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일하부숙녜(日下部宿禰; 구사카베노스쿠네)

일하부숙녜(日下部宿禰; 구사카베노스쿠네)
 개화천황의 황자인 언좌명(彦坐命; 히코이마스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일본기(日本紀)』와 일치한다.
 
【주석】
1. 일하부숙녜(日下部宿禰)
일하부(日下部; 구사카베)라는 씨명은 명대부(名代部)인 일하부에서 유래한다. 일하부는 초벽(草壁), 초향부(草香部)라고도 하며, 일하부숙녜는 일하부의 반조씨족이다. 『일본서기』 천무천황 13년(684) 12월조에 초벽련(草壁連)이 숙녜 성을 사성받은 기사가 보이므로 일하부숙녜의 옛 성은 연(連)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섭진국 황별에 일하부숙녜가 보이고 있어 섭진국에도 거주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밖에 하내국 황별에 일하부련과 일하부, 화천국 황별에 일하부수와 일하부가 있듯이 하내국에도 연(連) 성과 수(首) 성, 그리고 무성(無姓)의 일하부씨가 널리 분포하고 있었다. 일하부련의 일족으로는 『일본서기』 현종 즉위전기의 일하부련사주(日下部連使主)와 일하부련오전언(日下部連吾田彦), 백치(白雉) 원년(650) 2월조에 초벽련추경(草壁連醜經) 등이 있다. 숙녜 성을 가진 일족으로는 『속일본기』 화동(和銅) 원년(708) 정월조에 일하부숙녜로(日下部宿禰老), 천평 9년(737) 4월조의 일하부숙녜대마려(日下部宿禰大麻呂)가 보인다.
2. 언좌명(彦坐命)
개화의 셋째 황자로 경행의 증조부이다. 『고사기』 개화천황단에는 일자좌왕(日子坐王), 『일본서기』 개화 6년 정월조에는 언좌왕(彦坐王)으로 나온다.
3. 일본기합(日本紀合)
좌백유청(佐伯有淸)은 『일본서기』 천무 13년 12월조에 초벽련이 숙녜 성을 하사받았다는 내용을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러나 일하부씨의 사성 유래에 대한 내용은 『일본서기』에 보이지 않는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일하부숙녜(日下部宿禰; 구사카베노스쿠네)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100_0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