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풍계공(豐階公; 도요시나노키미)

풍계공(豐階公; 도요시나노키미)
 하오공(河俁公; 가하마타노키미)과 조상이 같으며, 언좌명(彦坐命; 히코이마스노미코토)의 자식인 택도언명(澤道彦命; 사하지히코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풍계공(豐階公)
풍계(豐階; 도요시나)라는 씨명은 지명에 의한 것인지 미칭인지 명확히 알 수 없다. 풍계공의 옛 씨성은 하오공(河俁公)이다. 『일본삼대실록』 정관(貞觀) 3년(861) 9월 24일 을미조에 “연력(延曆) 19년에 하오공어영(河俁公御影)에게 풍계공(豐階公)의 성을 주었다.”라는 기록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연력 19년(800)에 풍계공이라는 성을 받았다.
풍계공씨 일족으로는 『속일본후기』 승화(承和) 9년 3월 신축조에 풍계공안인(豐階公安人)이 보인다. 안인은 원래 하내국 대현군(大縣郡) 사람으로 『일본문덕천황실록』에 의하면 인수(仁壽) 2년(852)에 진인(眞人)을 사성받았다.
2. 하오공(河俁公)
대화국 황별 「하오공」 조(227), 하내국 황별 「하오공」 조(281) 참조.
3. 택도언명(澤道彦命)
본비고왕(本毘古王, 협수언명)을 가리킨다. 본비고왕에 대해서는 하내국 황별 「일하부련」 조(280)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풍계공(豐階公; 도요시나노키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130_0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