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아지나신(阿支奈臣; 아기나노오미)

아지나신(阿支奈臣; 아기나노오미)
 옥수조신(玉手朝臣; 다마테노아소미)과 조상이 같으며, 무내숙녜(武內宿禰; 다케시오치노스쿠네) 아들 갈성증두비고명(葛城曾豆比古命; 가츠라키노소츠비코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아지나신(阿支奈臣)
아지나(阿支奈; 아기나)라는 씨명은 아기내(阿祇奈; 아기나), 아예나(阿藝那; 아기나), 아기명(阿岐名; 아기나), 아기내(阿岐奈; 아기나)라고도 하며, 『만엽집』 권제14(3431)에 나오는 안기내산(安伎奈山)과 관계된 지명일 것으로 추측되는데 명확하지 않다. 안기내산에 대해서도 현재 어느 지역을 가리키는지 알 수 없다.
아지나신씨 일족으로는 『일본삼대실록』 정관(貞觀) 8년(866) 10월 병신조에 나오는 아기내신안계(阿岐奈臣安繼)가 있다. 아기내신안계는 정관 9년 2월 16일자 「찬기국사해(讚岐國司解)」(『平安遺文)』1-128)의 정6위하 행소목(行少目) 아기내신(阿岐奈臣)과 동일인이다.
한편 아기내씨는 군(君) 성을 가진 씨족도 있다. 이 일족에 대해서는 대화국 황별 「아기내군」(214)조 참조.
2. 옥수조신(玉手朝臣)
무내숙녜의 아들인 갈성습진언(葛城襲津彦) 후손으로 『고사기』효원천황단에 의하면 적신씨, 아지나신씨와 동족이다. 원래 성은 신(臣)이며 천무 13년(684) 11월에 조신(朝臣) 성을 하사받았다. 우경 황별(상) 「옥수조신」 조(134) 참조.
3. 무내숙녜(武內宿禰)
무내숙녜에 대해서는 좌경 황별(상) 「전구조신(田口朝臣)」 조(066) 참조.
4. 갈성증두비고명(葛城曾豆比古命)
무내숙녜(武內宿禰)의 아들로 갈성씨(葛城氏)의 조상이다. 『고사기』 효원천황단에는 갈성장강증도비고(葛城長江曾都毘古)로 나오며, 옥수신(玉手臣), 아예나신(阿藝那臣) 등의 조상이라고 한다. 『일본서기』에는 갈성습진언(葛城襲津彦)으로 나오는데, 신공황후 섭정 5년부터 웅략 7년에 이르는 오랜 기간 동안 활동한 인물로 묘사되어 있다. 갈성증두비고명에 대해서는 좌경 황별(하) 「갈성조신」 조(111)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아지나신(阿支奈臣; 아기나노오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120_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