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삼택인(三宅人; 미야케히토)

삼택인(三宅人; 미야케히토)
 대언명(大彦命; 오히코노미코토)의 아들 파다무일자명(波多武日子命; 하타타케히코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삼택인(三宅人)
삼택인이라는 씨명은 삼가인(三家人; 미야케히토)이라고도 하며, 대화 이전의 둔창(屯倉; 미야케)을 관리하던 직명에서 유래한다. 섭진국 출신 삼택인씨 일족은 사료상 보이지 않아 성은 명확히 알 수 없다.
한편 약협국(若狹國) 출신의 삼택인씨는 문서나 목간에 종종 보인다. 등원궁 출토 목간(『飛鳥藤原宮發掘調査出土木簡槪報』 2, 1975)의 삼가인삼성(三家人三成), 평성궁 출토 목간(『平城宮木簡』 1-131, 1966)의 삼가인흑만려(三家人黑万呂) 등 다수의 사례가 확인된다. 약협국의 삼가인씨들은 특히 원부군(遠敷郡)에 다수 거주하고 있었다. 이는 원부군 삼가리(三家里)에 둔창이 설치되었고 삼가인을 통솔하던 삼가수(三家首)가 있었기 때문이다. 『일본후기』 홍인 6년(815) 정월 정축조에는 미장국(尾張國) 산전군(山田郡) 출신으로 자기(瓷器)를 생산하던 삼가인부(三家人部)가 보인다. 『정창원문서』 천평보자 2년(758) 12월 22일자 「삼가련풍계해(三家連豐繼解)」(『대일본고문서』 13-271)의 축전국(筑前國) 조양군(早良郡) 액전향(額田鄕) 출신 삼가인대족(三家人大足)과 천평보자 6년 3월 13일자 「조석산원소해(造石山院所解)」(『대일본고문서』 15-163)의 월후국(越後國)출신 삼가인령(三家人領) 등이 기록되어 있다.
2. 대언명(大彦命)
대언명에 대해서는 좌경 황별(상) 「아배조신」 조(054) 참조.
3. 파다무일자명(波多武日子命)
하내국 난파조에는 파다무언명(波多武彦命)으로 나오는데 자세히 알 수 없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삼택인(三宅人; 미야케히토)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120_0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