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고원조신(高圓朝臣; 다카마도노아소미)

고원조신(高圓朝臣; 다카마도노아소미)
 출자는 정6위상 고원조신광세(高圓朝臣廣世; 다마마도노아소미히로요)이다.[원래는 어머니 씨명을 따라 석천조신(石川朝臣; 이시카하노아소미)이었다.] 『속일본기』와 일치한다.
 
【주석】
1. 고원조신(高圓朝臣)
고원(高圓; 다카마도)이라는 씨명은 대화국 첨상군(添上郡)에 있는 고원산(高圓山; 다카마도야마)이라는 산 이름에서 유래한다. 고원산은 현재 나량시(奈良市) 백호사정(白毫寺町)에 있는 산이다. 고원조신의 원래 씨성은 석천조신(石川朝臣)으로, 『속일본기』 천평보자(天平寶字) 4년(760) 2월에 문무천황의 자식인 종5위하 석천조신광성(石川朝臣廣成)이 고원조신을 하사받았다. 석천조신광성은 『만엽집』에 시를 남기고 있으며, 고원조신 성을 사성받은 달에 문부소보(文部小輔)로 임명되었다. 고원조신 일족으로는 석천조신광성을 비롯하여 천평보자 5년 5월 임진조의 고원조신광세(高圓朝臣廣世)가 있다. 광성과 광세는 형제이다.
2. 고원조신광세(高圓朝臣廣世)
문무천황의 자식으로 『속일본기』 천평보자 5년(761) 5월 임진조에 ‘종오위하고원조신광세위섭진량(從五位下高圓朝臣廣世爲攝津亮)’이라는 기록이 보인다. 광세는 같은 해 10월에 미장수(尾張守)로 임명되고, 이듬해인 6년 4월에 산배수(山背守)로 임명되었다. 이후 천평보자 8년 정월에 종5위상으로 승진하였고, 신호경운(神護景雲) 3년(769) 6월에는 이여수(伊與守)로 임명되었다. 평성궁 출토 목간( 평성궁발굴조사출토목간개보(平城宮發掘調査出土木簡槪報) 42, 2011 )가운데 ‘이여수고원광세(伊與守高圓廣世)’라는 글자가 새겨진 목간이 발견된 바 있다.
3. 원취모씨(元就母氏)
광세의 어머니는 석천조신도자랑(石川朝臣刀自娘)이다. 도자랑은 『속일본기』문무(文武) 원년(697) 8월 계미조에 ‘이등원조신궁자랑위부인(以藤原朝臣宮子娘爲夫人). 기조신돌문랑(紀朝臣竈門娘). 석천조신도자랑위비[石川朝臣刀自娘爲妃(嬪)].’라는 기록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문무천황의 빈이 되었다. 그런데 화동(和銅) 6년(713) 12월에 기조신조문랑과 함께 빈호를 칭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 시기에 광성과 광세가 모계인 석천조신씨로 입적(入籍)된 것으로 추정된다.
4. 석천조신(石川朝臣)
효원천황의 황자인 언태인신명(彦太忍信命)의 후예라고 한다. 석천조신씨의 옛 성은 신(臣)이며, 천무천황 13년(684) 11월에 조신 성을 하사받았다. 좌경 황별(상) 「석천조신」조(065) 참조.
5. 속일본기합(續日本紀合)
『속일본기』 천평보자 4년(760) 2월 임인조의 ‘종오위하석천조신광성사성고원조신(從五位下石川朝臣廣成賜姓高圓朝臣)’이라는 기록을 가리킨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고원조신(高圓朝臣; 다카마도노아소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90_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