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금목(今木; 이마키)

금목(今木; 이마키)
 도수(道守; 치모리)와 조상이 같다. 건풍우협별명(建豐羽頰別命; 다케토요하츠라와케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금목(今木)
금목이라는 씨명은 금래(今來; 이마키)라고도 표기되며, 율령제의 산성국 우치군(宇治郡)금목(今木; 이마키)이라는 지명에서 유래한다. 현재 경도부(京都府) 우치군(宇治郡) 우치피방정(宇治彼方町)이다. 산성국 출신 금목씨 일족으로는 천평 5년(733) 「산배국애탕군모향계장(山背國愛宕郡某香計帳)」(『대일본고문서』 1-521)에 호주로 나오는 금목도매(今木稻賣)가 있다. 그런데 금목도매와 함께 나오는 인물 가운데에는 금목직갱(今木直粳)을 비롯하여 금목직형마려(今木直兄麻呂), 금목직을마려(今木直乙麻呂) 등 직(直) 성을 가진 인물들도 보인다. 이 밖에 「조동대사사해(造東大寺司解)」(『대일본고문서』 4-294)에서 동대사 건립에 관여한 금래인성(今來人成) 등 무성의 금목씨도 있다. 한편 『일본서기』 웅략기 및 흠명기에는 백제에서 건너간 기술자들이 거주한 지역으로 신한(新漢; 이마키) 등의 지명이 나오지만 이때의 신한은 나라 지역에 있던 곳이다.
2. 도수(道守)
도수씨는 무내숙녜의 자식인 파다시대숙녜(波多矢代宿禰)의 후손이다. 좌경 황별(상)「도수조신」 조(072) 참조.
3. 건풍우협별명(建豐羽頰別命)
무파도량화기명(武波都良和氣命) 혹은 무풍엽열별명(武豐葉列別命)이라고도 한다. 이에 대해서는 좌경 황별(상) 「도수조신」 조(072)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금목(今木; 이마키)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100_0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