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조량신(早良臣; 사와라노오미)

조량신(早良臣; 사와라노오미)
 평군조신(平群朝臣; 헤구리노아소미)과 조상이 같으며, 무내숙녜(武內宿禰; 다케시우치노스쿠네)의 자식인 평군도구숙녜(平群都久宿禰; 헤구리노츠쿠노스쿠네)의 후손이다.
 
【주석】
1. 조량신(早良臣)
조량(早良; 사와라)이라는 씨명은 좌화랑(佐和良), 초량(草良)이라고 하며, 율령제하 축전국(筑前國) 조량군(早良郡) 조량향(早良鄕)이라는 지명에서 유래한다. 이곳은 현재 복강현(福岡縣) 복강시 중앙구 조사(鳥飼) 부근이다. 조량향과 접한 지역으로 평군향(平群鄕)이 있어 조량신씨의 본거지가 이곳이었음을 말해 준다.
조량신씨 일족으로는 『속일본기』 천응(天應) 원년(781) 11월 계유조의 좌화량신정녀(佐和良臣靜女)와 『이장유적출토문자집성(伊場遺跡出土文字集成)』(15)의 조량신(早良臣)이 보인다. 이 밖에 주방국(周防國) 구가군(玖珂郡)에는 부성(部姓) 및 무성의 초량씨가 분포하고 있다. 특히 『평안유문』(1-289~305)에는 조량부진례매(早良部眞禮賣) 등 조량부씨(早良部氏) 인명이 다수 산견되고 있다.
2. 평군조신(平群朝臣)
평군(平群; 헤구리)이라는 씨명은 대화국(大和國) 평군군(平群郡) 평군향(平群鄕)이라는 지명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현재 나량현(奈良縣) 생구군(生駒郡) 평군정(平群町) 일대에 해당된다. 조신은 『일본서기』 천무천황(天武天皇) 13년(684) 11월 무신삭조에 평군신이 조신(朝臣)이라는 성을 받았다고 적혀 있다. 평군조신은 무내숙녜의 후손이라 칭하는 대화국 평군군 평군향을 본거지로 한 고대 재지 호족이다. 평군조신씨 일족에 대해서는 우경 황별(상) 「평군조신」 조(124) 참조.
3. 평군도구숙녜(平群都久宿禰)
『일본서기』에는 평군목토숙녜(平群木菟宿禰; 헤구리노츠쿠노스쿠네)로 나오며 평군씨의 조상이다. 평군목토숙녜는 『일본서기』 응신(應神) 3년 시세조 목토숙녜(木菟宿禰)의 백제 진사왕 관계 기사와 동 16년 8월조의 평군목토숙녜(平群木菟宿禰)의 가라 파견 기사가 보인다.
『고사기』 효원천황단에 의하면 평군도구숙녜가 평군신과 좌화량신, 마어직련(馬御樴連) 등의 조상이라고 한다. 좌경 황별(상) 「평군조신」 조(124)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조량신(早良臣; 사와라노오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130_0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