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자전련(茨田連; 무라타노무라지)

자전련(茨田連; 무라타노무라지)
 다조신(多朝臣)과 조상이 같으며, 신팔정이명(神八井耳命)의 아들 언팔정이명(彦八井耳命; 히코야미미토미코토)의 후손이다. 『일본기』에는 누락되었다.
 
【주석】
1. 자전련(茨田連)
자전(茨田; 무라타)이라는 씨명은 『일본서기』 인덕천황 11년 동 10월에 자전제(茨田堤)를 축조했다는 전승과 함께 자전제가 위치한 하내국 자전군 자전향(茨田鄕)이라는 지명에서 유래한다. 현재 대판부(大阪府) 문진시(門眞市) 문진(門眞) 일대이다. 원래 성은 연(連)이며, 천무천황 13년(684) 12월에 숙녜 성을 사성받았다. 자전련씨의 일족으로는 『속일본기』 양로 5년(721) 정월 갑술조의 자전련도자녀(茨田連刀自女)와 『일본삼대실록』 원경 2년(878) 5월 기해조 등의 자전련정액(茨田連貞額), 평성궁(平城宮) 출토 목간( 평성궁목간(平城宮木簡) 1, 1966) 가운데 자전련을□(茨田連乙□)이라는 인물이 보인다. 이 밖에 산성국과 하내국에도 자전련씨가 보이는데, 이에 대해서는 산성국 황별 「자전련」 조와 하내국 황별 「자전숙녜」 조(286) 참조.
2. 다조신(多朝臣)
다(多)는 ‘태(太)’, ‘대(大)’, ‘의부(意富)’라고도 하며, 신무천황의 자식인 신팔정이명(神八井耳命)의 후손이라고 한다. 좌경 황별(상) 「다조신」 조(077) 참조.
3. 신팔정이명(神八井耳命)
『고사기』 신무천황단에 의하면 상도중국조(常道仲國造), 장협국조(長狹國造), 이세선목직(伊勢船木直), 미장단우신(尾張丹羽臣), 도전신(島田臣) 등의 조상이라고 나온다. 좌경 황별(상) 「다조신」 조(077) 참조.
4. 언팔정이명(彦八井耳命)
『고사기』 신무천황단에는 신무천황의 자식인 일자팔정명(日子八井命)으로 나온다. 언팔정이명은 산성국 황별 「자전련」 조(207), 섭진국 황별 「풍도련」 조(252), 하내국 황별 「자전숙녜」 조(286) 등에도 보인다.
5. 일본기루(日本紀漏)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자전련에 대한 사성 기록이 남아 있었지만 『일본서기』에는 누락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자전련(茨田連; 무라타노무라지)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90_0260