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시하조신(柿下朝臣; 가키노모토노아소미)

시하조신(柿下朝臣; 가키노모토노아소미)
 대춘일조신(大春日朝臣; 오카스가노아소미)과 조상이 같으며, 천족언국압인명(天足彦國押人命; 아메타라시히코쿠니오시히토노미코토)의 후손이다. 민달천황(敏達天皇; 비타츠텐노) 치세 때 집 문에 감나무가 심어져 있어서 시본신(柿本臣; 가키노모토노오미)이라고 하였다.
 
【주석】
1. 시하조신(柿下朝臣)
시하(柿下; 가키노모토)라는 씨명은 시본(柿本; 가키노모토)이라고도 한다. 율령제에서의 대화국 첨상군 시본사(柿本寺) 부근이다. 현재 나량현 천리시(天理市) 기본정(機本町)동쪽 지역에 해당된다. 시하조신의 옛 성은 신(臣)이며, 천무천황 13년(685) 11월에 조신 성으로 개성되었다.
먼저 시하신의 일족으로는 천무천황 10년(682) 12월 29일에 소금위하를 받은 시본신원(柿本臣猨)이 있다. 시본신원은 『속일본기』 화동(和銅) 원년(708) 4월 임오조의 사망 기사에 보이는 종4위하 시본조신좌류(柿本朝臣佐留)와 동일인이다. 이 시본조신좌류의 동생인 시본조신인마려(柿本朝臣人麻呂)는 『만엽집』(1-29)에 그의 노래가 364수나 실려 있다. 이 밖에 『속일본기』에는 시하조신씨 일족으로 신귀(神龜) 4년(727) 정월 경자조의 정6위하 시본조신건석(柿本朝臣建石), 천평(天平) 9년(737) 9월 기해조에 외종5위하로 승진한 시본조신빈명(柿本朝臣濱名), 천평 20년(748) 2월 기미조에 종5위하로 승진한 시본조신시수(柿本朝臣市守)가 나온다. 시본조신시수는 이후 천평승보(天平勝寶) 원년(749) 단후수(丹後守)와 안예수(安藝守)를 거쳐 천평보자(天平寶字) 8년(754) 정월에 종5위상으로 승진한다. 또한 연력(延曆) 6년(787) 6월 26일자 「정창원어물목록(正倉院御物目錄)」(『평안유문』 8-3199)의 시본조신제족(柿本朝臣弟足), 『일본후기』홍인(弘仁) 2년(811) 2월 을유조에 비전수(肥前守)로 임명된 시본조신제형(柿本朝臣弟兄), 홍인 13년(822) 3월 26일자 「정창원어물출납주문(正倉院御物出納注文)」(『평안유문』8-3300)의 시본조신안□(柿本朝臣安□), 『일본문덕천황실록』 인수(仁壽) 원년(851) 11월 갑오조의 시본조신지성(柿本朝臣枝成) 등이 있다.
이 밖에 무성의 시본씨 일족도 있다. 『속일본기』 천평승보 원년(749) 12월 정해조에 시본소옥(柿本小玉)이 보이고, 천평승보 2년 8월 28일자 「조동대사사해(造東大寺司解)」(『대일본고문서』 25-132)의 시본선장(柿本船長), 천평보자 6년(762) 윤12월 29일자 「고인공임력명장(顧人功賃歷名帳)」(『대일본고문서』 16-184)의 시본도자녀(柿本刀自女), 보귀(寶龜) 3년(772) 5월 「가경표식(歌經標式)」(『영락유문』 하-930)의 시본약자(柿本若子), 『속일본후기』 승화(承和) 9년(842) 12월 무진조의 시본안영(柿本安永) 등이 있다.
2. 대춘일조신(大春日朝臣)
효소천황의 황자인 천족언국압인명의 후손이다. 원래 성은 신(臣)이며 천무 13년(685)11월에 조신 성으로 개성되었다. 좌경 황별(하) 「대춘일조신」 조(087) 참조.
3. 천족언국압인명(天足彦國押人命)
『고사기』와 『일본서기』에 의하면 효소천황의 첫째 황자로서 『고사기』 효소천황단에는 천압대일자명(天押帶日子命; 아메오시타라시히코노미코토)으로 나온다. 좌경 황별(하) 「대춘일조신」 조(087) 참조.
4. 민달천황어세(敏達天皇御世)
시하신의 전승에 대한 기록은 여기에만 보인다. 완본에는 ‘정중창태주부천황시민달어세(渟中倉太珠敷天皇諡敏達御世)’라고 기록되어 있었을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시하조신(柿下朝臣; 가키노모토노아소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110_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