하여 경향(輕鄕)의 지명이 보인다.
5. 경부군(輕部君)
경부군씨 일족에 대해서는 다른 사료에 보이지 않는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경부(輕部; 가루베)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140_0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