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길지(吉志; 기시)

길지(吉志; 기시)
 난파기촌(難波忌寸; 나니하노이미키)과 조상이 같으며, 대언명(大彦命; 오시코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길지(吉志)
길지라는 씨명은 길사(吉士; 기시) 또는 길사(吉師; 기시)라고도 하며, 고대 한반도의 수장을 가리키는 말에서 유래한다. 이들의 출처에 대해서는 신라 관위 17관등 가운데 제14위 길사(吉士)라는 관위에 주목하여 신라계로 보거나, 길사 집단이 주로 가야 무제와 관련하여 한반도로 파견되고 있기 때문에 가야계로 보기도 한다. 한편 『고사기』 응신천황단에는 아직기와 왕인을 아지길사(阿知吉師)와 화이길사(和邇吉師)로 표현하였고, 『신찬성씨록』 섭진국(攝津國) 제번조에서는 한사길지(汗汜吉志)가 백제계라고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조길사(調吉士)도 백제국 노리사주(努理使主)의 후예로 나온다. 고고학적으로도 부여에서 ‘나이파련공(那尒波連公)’이라는 글자가 남아 있는 목간이 발견되거나 오사카의 사천왕사가 난파길사(難波吉士)의 씨사라는 견해도 있듯이 길사 집단 가운데는 백제와 관계가 깊은 씨족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길사는 한반도에서 수장을 의미하는 칭호로 사용되다가, 왜국 내 도왜씨족의 중소 수장층을 나타내는 칭호인 씨(氏; 우지) 또는 성(姓; 가바네)으로 변화한 것으로 여겨진다.
길사는 사료상 본조의 길지를 비롯하여 난파길사(難波吉士), 초향부(草香部) 또는 초벽(草璧)·일하부길사(日下部吉士), 삼택길사(三宅吉士), 일응길사(日鷹吉士)·난파일응길사, 판본길사(坂本吉士), 조길사(調吉士), 택소길지(宅蘇吉志), 다호길사(多胡吉士)·오길사(吳吉士), 비조부길사(飛鳥部吉士), 임생길사(壬生吉士), 대국길사(大國吉士), 국승길사(國勝吉士), 소흑길사(小黑吉士), 사길사(社吉士), 흑산기사(黑山企師), 수랑길지(穗浪吉志), 삼택인(三宅人), 난파(難波) 18개 씨족이 보인다. 이들은 같은 씨족이면서 다르게 표기되는 경우가 많고, 여기서 길사란 주로 성(姓)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길사가 명확히 씨명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본조의 길지밖에 보이지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신찬성씨록』에는 섭진국 황별의 길지와 삼택인, 하내국 황별의 일하련, 난파기촌, 난파 5개 씨족에 대해서만 기록하고 있는데, 모두 아배씨(阿倍氏)와 동족임을 주장하면서 황별 씨족에 포함되어 있다.
길지씨의 본거지는 섭진국 도하군(島下郡) 길지부촌(吉志部村), 현재의 대판부 흡전시(吹田市) 안부정(岸部町)이다. 흡전시에는 길지부신사(吉志部神社)가 있으며, 경내에서 가마터가 조사된 바 있다. 여기서 제작된 도기나 기와를 수로를 이용해서 평성경 등으로 운반하였을 것으로 추정한다.
길지씨 일족으로는 천평보자 4년(760) 11월 18일자 「동대사삼강첩(東大寺三綱牒)」(『대일본고문서』3-17)의 길지선인(吉志船人), 평성궁 출토 목간(『평성궁발굴조사출토목간개보』4-4, 1967)에 길지(吉志)가 보인다. 여기서 길지선인은 섭진국 서생군(西生郡)의 종8위상 의대령(擬大領)이었다. 이후 『일본후기』 홍인(弘仁) 4년(813) 2월 을미조에 의하면 선인은 정6위상으로서 난파기촌(難波忌寸)이라는 씨성을 칭하면서 하내국 출신 종8위상 난파기촌씨주(難波忌寸氏主)와 함께 숙녜 성을 사성받았다. 이렇게 보면 『신찬성씨록』 편찬 단계에서 길지씨에 대한 자료를 제출한 인물이 바로 난파기촌선인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한편 길지씨는 섭진국뿐만 아니라 무장국(武藏國)에도 거주하였다. 『일본영이기(日本靈異記)』(中-3)의 무장국 다마군(多麻郡) 압리(鴨里) 사람인 길지대마려(吉志大麻呂)와 『속일본기』 신호경운(神護慶雲) 2년(768) 6월 계사조에 천황에게 백치(白雉)를 바친 비조부길지오백국(飛鳥部吉志五百國)이 보인다. 비조부는 『신찬성씨록』 좌경 제번에 의하면 백제인인 국본목길지(國本木吉志)의 후예라고 하므로 비조부길지씨는 비조부씨와 동족일 가능성이 크다. 이렇게 보면 길지대마려도 백제계 비조부길지씨와 동족일 가능성이 있지만 정확한 것은 알 수 없다.
이 밖에 길사씨 관련 인물로는 『일본서기』 계체 23년(529) 3월(是月)조의 길사로(吉士老), 흠명 31년(570) 4월(是月)조의 길사적구(吉士赤鳩), 민달 4년(575) 4월 경인조의 길사목련자(吉士木蓮子)와 길사역어언(吉士譯語彦), 추고 5년(597) 11월 경오조의 길사반금(吉士磐金), 동 16년(608) 9월 신사조의 길사웅성(吉士雄成), 동 31년(623) 시세조의 길사창하(吉士倉下), 서명천황 5년(633) 정월 갑진조의 길사웅마려(吉士雄摩呂)와 길사흑마려(吉士黑摩呂), 백치 4년(653) 5월 임술조의 길사장단(吉士長丹)과 길사구(吉士駒), 천지 4년(665) 시세조의 길사기미(吉士岐彌)와 길사침간(吉士針間), 동 7년(668) 11월 을유조의 길사소유(吉士小鮪)가 보인다. 이 밖의 문서로는 천평보자 4년(760) 정월 11일자 「사십오부법화경충본장(四十五部法華經充本帳)」(14-290)에 길사광인(吉師廣人)이라는 인물이 있다. 길사씨 인물들은 대부분 한반도 여러 나라와의 외교관계에서 활약하고 있다.
이들 가운데는 길사목련자와 길사반금, 길사웅성처럼 난파길사씨로도 나오듯이(『일본서기』민달 13년 2월 경자조, 추고 6년 4월조, 추고 16년 4월조) 난파길사씨가 길사로 표기되기도 한다. 난파길사씨 일족으로는 『일본서기』 안강 원년 2월 무진삭조의 난파길사일향문(難波吉師日香蚊), 웅략 8년 2월조의 난파길사적목자(難波吉士赤目子), 추고 8년(600) 시세조의 난파길사신(難波吉師神), 추고 17년(609) 4월 경자조의 난파길사덕마려(難波吉士德摩呂), 서명 즉위전기(629)의 난파길사신자(難波吉士身刺), 동 4년 10월 갑인조의 난파길사소규(難波吉士小槻), 황극 원년(642) 2월 무신조의 난파길사국승(難波吉士國勝)과 난파길사수계(難波吉士水鷄), 제명 5년(659) 7월 무인조의 난파길사남인(難波吉士男人), 천무 원년(672) 6월 병술조의 난파길사삼강(難波吉士三綱) 등이 보인다.
2. 난파기촌(難波忌寸)
난파라는 씨명은 율령제하 난파국에서 유래한다. 난파기촌의 옛 씨성은 난파길사이고, 『일본서기』에 의하면 웅략 14년 4월에 난파길사일향향자(難波吉士日香香子)의 자손이 대초향부길사(大草香部吉士)를 사성받았다. 그 후 천무 10년(681) 정월 정축조에는 초향부길사대형(草香部吉士大形)이 난파련을 사성받았다고 한다. 게다가 천무 14년 6월에는 난파련이 기촌성을 사성받았다. 난파기촌씨의 본거지는 섭진국 동생군(東生郡, 東成郡; 히가시나리군)으로 현재 오사카만 중앙에 남북으로 돌출된 상정(上町) 지역의 동부(서부는 서생군)를 가리킨다. 이곳은 ‘난파대군(難波大郡)’으로 불리기도 하였으며, 일찍이 해외 문물이 들어오던 대외 창구이자 한반도계 도왜인들이 다수 거주하던 곳이다. 한편 동생군의 생(生)이 ‘나리’라고 불리게 된 이유를 백제어에서 그 유래를 찾기도 한다. 즉 웅진(熊津)의 백제 때 이름이 구마나리(久麻那利)이며, 나루를 뜻하는 나리를 모방하여 상정 지역을 동측의 나루라는 의미로 이름 붙였다는 것이다.
난파기촌씨 일족으로는 먼저 기촌성을 사성받기 전의 경우는 앞의 기지(吉志) 항목 참조. 기촌 성을 사성받은 이후의 일족으로는 『속일본기』 경운 3년(706) 10월 임오조에 의하면 섭진국 출신의 난파기촌빈족(難波忌寸濱足)이 종8위상에서 1계를 승진하고 있다. 또한 천평보자 4년(760) 11월 18일자 「동대사삼강첩(東大寺三綱牒)」(『대일본고문서』4-452)의 난파기촌빈승(難波忌寸濱勝)은 동생군의 의대령(擬大領)으로 정8위상이었다. 특히 『일본후기』 홍인 4년(813) 2월 을미조의 하내국 출신 종8위상 난파기촌씨주(難波忌寸氏主)와 섭진국 출신 정6위상 난파기촌선인(難波忌寸船人)이 각각 숙녜 성을 사성받고 있는데, 이들이 『신찬성씨록』 편찬 단계에서 난파기촌에 대한 계보를 제출하였을 가능성이 크다. 이렇게 보면 본조에 난파숙녜가 아닌 난파기촌으로 나오게 된 것은 난파기촌에 대한 자료가 이미 홍인 4년 2월 이전에 제출되었음을 시사한다. 난파기촌선인은 천평보자 4년(760) 11월 18일자 「동대사삼강첩(東大寺三綱牒)」(『대일본고문서』 3-17)에는 길지선인(吉志船人)으로 나오며, 난파기촌씨주에 대해서는 하내국 황별 「난파기촌」 조(261) 참조.
3. 대언명(大彦命)
대언명에 대해서는 좌경 황별(상) 「아배조신」 조(054)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길지(吉志; 기시)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120_0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