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소수전수(掃守田首; 가니모리타노오비토)

소수전수(掃守田首; 가니모리타노오비토)
 무내숙녜(武內宿禰; 다케시우치노스쿠네)의 자식인 기각숙녜(紀角宿禰; 기노츠노노스쿠네)의 후손이다.
 
【주석】
1. 소수전수(掃守田首)
소수전(掃守田; 가니모리타)이라는 씨명은 『화천신명장(和泉神名帳)』 화천군조에 보이는 소수전사(掃守田社)의 진좌지인 현재 대판부 안화전시(岸和田市) 소수(掃守)라는 지명에서 유래한다.
화천국 출신 소수전수씨 일족은 다른 사료에는 보이지 않는다. 이 밖에 소수전수씨 일족에 대해서는 우경 황별(상) 「소수전수」 조(135) 참조.
2. 무내숙녜(武內宿禰)
『고사기』에는 건내숙녜(建內宿禰)로 나온다. 무내숙녜의 계보를 잇는 씨족은 49씨로 모든 지역에 걸쳐 분포하며, 조신(朝臣)이 22씨로 고위 신분이 많다. 『일본서기』 전승에 보이는 무내숙녜는 경행에서 인덕까지 5대에 걸쳐 천황에 봉사한 전설적인 인물이자 충신이다. 무내숙녜를 조상으로 하는 씨족들의 면모를 보면 소아씨(蘇我氏), 거세씨(巨勢氏), 평군씨(平群氏), 갈성씨(葛城氏), 기씨(紀氏) 등 중앙의 유력씨들이고, 소아씨 이하 4씨는 대신을 배출한 명문가이다. 동 전승에 따르면 무내숙녜는 경행 51년에 동량지신으로 임명되고, 성무 3년에는 대신이 되었고, 중애 9년에는 웅습 원정길에 천황이 급사하자 은밀히 사태를 수습한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 또한 신공황후의 신라 원정 시에 신의 계시를 받아 무내숙녜의 도움을 받았다는 이른바 삼한 정벌 설화와도 관련되어 있다. 좌경 황별(상) 「전구조신(田口朝臣)」 조(066) 참조.
3. 기각숙녜지후(紀角宿禰之後)
『월중석흑계도(越中石黑系圖)』 기각숙녜에 부기된 기록에는 자전수(莿田首)의 조상이라고 한다. 여기서 자전수는 소수전수를 가리킨다. 자전수씨에 대해서는 우경 황별(상)「소수전수」 조(135)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소수전수(掃守田首; 가니모리타노오비토)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140_0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