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자전숙녜(茨田宿禰; 마무타노스쿠네)

자전숙녜(茨田宿禰; 마무타노스쿠네)
 다조신(多朝臣; 오호노아소미)과 조상이 같다. 언팔정이명(彦八井耳命; 히코야위미미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자식은 야현숙녜(野現宿禰; 노미노스쿠네)이다. 인덕천황(仁德天皇; 닌토쿠텐노) 대에 자전제(茨田堤; 마무타노츠츠미)를 축조하였다. 『일본기』와 일치한다.
 
【주석】
1. 자전숙녜(茨田宿禰)
자전(茨田; 마무타)이라는 씨명은 『일본서기』 인덕 11년 동10월에 자전제(茨田堤)를 축조했다는 전승과 함께 자전제가 위치한 하내국 자전군 자전향(茨田鄕)이라는 지명에서 유래한다. 현재 대판부(大阪府) 문진시(門眞市) 문진(門眞) 일대이다. 원래 성은 연(連)이며, 천무천황 13년(684) 12월에 숙녜 성을 사성받았다.
자전숙녜씨의 일족으로는, 먼저 숙녜 성을 사성받기 이전의 인물로 『일본서기』 인덕
11년 10월조의 자전련삼자(茨田連衫子), 계체 원년(507) 2월조의 자전련소망(茨田連小望)이 있다.
숙녜를 사성받은 후의 인물로는 천평 16년(744) 4월 19일자 「사소료지등납충주문(寫疏料紙等納充注文)」(『대일본고문서』8-460)의 자전숙녜매마려(茨田宿禰枚麻呂), 천평승보 원년(749) 9월 29일자 「대재부첩안(大宰府牒案)」(『대일본고문서』 24-604)의 자전숙녜오백촌(茨田宿禰五百村) 등이 있다.
2. 다조신(多朝臣)
다(多)는 ‘태(太)’, ‘대(大)’, ‘의부(意富)’라고도 하며, 신무천황의 아들 신팔정이명(神八井耳命)의 후손이라고 한다. 좌경 황별(상) 「다조신」 조(077) 참조.
3. 언팔정이명(彦八井耳命)
『고사기』 신무천황단에는 신무천황의 아들 일자팔정명(日子八井命)으로 나온다. 언팔정이명은 좌경 황별(하) 「자전련」 조(177) 참조.
4. 야현숙녜(野現宿禰)
여기에만 보여 자세히 알 수 없다.
5. 인덕천황(仁德天皇)
『신찬성씨록』완본에는 ‘대초료천황시인덕(大鷦鷯天皇諡仁德)’이라고 기록되어 있었을 것이다. 인덕은 응신과 중희(仲姬) 사이에서 태어났다. 인덕은 난파고진궁(難波高津宮)에 도읍을 정하고 갈성반지원(葛城磐之媛)을 황후로 세워 이중(履中), 반정(反正), 윤공(允恭) 등 4명의 아들을 두었다. ‘기기(記紀)’에 요순(堯舜)과 같은 성스러운 군주로 묘사되어 있다. 『일본서기』에는 재위 87년에 죽었다고 되어 있지만, 『고사기』에는 83세에 죽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인덕천황릉으로 전하는 백설조이원중릉(百舌鳥耳原中陵)은 대판부(大阪府) 계시(堺市)에 있는 전방후원분인 대산고분(大山古墳)으로 비정되고 있다.
6. 자전제(茨田堤)
『일본서기』 인덕 11년 10월조에 자전제 축조 기사가 보이고, 『고서기』 인덕천황단에 진인(秦人)으로 하여금 자전제 및 자전삼택(茨田三宅)을 만들게 했다는 기록이 있다. 『하내지(河內志)』에 매방시(枚方市) 이가하(伊加賀) 부근에서 도도구(都道區) 동야전정(東野田町) 부근에 이르는 제방이라 보는 설이 있다. 『속일본기』 천평승보(天平勝寶) 2년(750) 5월 신해조에 자전제가 자주 무너졌다는 기사가 있고, 보귀(寶龜) 원년(770) 7월 임오조에는 자전제 공사에 3만여 명을 동원한 기록도 보인다.
7. 일본기합(日本紀合)
『일본서기』 천무천황 13년(684) 12월 기묘조에 자전련에게 숙녜 성을 사성한 기록을 가리킨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자전숙녜(茨田宿禰; 마무타노스쿠네)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130_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