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마공련(馬工連; 우마미쿠히노무라지)

마공련(馬工連; 우마미쿠히노무라지)
 평군조신(平群朝臣; 헤구리노아소미)과 조상이 같으며, 평군목토숙녜(平群木菟宿禰; 헤구리노츠쿠노스쿠네)의 후손이다.
 
【주석】
1. 마공련(馬工連)
마공(馬工; 우마미쿠히)이라는 씨명은 마어직(馬御樴)이라고도 하며, 말의 사육과 관련된 도구를 제작하던 직업에서 유래한다. 말을 매어두는 말뚝[樴]의 제작을 비롯한 말을 사육하는 일을 담당한 품부를 관리하던 반조씨족이다.
『기씨가첩』에 의하면 액전조량숙녜(額田早良宿禰)가 평군현(平群縣)의 말 목장을 경영하면서 좋은 말을 천황에게 헌상한 공으로 그 자식인 액전구숙녜(額田駒宿禰)가 마공련의 성을 하사받았다고 한다. 게다가 마공련의 조상이 평군목토숙녜(平群木菟宿禰)라고 기록하고 있고, 하내국 황별 「액전수(額田首)」 조에 액전수씨가 조량신(早良臣)과 함께 평군목토숙녜의 후예라고 하고 있기 때문에 액전조량숙녜는 평군목토숙녜의 후손임을 알 수 있다.
마공련씨 일족은 다른 사료에는 보이지 않는다. 다만 무성의 마공씨 일족으로 천경(天慶) 9년(946) 8월 26일자 「이하국신호장부해안(伊賀國神戶長部解案)」(『평안유문』 1-371)의 마공무실(馬工茂實)과 마공리실(馬工利實) 등이 보인다.
2. 평군조신동조(平群朝臣同祖)
평군조신의 옛 성은 신(臣)이며, 천무천황 13년(685) 11월에 조신 성을 하사받았다. 평군조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우경 황별(상) 「평군조신」 조 참조. 『고사기』 효원천황단에는 건내숙녜의 자식인 평군도구숙녜(平群都久宿禰)가 마어직련(馬御樴連)의 조상으로 나오기 때문에 마공련과 평군조신의 조상이 같다고 한 것이다.
3. 평군목토숙녜(平群木菟宿禰)
평군도구숙녜(平群都久宿禰)와 같다. 평군목토숙녜에 관해서는 우경 황별(상) 「평군조신」 조(124)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마공련(馬工連; 우마미쿠히노무라지)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110_0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