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강소신(江沼臣; 에누노오미)

강소신(江沼臣; 에누노오미)
 석천(石川; 이시카하)과 같은 씨이다. 건내숙녜(建內宿禰; 다케시우치노스쿠네)의 아들인 약자숙녜(若子宿禰; 와쿠코노스쿠네)의 후손이다. 『일본기』에는 누락되어 있다.
 
【주석】
1. 강소신(江沼臣)
강소(江沼; 에누)라는 씨명은 강정(江渟; 에누), 강야(江野; 에노)라고도 한다. 『기씨가첩(紀氏家牒)』에는 강소라는 씨명이 대화국 고시현(高市縣) 강소리(江沼里)라는 지명에서 유래했다고 하는데, 현재의 위치는 정확히 알 수 없다. 한편 율령제하의 월전국(越前國)강소군(江沼郡) 지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이곳은 현재 석천현(石川縣) 강소군(江沼郡)과 가하시(加賀市) 대성사(大聖寺) 일대이다.
강소신씨는 『고사기』 효원천황단에 의하면 갈성씨(葛城氏), 평군씨(平群氏), 소아씨(蘇我氏), 거세씨(巨勢氏,) 기씨(紀氏), 파다씨(波多氏) 등과 함께 건내숙녜[武內宿禰]의 후손으로 나오는데, 건내숙녜의 막내아들인 약자숙녜(若子宿禰)가 강야재신(江野財臣; 에노노타가라노오미)의 조상이라고 한다. 강야재신은 강야, 즉 강소 지역의 재신(財臣)으로 강소씨와 동족이다. 모두 강소 지역의 군사(郡司)급 호족이었다. 이와 관련하여 강소고분군의 주인공들을 강소신 일족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강소신씨의 일족으로는 『일본서기』 흠명 31년(570) 4월조의 강정신군대(江渟臣裙代)가 있다. 강정신군대는, 월국(越國) 해안에 표착한 고구려 사신을 그 지역의 군사(郡司)가 숨겨둔 것을 조정에 보고한 인물로 월전국 강소군의 지방 호족이었다. 또한 천평 3년(731) 2월 26일자 「월전국정세장(越前國正稅帳)」(『대일본고문서』 1-437)의 강소신대해(江沼臣大海)는 강소군의 군사주정(郡司主政)으로 외대초위하(外大初位下)였으며, 강소신입록(江沼臣入鹿) 또한 같은 군의 외소초위상(外少初位上) 군사주장(郡司主帳)이었다. 천평 5년 윤3월 6일자 「월전국군도장(越前國郡稻帳)」(『대일본고문서』 1-472)의 강소신무량사(江沼臣武良士)는 강소군의 대령(大領)으로 정8위하의 위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 밖에 『속일본기』 보귀 9년(778) 12월 정해조에서 여유(女孺) 정8위하 강소신마소비(江沼臣麻蘇比)가 외종5위하를 받았고, 『일본후기』 연력 24년(805) 4월 신축조에서는 산위 종6위상 강소신소병(江沼臣小竝)이 외종5위하를 제수받았다. 이들 대부분은 월전국 강소군을 본관으로 가진 사람들이다. 대화국 출신 강소신씨 일족은 더 이상 보이지 않는다.
한편 무성(無姓)의 강소씨로는 천평승보 3년(751) 6월 8일자 「오원생인약사경봉청문(吳原生人藥師經奉請文)」(12-2)의 강소도족(江沼道足), 천평승보 4년 윤3월 28일자 「조동대사사청경론소주문안(造東大寺司請經論疏注文案)」(『대일본고문서』 12-26)의 강소군족(江沼君足) 등이 있다. 도족과 군족은 모두 자미중대사인(紫微中臺舍人)이었는데, 자미중대는 749년에 설치된 영외관(令外官)으로, 원래는 광명황후의 가정기관(家政機關)이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광명황후의 신임을 얻은 등원중마려의 지휘 아래 있던 정치적·군사적 성격을 가진 기관이었다. 이곳에 강소씨 일족이 사인(舍人)으로 등용되었다는 것은 강소씨와 등원중마려의 관계가 밀접했음을 말해 준다. 무성씨 가운데서 신(臣) 성을 가진 인물이 있을 가능성도 있다.
2. 석천동씨(石川同氏)
좌백유청(佐伯有淸)에 의하면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석천조신동조(石川朝臣同祖)’라고 기록되어 있었을 것이다. 석천조신은 효원의 황자인 언태인신명(彦太忍信命)의 후손이라고 한다. 석천조신의 옛 성은 신(臣)이며, 천무천황 13년(685) 11월에 조신 성을 하사받았다. 석천조신씨에 대한 것은 좌경 황별(상) 「석천조신」 조(065) 참조.
3. 건내숙녜(建內宿禰)
『일본서기』에는 무내숙녜로 나온다. 자세한 것은 좌경 황별(상) 「전구조신(田口朝臣)」 조(066), 대화국 황별 「성천조신」 조(210) 참조.
4. 약자숙녜(若子宿禰)
『고사기』 효원천황단에는 건내숙녜의 아홉째 자식이며, 강야재신(江野財臣; 에노노타가라노오미)의 조상으로 나온다.
5. 일본기루(日本紀漏).
『일본서기』에는 강소신씨에 대한 사성 관련 기록이나 그 조상에 대한 기록이 보이지 않는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강소신(江沼臣; 에누노오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11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