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신량귀(新良貴; 시라키)

신량귀(新良貴; 시라키)
 언파렴무로자초즙불합존(彦波瀲武鸕鶿草葺不合尊; 히코나기사타케우가야후키아헤즈노미코토)의 아들 도반명(稻飯命; 이나히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신량국(新良國; 시라기노쿠니)에 가서 국주(國主; 고키시)가 되었다. 도반명은 신라국(新羅國)에 가서 그 왕의 조상과 혼인관계를 맺었다. 『일본기』에는 보이지 않는다.
 
【주석】
1. 신량귀(新良貴)
신량귀라는 씨명은 한반도의 신라 국명에서 유래한다. 신량귀씨 인물로는 『속일본기』문무(文武) 3년(699) 정월 임오조의 신라자모구매(新羅子牟久賣)와 천평보자(天平寶字)5년(761) 3월 경자조의 사알국족(斯﨟國足), 보귀(寶龜) 11년(780) 5월 갑술조의 사알행마려(斯﨟行麻呂) 등이 있다. 한편 천평보자 5년 3월에 청해조(淸海造)를 사성받은 신량목사성현마려(新良木舍姓縣麻呂)와 같은 해 7년 8월에 청해조를 사성받은 신량목사성전마려(新良木舍姓前麻呂)는 모두 신라인으로, 신량귀도 실제로는 신라에서 건너간 씨족일 가능성이 크다.
2. 언파렴무로자초즙불합존(彦波瀲武鸕鶿草葺不合尊)
『고사기』 천진일고일자수수수견명(天津日高日子穗穗手見命)단에는 천진일고일자파한건제즙초즙불합명(天津日高日子波限建鵜葺草葺不合命)으로 나오며, 아버지는 언화화출견존(彦火火出見尊), 어머니는 해신의 딸인 풍옥희(豐玉姬)라고 기록되어 있다.
3. 도반명(稻飯命)
『고사기』에는 도빙명(稻冰命)으로 나오며, 『일본서기』 신대(하) 제11단 본문에도 언파렴무로자초즙불합존의 아들로 기록되어 있다.
4. 신량국(新良國)
신라국을 가리킨다. 도반명이 신라 국왕과 혼인을 맺었다거나 신라국의 국주가 되었다는 직접적인 전승이나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다만 『고사기』 신무천황단과 『일본서기』신무천황기에 도반명이 바다를 건너가 그곳의 신이 되었다는 기록이 보이는데, 이것이 『신찬성씨록』 편찬 단계에서 와전된 것이 아닌가 한다.
5. 일본기불견(日本紀不見)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신량귀의 사성 유래가 기록되어 있었으나, 『일본서기』에는 관련 기사가 보이지 않는다는 의미일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신량귀(新良貴; 시라키)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90_0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