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판합부(坂合部; 사카히베)

판합부(坂合部; 사카히베)
 같은 대언명(大彦命; 오히코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윤공천황(允恭天皇; 인교텐노) 치세 때 국경의 표(標)를 세워서 판합부련(坂合部連; 사카히베노무라지)을 사성받았다.
 
【주석】
1. 판합부(坂合部)
판합부라는 씨명은 경부(境部; 사카이베), 계부(堺部; 사카이베)라고도 한다. 판합부의 씨명 유래에 대해서는 본조에만 보인다. 본거지는 섭진국 천변국(川邊郡) 일대이며, 현재 병고현(兵庫県) 니기시(尼崎市) 한판부(下坂部) 지역이다. 한편 대화국 우지군에도 판합부촌(坂合部村)이라는 지명이 있는데, 현재 나량현 오조시(五條市) 판합부 지역이다.
판합부씨 일족으로는 천평 10년(738) 2월 8일자 「경사등행사수실(經師等行事手實)」(『대일본고문서』 7-128)의 판합부문만려(坂合部文萬呂), 천평 16년(744) 8월 6일자 「필묵진송병충용주문(筆墨進送幷充用注文)」(『대일본고문서』 24-265)의 판합부곤만려(坂合部蔉萬呂) 등이 있다. 한편 『신찬성씨록』에는 판합부라는 씨명을 가진 씨족으로 좌경 신별의 판합부숙녜와 화천국 신별의 판합부가 있다. 판합부숙녜는 화명명(火明命)의 8세손 이배족니(邇倍足尼)의 후손으로 나오며, 화천국 신별의 판합부는 화란강명(火闌降命)의 7세손인 야마등고명(夜麻等古命)의 후손이라고 한다. 이에 대해서는 각각 좌경 신별(하)「판합부숙녜」 조(411)와 화천국 신별 「판합부」 조(738) 참조.
2. 동대언명지후야(同大彦命之後也)
『신찬성씨록』완본에는 ‘아배조신동조(阿倍朝臣同祖). 대언명지후야(大彦命之後也).’라고 기록되어 있었을 것이다.
대언명은 『고사기』에 대비고명(大毘古命)으로도 나오며, 효원의 장남이자 개화의 형으로 전한다. 『일본서기』에서는 아배신(阿倍臣), 선신(膳臣), 아폐신(阿閉臣), 사사성산군(沙沙城山郡), 축자국조(筑紫國造), 월국조(越國造), 이하신(伊賀臣) 7씨족의 시조로 전한다. 도하산철검명(稻荷山鐵劍銘)의 의부비궤(意富比跪; 오호비코)를 대언명으로 추정하는 견해도 있다. 자세한 것은 좌경 황별(상) 「아배조신」 조(054) 참조.
3. 윤공천황어세(允恭天皇御世)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웅조진간치자숙녜천황시윤공어세(雄朝津間稚子宿禰天皇諡允恭御世).’라고 기록되어 있었을 것이다.
4. 판합부련(坂合部連)
『고사기』신무천황단에는 신팔정이명(神八井耳命)의 후손으로 나온다. 『선대구사본기(先代舊事本紀)』 천손본기(天孫本紀)에는 화명명(火明命)의 16세손으로 윤공의 총신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연희식(延喜式)』 신명장(神名帳)에는 섭진국 천변군(현재 병고현 니기시 하판부)에 판합부씨의 신사인 이거태신사(伊居太神社; 이코다진자)가 나온다. 현재 신사의 동쪽에는 5세기경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거태고분(伊居太古墳)이 있다. 이 고분은 니기시 일대에서 가장 큰 전체 길이 92미터의 전방후원분으로 판합부씨 일족의 무덤으로 추정되고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판합부(坂合部; 사카히베)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120_0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