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광래진공(廣來津公; 히로키츠노키미)

광래진공(廣來津公; 히로키츠노키미)
 상모야조신(上毛野朝臣; 가미츠케노노아소미)과 조상이 같으며, 풍성입언명(豐城入彦命; 도요키이리히코노미코토)의 후손이다. 3세손 적마리(赤麻里; 아카마로)의 가지(家地)명에 의거해 수래진군(壽來津君; 히로키츠노키미)이라고 하였다.
 
【주석】
1. 광래진공(廣來津公)
광래진(光來津; 히로키츠)이라는 씨명은 심래진(尋來津; 히로키츠)이라고도 한다. 율령제하 하내국 삽천군(澁川郡) 적부향(跡部鄕)에 있던 난파진의 남부의 옛 지명이 광진(廣津; 히로츠)이었다. 현재 대판부 팔미시(八尾市) 식송정(植松町) 부근이다. 광래진공씨 일족으로는 『속일본기』 천평보자 7년(763) 9월 경신조의 하내국 출신 심래진공관마려(尋來津公關麻呂)가 있다. 자세한 것은 대화국 황별 「광래진」 조(226) 참조.
2. 상모야조신(上毛野朝臣)
상모야라는 씨명은 율령제 상야국(上野國; 가미츠케노쿠니)의 지명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곳은 현재 군마현(群馬縣)에 해당된다. 『일본서기』 천무 13년(684) 11월 무신삭조에 상모야군(上毛野君)을 비롯한 52씨에게 조신이라는 성을 주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자세한 것은 좌경 황별(하) 「상모야조신」 조(098), 우경 황별(상) 「상모야조신」 조(136)참조.
3. 풍성입언명(豐城入彦命)
『고사기』, 『일본서기』에 나오는 제10대 숭신천황의 황자이다. 『고사기』에는 풍목입일자명(豐木入日子命), 『일본서기』에는 풍성입언명(豐城入彦命)으로 나온다.
4. 삼세손(三世孫) 적마리(赤麻里)
적마리에 대해서는 여기에만 보인다. 다만 대화국 황별 「광래진」 조(227)에는 풍성입언명의 4세손으로 대황전별명(大荒田別命)이 나오는데, 적마리가 대황전별명의 조상에 해당하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5. 가지명(家地名)
가지의 이름은 광래진이다. 『일본서기』 웅략 7년 시세조에는 백제로부터 도래한 수말재기(手末才伎)를 안치한 곳으로 나온다. 이와 함께 『유취국사(類聚國史)』(권77) 「쟁(箏)」연력 15년 6월 병인조에 심래진공관마려(尋來津公關麻呂)가 거문고를 잘 다루고 물건을 잘 만들었다는 기록이 나오듯이 기능을 가진 인물이라는 점 등에서 광래진공씨를 도래계 씨족일 가능성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6. 수래진군(尋來津君)
수래진(壽來津; 히로키츠)이라는 씨명은 광래진(光來津; 히로키츠)이라고도 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광래진공(廣來津公; 히로키츠노키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130_0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